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확보

Search Result 2,38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GML Profile for Mobile Services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 연구)

  • Oh, Byoung-Woo;You, Jin-Soo;Ha, Su-Wo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59-165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도 표현과 공간정보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각 모바일 서비스마다 표준화되지 않은 독자적인 방법을 통해 공간 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고 있어서 모바일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GML을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위한 실용적인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GML 명세와 모바일 서비스를 먼저 분석하여야 한다 GML의 구성요소와 모바일 서비스 및 DB분석을 기반으로 MATRIX분석을 수행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GML 구성요소의 부분집합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oud Computing Storage System using the Personal Computer (개인 컴퓨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Chul-Hun;Shin, Jung-Hoon;Lee,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53-55
    • /
    • 2011
  • 웹의 미래라고 주목받아 온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트랜드의 하나로 IT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기업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한 분야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파일을 스토리지 공간에 저장한 뒤 인터넷이 연결되는 컴퓨터 혹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신의 파일에 접근해 내용을 읽거나 그 자리에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현재 시중에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5GB~20GB 정도의 한정된 저장 공간을 무료로 제공하지만, 추가적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이런 한정된 저장 공간과 서비스 비용을 극복하고자 개인 PC를 활용하여 무한정에 가까운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Development of Room Escape Game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가상현실 기반 방 탈출 게임 개발)

  • Song, Eun-Jee;Lim, Do-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407-40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오프라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방 탈출 게임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였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의미하며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개발한 콘텐츠는 가상현실 이라는 공간을 초월한 개념을 통해 오프라인에서의 공간 확보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다양한 공간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적 부분인 서버를 통한 동시참여로 보다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Rainfall Data (강우의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6-166
    • /
    • 2018
  •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연구에서 유출분석을 위한 장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일자료의 생성을 위해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 기법 중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유역단위의 합리적 유출분석을 위해서는 기상모의모형을 이용한 일자료 발생시 기상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앞서 기존모형의 강우 발생과 크기와 관련된 주요요소들의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 지점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모형의 강우발생과 관련된 강우/무강우 발생확률, 강우크기와 관련된 월강우량의 평균값, 월평균 강우량의 표준편차, 왜곡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공간특성 분석을 통하여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의 개발 및 적용시 고려해야 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Page Swap Technique using Memory Compression of Virtual Machines for Embedded System: Proposal and Design (임베디드 시스템 가상화에서의 메모리 압축을 통한 페이지 스왑 기법 디자인)

  • Lee, Chiyoung;Yoo, Ch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599-1602
    • /
    • 2010
  • 가상화 기법은 PDA, 스마트 폰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다양한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임베디드 시스템은 매우 제한된 컴퓨팅 자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가상 머신을 동작하기 어렵다. 특히, 프로세스 동작에 필수적인 메모리 공간의 부족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데스크탑과 같은 시스템은 페이지 스왑을 통해 이를 해결하지만, 디스크가 없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해결이 쉽지 않다. 본 논문은 메모리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압축을 이용한 여유 공간의 추가 확보 기법을 제안한다. 페이지 압축을 통해 페이지 스왑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는 가상화로 인한 메모리 분할과 불필요한 프로세스의 메모리 상주 등의 이유로 인한 임베디드 시스템 가상화 환경에서의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능 구현에 앞서 임베디드 시스템과 가상화 환경에 맞춘 메모리 압축 스왑 기법을 디자인한다.

Development of a Environmental Facility Flood Damage Simulation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기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

  • Yoon, Jung Hwan;Lee, Gyeng Bin;Lee, Min Ho;Lee, Cha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5-215
    • /
    • 2020
  •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는 시설의 직접 피해 이외에 단수와 수질 불량 등 사회적 2차 피해를 발생시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응체계 및 대응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영향예측과 피해저감기술의 개발이 미흡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 해석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부재하여 환경시설의 방재대책 수립시 피해예측의 정확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시설의 침수피해에 대비하고 선제적 재해 예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실정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정보기반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국내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내수침수와 외수침수의 시뮬레이션 및 결과해석의 기능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은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시설 침수피해를 예측하고 피해를 저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framework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웍의 개발과 적용)

