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플랫폼

Search Result 53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election of Hydrologic Factors of NASA LIS for Water Hazrd Information Platform (수재해 정보 플랫폼에 활용 가능한 NASA LIS의 수문인자 선정)

  • PARK, Gwang-Ha;BAECK, Seung Hyub;CHAE, Hyo-So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1-471
    • /
    • 2017
  • 최근 기상 이변으로 인해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수재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수재해예방 등의 안전 기술과 관련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수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먼저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수재해 감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위성, 레이더 등으로 관측된 자료를 활용한 수문인자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미국 NASA의 LIS(Land Information System)는 위성 및 지상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 가뭄, 기상, 산사태, 농업 등의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이다. LIS는 크게 지표면 모델 및 자료동화를 위한 변수들의 전처리 과정(LDT), 지표면 모델을 활용한 분석 및 자료동화 과정(LDAS) 및 분석된 자료의 검보정(LVT)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LIS에서 산출 가능한 인자는 Energy Balance, Water Balance, Surface/Subsurface State, Evaporation, Hydrologic, Cold Season Processes, Compared Data, Carbon 등 9개로 분류되며 약 78개의 인자를 산출한다.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수재해 감시를 위한 수문인자는 강수량,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표면 온도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인자들이 필요하다. LIS는 주로 미국, 캐나다 등 평활한 지역에 활용되어 공간해상도는 약 10km(0.1deg) 이하로 자료를 산출한다. 산악 지형이 대부분인 한국 지형에 적용하기에는 자료의 정확성이 낮아 10km 이상의 공간해상도 자료가 필요하며, 한국형 수재해정보 플랫폼에서 홍수, 가뭄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수문인자의 선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NASA LIS를 통해 산출 가능한 인자를 정리하고 한국형 수재해 정보플랫폼에 활용 가능한 수문인자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홍수, 가뭄 등 수재해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는 강우량, 유출량, 잠재적 증발산량, 식생의 증산량, 토양수분, 표면온도, 알베도 등의 수문인자이며, NASA LIS에서 이와 같은 수문인자 산출이 가능하다. NASA와 국제공동 연구중인 한국형 물순환분석 프레임워크(K-LIS(안)) 개발을 통해 한국 지형에 적합한 홍수 및 가뭄 등의 수재해 감시 평가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K-LIS에서 산출되는 고해상도의 수문인자들을 수재해 정보 웹 포털의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하여 손쉽게 접근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sign of Hybrid Storage Manager for Realtime Services in LBS Platform (LBS 플랫폼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 설계)

  • Park Jun-Yong;Kim Ho-Seok;Kim Myoung-Keu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53-156
    • /
    • 2004
  •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 요구사항은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검색과 질의에 대한 빠른 응답시간이다. 그러나 기존의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에서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빈번한 디스크 I/O로 인해 발생하는 질의응답에 대한 시간지연으로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한번에 주기억장치에 적재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의 다단계 저장 관리를 통해 LBS 플랫폼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를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 시스템은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이동체 데이터의 효과적인 저장 및 관리를 위해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디스크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통합한 구조를 가진다. LBS 플랫폼에서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고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를 하고, 사용 빈도가 적은 데이터는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저장 관리자를 제시한다.

  • PDF

Integration Control MiddleWare for Next Generation Telematics Service (차세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통합 제어 미들웨어)

  • Kang, Gi-Soon;Yoon, Yong-I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7 no.3 s.15
    • /
    • pp.83-92
    • /
    • 2005
  • Telematics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for driver's the safety or entertainment, and it makes drivers possible to use those services in the moving space, as if he/she is at home or at office. As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Telematics market grows larger, standard platform for the intelligent telematics is required.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e and module control design of the intelligent telematics that recognizes driver's needs and pushes customized services to the driver at real-time.

