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통합 모델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3초

ATL/COM을 이용한 3차원+Temporal 객체 컴포넌트 구현 (Implementation of 3D+Temporal Object Components Using ATL/COM)

  • 이현아;임헌기;남광우;류근호;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9-72
    • /
    • 2001
  • CIS 기술 그룹과 데이터베이스 그룹간의 상호 연관된 연구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시공간의 개념에 대한 동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각 시스템간의 데이터 모델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지금까지 분산되어 있던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상호 운용성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의 통합 및 표준화의 진행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된 공간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고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3차원 시공간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이를 ATL/COM 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COM 컴포넌트의 장점인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상호 운용성을 위한 통합 데이터 모델로써 OGC 의 2차원 표준 모델을 3차원과 시간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COM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또한 공간 데이터를 WKB 구조로 정의하여 저장함으로써 시스템간의 이식성을 보장한다.

  • PDF

의미적 무결성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모델의 설계 (Design of Spatial Data Model Supporting Semantic Integrity Constraint)

  • 임정옥;이영걸;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48-50
    • /
    • 1999
  • 본 논문은 공간데이터와 비공간데이터를 통합처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을 보장하는 확장된 공간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루는 단순 객체가 아닌 추상화된 복합 객체로 다양한 유도 데이터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공간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 제약 조건을 사용자에 의해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정보를 술어 논리 형태로 표현하고 유지할 수 있는 무결성 공간 데이터 모델 (ISRDM: Integrity supported Spatial-Relational Data Model)을 제안한다. 제안된 공간 데이터 모델은 하부 단계 저장 구조, 개념적 데이터 표현 단계, 무결성 표현 단계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다단계 구조로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용이하게 확장하고 다양한 응용 요구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지하구조물 3차원 모델 자동검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Inspection Program for 3D Models of Underground Structures)

  • 김성수;한규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3-419
    • /
    • 2022
  • 지하공간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지하와 관련된 안전사고가 자주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서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2018.01.01. 시행, 이하 지하안전법)을 시행하고 있다. 지하안전법의 핵심이 되는 내용 중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하공간에 존재하는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지반의 지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 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통합지도 중 3차원의 지하구조물 데이터를 대상으로 3차원 모델 생성 후 이를 빠르게 검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3차원 지하구조물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동 검수하는 기술에 대하여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다. 핵심이 되는 연구내용으로는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할 때 3차원 지하구조물의 검수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3차원 모델 품질을 검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3차원 모델 검수과정을 98% 이상 자동화함으로써 지하공간통합지도 지하구조물의 3차원 모델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3차원 터널 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Tunnel Data Model for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s)

  • 이지연;류지희;정다운;안종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71-380
    • /
    • 2021
  • 본 연구는 지하공간통합지도에서 다루고 있는 지하시설물(구조물형) 중 터널 부문에 해당하는 지하차도, 지하철 선로를 대상으로 3차원 터널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터널 데이터 모델과 관련한 국제 표준 간의 특징을 비교·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CityGML 3.0 - tunnel module이 기존 표준과 비교했을 때 3차원 터널 데이터 모델을 설계함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데이터 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이후 3차원 터널 데이터 모델의 표준 요소 도출을 위하여 법·제도적 규정을 검토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지하차도와 지하철 선로의 추가·확장 표준 요소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토대로 UML을 이용하여 3차원 터널 데이터 모델을 설계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기반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구문론과 GIS 통합 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당진시 합덕읍 일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Space Syntax and GIS - A Case Study of the Hapdeok Area in Dangjin City -)

  • 윤정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22
    • /
    • 2012
  • 기존의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한 공간구조분석(Spatial Structure Analysis)은 가로망(road)에 관한 인자(factor)만을 활용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가로망 인자만이 아닌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인자를 도출한 현실성 있는 공간구조 분석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공간구조 특성인자를 도출하여 기존의 공간구문론과 GIS와의 통합모델을 구축하여 수정형 공간구조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합덕읍 일원의 중심지역을 대상으로 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의 공간구조 특성요인 및 상대적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인자로 가로망 뿐만 아니라 용도지역, 지가, 건물의 밀집도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합덕읍의 경우 도로만을 이용한 기존의 공간구조분석을 활용한 공간구조분석 방법이 실제적인 값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적 특성 인자를 추가하여 분석한 수정형 공간구조분석 결과가 합덕읍의 현실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합덕읍과 같은 경우 개발 축에 따라 가로망이 변화되고 중심성이 변화되는 지역이 아니라, 효율성과 형평성에 의해 가로망이 형성되거나 쇠퇴로 인해 중심성이 변화된 지역이기에 이러한 지역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방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구조분석 인자 선정 및 파라미터 선정에 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고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모델에 대한 상호 검증 및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CA-GIS 통합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CA-GIS System)