  • Kim, Ji sung;Jeon, Ho Seong;Hong, Il;Kim, Kyu Ho;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
    • /
    • 2017
  • 최근의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을 지형학적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향과 강이 가진 자연의 역동성의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구하천 구역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고 대표적으로 청미천, 함평천, 황구지천 등에서 기존의 제방을 후퇴시키고 과거의 하천공간을 하천으로 되돌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구하도 또는 폐천부지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복원된 공간규모가 크지 않아 사업의 효과를 크게 장담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터전으로의 공간복원, 그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가능한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기능의 강화와 융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계획과 설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역기반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해법으로 하천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하천공간 복원 및 활용과 관련된 기본방향이 설정되며 세부 복원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복원목적과 목표가 세워진 후, 복원대상지를 선정하고 공간 활용방안이 제시되면, 목표달성 여부 판단을 위한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만약,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복원목표 재설정 및 복원대상지의 재선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천공간 복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간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으로 인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임시방편 수준의 파괴된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에 대한 응집력 있는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촉진하여 복원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Factors for Public Library Space Needs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wak Chul-W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3
    • /
    • pp.149-1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for library space programs through user needs assessments in order to apply a library construction. Research method used was a questionnaire and subjects were residents and library users lived in Yongin where a new library was constructing. The results show that library use behavior, age, and user companions are identified as factors to influence to both functional space ratio and functional space arrangement. Heading in libraries is major activity and many subjects went to library with family so that family space is needed. Space for variable ages, also, is needed because of different needs based upon ages.

  • PDF

The consideration about the shielding effect of LEDITE (LEDITE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시설에 관한 고찰)

  • Min Je-soon;Lee Je-hee;Park heung-deuk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5 no.1
    • /
    • pp.11-18
    • /
    • 2003
  • The concrete is usually used to build a radiation therapy facility and the enough concrete thickness for high energy x-ray beam is about 1 meter. But if the space is not enough to build a radiation therapy facility with concrete, the substitute for concrete is needed, and the Ledite can be a good substitute for concret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Ledite with the concrete. The comparing list are the needed shielding thickness,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the cost.

  • PDF

Hydrological survey and analysis considering field conditions (현장여건을 고려한 수문조사 및 분석)

  • HwangBo, Jong-Gu;Yu, Young-moo;Jeong, Chan-Woong;Lee, Sang-Ho;Seo,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5-265
    • /
    • 2022
  • 유량조사는 측선수, 측정시간, 측정위치, 측정방법 등 많은 기준이 있으며 이를 잘 준수하는 것이 높은 품질의 유량측정 성과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기준을 잘 준수하더라도 현장 상황에 따라 유량측정 성과에 오차가 포함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류 소수력발전소의 방류량에 따라 유량이 변화하고 수위관측소 부근에 큰 저류공간이 있는 현장 여건이 유량측정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하였다. 홍천군(주음치교) 관측소는 홍천강 상류에 위치하며 소수력발전소의 운영에 따라 관측소를 흘러가며 그 유량이 소수력발전소의 영향으로 점변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측정시간을 최대한 짧게 가져가 유량자료의 정확도를 확보한다. 하지만 홍천군(주음치교)의 경우 수위관측소 주변에 큰 저류공간이 있어 이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단순하게 측정시간을 짧게 하는 것만으로는 측정성과의 품질을 확보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저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시간동안은 수위관측소의 수위 상승은 미미하지만 하천 유량은 증가하는 부등류가 발생한다. 유량측정은 등류가정에 의한 것으로 수위관측소 주변이 부등류가 발생하면 유량측정 성과에 큰 오류가 나타나기도 한다. 홍천군(주음치교)에서 현장 상황이 등류일 때와 부등류일 때 모두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저류공간의 물 유입이나 유출이 없는, 즉 등류 상태의 유량측정 성과는 수위-유량관계식과 2.86%차이를 보였으며 부등류 상태의 유량측정 성과는 19.85%차이를 보여 큰 차이를 보였다(기준수위 0.49m). 또한 소수력발전소 운영에 따라 유량 상승 시에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대비하야 양(+)의 편차율이 발생하고, 유량이 하강 시에는 수위-유량관곡선식 대비 음(-)의 편차율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력 발전소는 동절기를 제외한 상시 운영으로 홍천군(주음치교) 관측소의 정확한 수위-유량관계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수력 발전소 운영을 중단하고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유량변동을 멈추고, 즉 등류 흐름에서 측정한 성과는 수위-유량관계식과 차이가 1.06%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문조사는 측선수, 측정시간, 측점수 등 많은 기준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기준과는 별개로 현장은 다양한 조건이 발생하며 측정성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유량측정 기준을 잘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유량측정을 실시해야 그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