• 제목/요약/키워드: 공간환경개선

검색결과 1,315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21-8029
    • /
    • 2015
  •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보육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관리 실태 (Indoor Air Quality in daycare facilities)

  • 박준석
    • 교육시설
    • /
    • 제21권6호
    • /
    • pp.28-32
    • /
    • 2014
  • 본 투고에서는 2008년 환경부의 용역으로 실시된 "보육시설의 실내공기질 진단 및 개선 시범사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실내공기 오염 실태와 함께 개선방안, 그리고 개선효과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61개 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측정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폼알데하이드와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일부시설에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는 조사 대상 시설 중 50 % 이상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시설의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각 오염물질의 발생원별로 유지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오염원인별 분석결과, 대부분 시설의 실외오염물질 농도가 실내보다 낮게 나타나 외기의 오염이 실내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절에 따른 실내공기오염은 동절기에 낮은 외기온도로 인하여 실내를 하기 때문에 하절기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공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는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의 경우 아동이 늘 상주하는 교실의 오염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놀이실의 오염도가 교실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개선방안별 개선효과에 있어서는 환기계획 몇 환기설비 설치, 지하공간 습기 문제 개선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보육시설의 쾌적하고 건겅한 실내환경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보육종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유지관리 지침 또는 매누얼에 대한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윤지희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MEDIA DATABASES on INTERNET
    • /
    • pp.407-424
    • /
    • 1997
  • 지리정보 시스템에 기반한 응용 시스템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으로 지도작성, 데이타 관리, 해석 기능 외에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능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 및 연역 추론 기능을 갖는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과 연역 기능을 활용한 시스템 기능 확장에 대하여 논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Visual Basic), 지리정보 시스템(ArcView, ArcInfo), 추론 시스템(Eclipse)을 상호 밀결합 방식으로 결합, 구현하였으며, 각 서브 시스템은 서로 중간 파일 시스템의 사용없이 데이타 및 명령어의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서브 시스템을 인식하지 않고 단일화된 환경하의 작업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연역 기능은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지식베이스 관리, 의사결정 지원 기능 외에도 사용자 환경개선, 복합 공간 객체의 표현, 공간질의 연산자 구현 등의 시스템 기능 확장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가 정보의 내부 구조나 문제 영역, 명령어 사용 방법 등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유용한 정보를 얻도록 지원, 유도하는 협력질의 응답 기능과 명령어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들 방식을 이용한 두가지 응용 시스템(여행정보 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의 구현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의 실용성과 유용성을 보인다.

  • PDF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윤지희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4권1호
    • /
    • pp.3-17
    • /
    • 1997
  • 지리정보 시스템에 기반한 응용 시스템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으로 지도작성, 데이터 관리, 해석 기능 외에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능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 및 연역 추론 기능을 갖는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과 연역 기능을 활용한 시스템 기능 확장에 대하여 논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Vusual Basic), 지리정보 시스템(ArcView, ArcInfo), 추론 시스템(Eclipse)을 상호 밀결합 방식으로 결합, 구현하였으며, 각 서브 시스템은 서로 중간파일 시스템의 사용없이 데이터 및 명령어의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서브 시스템을 인식하지 않고 단일화된 환경하의 작업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연역 기능은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지식베이스 관리, 의사결정 지원 기능 외에도 사용자 환경개선, 복합 공간 객체의 표현, 공간질의 연산자 구현 등의 시스템 기능 확장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가 정보의 내부 구조나 문제 영역, 명령어 사용 방법 등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유용한 정보를 얻도록 지원, 유도하는 협력질의 응답 기능과 명령어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들 방식을 이용한 두가지 응용 시스템(여행정보 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의 구현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의 실용성과 유용성을 보인다.