  • 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85-206
    • /
    • 2001
  • 셀룰라 오토마타(CA)는 복합체(complex system)의 특성과 행태를 분석하거나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 고안된 이론적 체계로 자연과학 및 공학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어왔다. 최근 GIS 분야에서는 CA가 가지고 있는 시공간적 동적 모델 구현의 개념적 우수성과 래스터 GIS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CA와 GIS를 이용한 다양한 모델링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개발된 CA모델들은 GIS의 제한된 기능을 바탕으로 구현되어 CA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며 실제적인 모델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A를 GIS의 모델링 엔진으로 결합하여 동적 공간 모델링 혹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의 CA-GIS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CA-GIS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CA-GIS 통합시스템은 GIS의 동적 공간 모델링 기능을 대폭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도시성장 예측모델 개발과 같은 실제적인 모델링 연구 수행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door Spatial Awareness Project and Indoor Spatial Data Model

  • Li,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41-453
    • /
    • 2008
  • LBS, GIS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우리가 다루는 공간은 더 이상실외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공간은 실외공간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내의 공간의 통합되고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새로운 이론, 데이터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기초이론을 개발하고, 핵심기술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인지(ISA) 프로젝트의 목표와 연구주제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실내공간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기초적 데이터타입과 연산자를 위한 프리즘데이터 모델을 소개한다. 또한 T. Kolbe가 제안한 실내공간 모델도 함께 소개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공간을 통합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PDF

공간통합 모델을 적용한 암괴류 및 애추 지형 분포가능지 추출 (Extraction of Potential Area for Block Stream and Talus Using Spatial Integration Model)

  • 이성호;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4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ity between block stream and talus distributions by employing a likelihood ratio approach. Possible distribution sites for each debris slope landform were extracted by applying a spatial integration model, in which we combined fuzzy set model, Bayesian predictive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Moreover, to verify model performance, a success rate curve was prepared by cross-valid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vation, slope, curvature, topographic wetness index, geology, soil drainage, and soil dept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bris slope landform sites. In addition, all spatial integration models displayed an accuracy of over 90%. The accuracy of the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of the block stream was highest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93.79%). Eventually, the accuracy of the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of the talus was also highest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97.02%). We expect that the present results will provide essential data and propose methodolog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fficient and systematic micro-landform studies. Moreover, our research will potentially help to enhance field research and topographic resource management.

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chnical Reference Model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 박동윤;이용익;최훈성;박재민;정연재;박수홍;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09-317
    • /
    • 2009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산업간 융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융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공간정보산업은 융합시대를 주도할 기반산업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분야의 체계적 종합적인 정보화를 위해서 다양한 기술 또는 시스템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을 위한 상호운용성과 호환성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개발 활동의 전반적인 지원 체계를 위한 분야별 분류 식별이 가능한 통합적인 관리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술융합시대에 공간정보의 영역은 어디까지 포함할 것인지 범위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 기술혁신사업에서 다양한 기술이 혼재되어 있는 5개의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과제 상호간의 유기적 통합 및 개발 위험 감소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공간정보 분야의 핵심기술에 대한 범위와 정의 그리고 기술의 중요성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이질적인 GIS 데이타 소스의 상호운용을 지원하는 CORBA기반의 표준 데이타 제공자 설계 (Design of CORBA based Standard Data Provider for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GIS Data Sources)

  • 김민석;안경환;홍봉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2권2호
    • /
    • pp.35-45
    • /
    • 1999
  • 기존에는 이질적인 GIS 데이타 소스간의 통합을 위해 랩퍼(wrapper)기술을 사용했다. 랩퍼(wrapper)는 외부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에게 이질적인 데이타 소스들의 통합 데이타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타와 지리정보처리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데이타 소스들의 통합은 표준 서비스를 포함한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표준을 따르는 상호운용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데이타 모델과 서비스가 필요한데 OGC (OpenGIS Consortium)의 OpenGIS(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가 이를 제공하고 있다. 분산환경에서 상호운용을 위한 기존방법은 각 데이타 소스별로 데이타 제공자를 개발하여 상호운용을 지원하였다. 따라서 중복 구현에 대한 문제와 구현에 따른 노력과 비용이 상당 부분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 제공자에서 공통부분을 추출 및 컴포넌트 화하고 데이타 소스에 종속되는 모듈은 CORBA 구현객체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각 데이타 소스들은 표준 데이타 제공자를 통해서 기존의 데이타 지원 기능유지와 상호운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OpenGIS Feature모델을 기반으로 한 표준 인터페이스로 데이타 소스에 접근한다. 데이타 소스는 표준데이타 제공자와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CORBA의 구현 객체 서버를 작성함으로서 중복구현 및 구현부담을 줄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