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확보

Search Result 2,37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Unit Planning Methods of Apartment with Extra Rooms for enhancing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ies (공동주택의 개성화.차별화를 위한 여유실 확보 계획 기법)

  • Yeo,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4
    • /
    • pp.832-841
    • /
    • 2007
  • Recent decreased number of family members have caused at least one spare room which is not used as a bedroom in an apartment house. In addition, people who need an apartment house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typical unit plan any more, and rather request more various types of living space. Based on this kind of housing needs trend, we would like to analyze and classify dwelling unit planning methods which may create particular purpose extra rooms to satisfy their unique needs and to giv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ies by means of study on various ca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following planning methods which can produce extra rooms : 1) Utilization of optional plan between living room and adjacent bedrooms, 2) Utilization of optional plan on master bedroom zone, 3) Insertion of transitional space and Utilization of spare space, 4) Insertion of a space for housewives near a kitchen, 5) Positive utilization of a balcony space. This study is also trying to show many unit plan cases of which planning methods can be applied in other cases.

  • PDF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Classifying Rural Waterfront Development Type (농촌지역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분류를 위한 둑높이기 저수지의 통계적 분류)

  • Jung, In-Kyun;Jung, Kwang-Wook;Kwon, Jin-Wook;Kim, Hae-Do;Lee, Kwang-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7-707
    • /
    • 2012
  • 현재 농업용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이 전국 110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다.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는 둑 높이기 사업과 더불어 농업생산기반시설 및 주변지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시행으로 저수지 등 농업기반시설 및 그 주변지역을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개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 지역의 수익창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저수지 수변지역으로 개발계획이 집중되어 있고 추가확보 되는 용수는 하천유지와 농업용수 공급에 주로 활용될 계획이므로 추가확보 용수의 보다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고하여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둑 하류지역 농경지의 관개배수체계를 정비하여 추가용수 이용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농촌마을과 연계하여 친수공간을 조성함으로서 둑하류 농촌마을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이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친수공간 개발은 둑높이기 저수지의 추가용수 확보규모 및 지역의 지형, 토지이용,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유형화를 통해 대표적 특성에 대한 표준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로서 둑 높이기 저수지의 특성 및 주변 현황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5개의 둑하류 농촌지역 친수공간 개발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지역 및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PDF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nature-friendly public spaces for children: a focus on nature experience area project in Germany (아동을 위한 자연 친화적 공공공간 확보의 중요성 고찰: 독일의 자연체험공간 사업을 중심으로)

  • Woojin L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4
    • /
    • pp.366-378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ecuring nature-friendly public spaces on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case of Germany to extract implications for Korea. The natural environment enhances children's play, physical activity, cognitive abilities, and overall happiness. Therefore, it is generally considered a necessary space that must be provided for domestically, especially for children who experience high academic stress and low levels of happiness. However, as evidenced by Germany's "Nature Experience Area Project," creating nature-friendly spaces for children requires leg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dditionally, such projects should be integrated with key national policies. Furthermore, beyo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caregivers must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주거공간의 안전, 편익보다 우선되어야

  • Lee, Yun-Geun
    • 방재와보험
    • /
    • s.111
    • /
    • pp.30-31
    • /
    • 2006
  • 아파트 안전의 핵심적인 요소인 발코니 확장의 합법화로 인해 화재발생시 위협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아파트 발코니는 화재 방지와 유사시 대피공간으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상층으로의 연소 확대를 지연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생활의 편의성과 미적 쾌적함만을 중시하기 보다는 안전한 주거공간의 확보와 이에 상응하는 안전시설의 설치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 PDF

해저거주공간 재난 및 피난 특성 연구

  • 김승일;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74-76
    • /
    • 2023
  • 해저공간을 인류의 삶의 터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안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해저거주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과 재난 발생 시 이루어지는 피난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저거주공간의 재난 및 피난 특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 운용 중인 해저거주공간의 사례가 드물어 우선 수중공간에서 장기간 임무를 수행하는 잠수함의 사고 사례와 수중연구실로 운영되고 있는 수중해비타트의 사고 사례를 분석하여 해저거주공간의 재난 및 피난 특성을 도출한다.

  • PDF

A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n 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in the New City (신도시 내 물순환시스템 구축 및 수질관리 연구)

  • Ahn, Chang-Hyuk;Joo, Jin-Chul;Kwon, Jae-Hyeong;Song, Ho-Myeon;Ahn,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3-743
    • /
    • 2012
  • 최근 국내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도시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저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탄소 도시 조성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국토해양부, 2009). 이러한 결과로 최근 도시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or blue-network)의 구축이 요구되며 이는 자연의 생태 기능을 복원하고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도시물순환시스템은 시민의 휴식 및 문화 공간, 도심열섬현상 완화, 재해방지, 생물서식공간(biotope) 제공 등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탄소배출 감소, 우수 저류공간 확보, 지하수위 유지, 비상용수 확보, 대기오염물질의 집진제거, 습지보전 및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도심의 재개발 또는 신도시 개발 시 도시 어메니티(amenity) 증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한국토지공사 2003). 남한산성을 포함하는 청량산 계곡수를 발원지로서, 공간적 범위는 장지천과 창곡천을 따라 약 3.5 km 서쪽으로 흘러 탄천에 이르기까지의 물길축(blue-network)를 기반으로 하며 총면적은 $6.8km^2$ 으로 서울, 성남, 하남의 3개 행정구역에 걸쳐있다. 내용적 범위는 현황조사(개발 컨셉, 하천분포현황, 인접지역 연계, 수질), 수량 및 수질 확보방안(물수지분석, 다중 수원 확보방안, 목표수질 설정, 부영양화 가능성 평가), 물순환시스템 구축(소하천 등과 연계 방안), 유지관리 방안의 순서로 진행하여 기본계획을 도출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본 사업대상지는 장지천, 창곡천, 학암천 등 3개 소하천이 서쪽의 탄천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쪽은 산지로 청량산이 인접하기에, 주변 자연지형을 최대한 고려하여 물순환시스템을 계획하였다. 하천 유량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 하천 연계방안, 신도시 조성 관련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류에서 각각 장지천 $10,087m^3/d$, 창곡천 $7,103m^3/d$, 복우천 $5,530m^3/d$ 의 유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도시 친수공간 확보와 어메니티 향상을 위해 지구내 수로(휴먼링)을 조성하여 장지천, 창곡천과 연계하였으며 주요 유지용수는 저탄소 녹색도시 건설에 부합하도록 우수을 활용한 함양지 및 계곡수로 조성 계획하였다. 또한, 인접한 장지천 및 창곡천 등 소하천은 지속적인 유량공급 및 양질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상여과수를 검토 후 제안하였다.

  • PDF

현상설계 - 군포 시민회관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 s.297
    • /
    • pp.108-109
    • /
    • 1994
  • 군포시에서는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군포시의 문화예술 공간의 확보와 지역 문화 활동의 구심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의 전당으로서 시의 상징성을 갖는 건물의 계획, 현상설계공모를 실시하였다. 본지에서는 당선작으로 선정된 부림종합건축안을 게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