  • PDF

The Trends of Geospatial Web Technologies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

  • Jang, Y.S.;Oh, J.H.;Kim, K.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124-135
    • /
    • 2007
  • 분산환경의 지리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통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부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SOA를 기반으로 하는 지리공간 웹(geospatial web)은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검색,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지리공간 웹은 최근의 차세대 웹(웹 2.0) 환경에 발맞추어 기존의 공급자 위주정보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 발전해가는 지리공간 디지털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본 고에서는 SOA 및 웹 2.0(web 2.0)에 대한 개요와 함께, SOA를 기반으로 한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과 웹 2.0 환경을 플랫폼으로 하는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서비스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The Design of 5G Smart City Convergence Service Platform (5G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플랫폼 구조 설계)

  • Ko, Eun-Jin;Han, Mi-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60-261
    • /
    • 2019
  •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도시내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 공간의 상황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스마트시티 시스템들은 IoT 센서들의 정보를 모아서 보여주고 고정형 CCTV 의 영상을 관제 시스템에서 보여줌으로써, 관제사에 의한 상황 파악을 주 목적으로 개발되고 운용되어 왔다. 최근 5G 무선 통신망이 구축되면서 5G 의 edge computing 기술과 영상 정보, 센싱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분석 및 대응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위 기능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Geospatial Data Catalogue Service ; Status and Issues

  • Chang, Eun-Mi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4
    • /
    • pp.463-468
    • /
    • 2009
  • Geospatial interoperability has been pursued by propagating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GC standards. The NGIC, GeoConnection and other catalogue services are reviewed with aspect to metadata and search functions. Detailed metadata could be driven to users after finding what they want to have. Criteria for search were not fully overlapped with metadata, as simple and typical searches are prevailing. OGC catalogue service standards were made but catalogue services in Korea have been implemented in their own ways, not fully compliance-tested. Different domai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egardless of geospatial service, the relationship and integration methods between catalogue services and other core technologies are reviewed in the form of a pair table. Other issues in geospatial service were discussed in the level of raising issues.

  • PDF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 Kwak, Seung-Jin;Noh, Younghee;Shin, Jae-M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3
    • /
    • pp.7-25
    • /
    • 2017
  • The problem of library space has long been discuss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ibrary relations,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the complex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nd the social paradigm,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he complex space of the future library by analyzing each case. All concepts such as mediatheque, information commons, larchiveum, and the maker space that is recently introduced into the library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complex space presented as a problem of library construction and space. The future library reflects these concepts and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information and users, users and users, users and media to support reading, information, learning, rest, community-oriented culture and creation, start-up and collaboration. It should be constructed as a multi-space platform to create new value through.

CoSpace : A Web-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 Supporting Shared Workspaces (CoSpace : 공유작업공간을 지원하는 웹 기반 공동작업환경)

  • 정수권;김규완;김인호;한천용;이명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27-229
    • /
    • 1999
  • 과거 대부분의 CSCW(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시스템은 특정 플랫폼에 의존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당 플랫폼 환경이 구축되어진 조직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다. 최근 어디서나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플렛폼에 독립적인 환경을 지원하는 웹의 급속하고도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많은 CSCW 시스템들이 웹 환경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고 또한 현재 개발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웹 기반 CSCW 시스템인 CoSpace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CoSpace 시스템은 작업 그룹의 구성원들이 공동작업을 위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작업공간을 지원한다.

  • PDF

Analysis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y (USN 기술 동향 분석)

  • Kim, Gwi-Hyun;Choi, Myeong-Soo;Kim, Ha-Jeong;Kim, Ki-Young;Jeong, Min-A;Kim, Seo-Gyun;Lee, S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862-863
    • /
    • 2009
  •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센서와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물리공간에서 측정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인터넷 같은 전자공간에 연결된 루트노드로 전달하는 입력시스템 역할을 한다. 물리적 세계와 사이버 세계를 연결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의 개념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지능형 환경 모니터링, 위치인지 서비스, 지능형 의료시스템, 지능형 로봇 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대해 하드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플랫폼 위주의 기술 동향을 분석해 보고자한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the Presumption of Old Urban Space -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eat Map of Seoul -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도성대지도를 바탕으로 -)

  • Choi, Mu-Yong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9
    • /
    • pp.107-115
    • /
    • 2018
  • It is a basic study to speculate the old form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how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synthesize multiple data describing the pas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to the first half time of Seoul 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Data is structured systematically and inclusively through digitizing, visualization, and specification. Through this, the city's urban space scene is reconstructed as a map of the city. And maps include various humanities information explaining the aspects of space activities. And it will become a system that will facilitate data management and improve the clarity of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