  • PDF

공간 구조별 열쾌적성 평가와 열환경 개선방안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 이정아;정대영;전진형;이상문;송영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20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 소공간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공간 구조별 열특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도심 내 위치한 고려대학교 캠퍼스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 내에 공간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장소에서 열환경을 조사하였다. 기상장비를 활용한 미기상 및 바이오 기상 측정, 어안렌즈 촬영사진(Fish-eye lens photography)를 활용한 공간구조 및 특성 분석, 그리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기상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열쾌적성 모델링의 순서로 공간의 열환경 및 인체 열쾌적성을 분석하였다. 열환경 평가 결과, 인체 열쾌적성의 정도는 캠퍼스 공간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이나 수목 등에 의해 위요된 폐쇄형 공간 유형에서 개방형 공간 유형에서 분석된 평균 복사온도, PMV, PET 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목과 건물에 의한 태양복사열의 차단 및 그림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간을 계획할 때 개방성이나 통풍성을 높이기 위한 수목의 배치를 고려하고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바닥포장이나 건물 외장재 종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의 이용자가 실제적으로 느끼는 열쾌적성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이용자를 고려한 공간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인체 열쾌적성을 평가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 및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Street 의 인터렉티브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광복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active Space Design of Ubiquitous Street)

  • 도상래;한수연;최진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9-47
    • /
    • 2006
  •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 도입으로 인해 제품개발, 주거, 상업시설 등에서 시작하여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의 일환으로 u-City 구현에 중점을 두고 많은 연구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가로환경 디자인은 공공 시설로서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가로 공간은 그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을 뿐 각각의 특색에 맞게 조성되고 있지는 못하며, 물리적 환경개선에 중점을 두어 단순한 가로정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과 이용자 중심의 참여에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여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 참여적인 공간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u-Street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서비스가 이용자들과 어떠한 인터렉티브 커뮤니케이션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공간이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고 감성적인 공간 디자인이 될 수 있도록 u-Service 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 광복로를 사례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대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첫째, u-City 의 기반 시설로서의 u-Street는 수평적이고 친환경적인 가로 경험을 통해 사람이 직접 여러 서비스와 인터렉션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제안된 u-Service 는 이전 광복로의 침체되고 비활동적인 공간을 활동적이고 생동감있는 공간으로 재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셋째, 주민과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지속적인 공간을 만들어 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공간환경에 있어서의 감성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실험 영상디자인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display image design by approach method of human sensibility)

  • 박기덕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09
  • 공간디자인의 확장을 통한 영상디자인에 감각적이고 생명력을 부여하여 시각적이고 기술적 요소를 가미한 유기적 아름다움과 감성의 경계와 확장에 대한 영상으로 접근하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구조적이며, 공간적, 그리고 시간적인 개념들이 쌓이면서 다양한 오브제들에 환경에 맞는 의미들을 부여하고, 실험적 영상을 스크린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서 효과적인 정보전달체계와 메시지를 전달하여 새로운 감각을 확장한다. 도시경관이나 공원, 건축물등 다양한 공공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영상연출과 가상공간에서의 현실적 느낌들을 부여하고 니즈들의 상호관계를 극복하여 전시기법과 패턴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영상디자인에 있어서의 효과적인 방법들을 여러사례 분석과 실험들을 통하여 연구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61-66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2021년 천안시 전통시장·상점가 실태조사 자료 중 총 188개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통시장의 환경개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환경적 변화가 일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시장은 낙후된 공간으로 주차환경개선사업과 시설 현대화 사업(화장실, 시설 장비 등)으로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화 세분화 과정을 거쳐 공간을 개선함으로써 운영의 편리성을 높이고 방문객의 이용 증진과 자연스러운 인식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별화된 경영활성화 콘텐츠와 시설 현대화 사업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중 시설의 환경개선 부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간의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거 공간 에너지 관리 ICT 기술

  • 강성철;최진식
    • 정보와 통신
    • /
    • 제34권5호
    • /
    • pp.45-52
    • /
    • 2017
  • 전체 전력 사용량 중 주거공간에서의 전력사용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는 기후 변화 및 환경오염에 두 번째로 큰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의 빌딩과 공장 중심의 에너지 관리에서 더 나아가 주거공간을 위한 에너지 관리 기술의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주거 공간의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찾기 위하여 수용가를 위한 국내외 에너지 관리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 후 이와 관련되어 있는 요소기술들과 통신기술을 중심으로 주거 공간 에너지 관리 ICT 기술들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