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Search Result 16,26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f strategy on Geo-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and data management for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DB구축방안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

  • Jung, Seung-Kwon;Choi, Jung-Min;Lee, Kyoung-Do;Yoon, Tae-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52-1657
    • /
    • 2009
  • 종이지도, CAD 도면, 항공사진과 같은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저수지 퇴사자료는 자료의 훼손 변질 등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자료관리를 위한 인력의 업무중복 및 시간부족에 따른 조사자료의 질의 저하 및 부정확성 문제 등 퇴사자료 관리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수지 퇴사자료의 DB구축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축되고 있는 항공사진과 같은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으로 기존 자료와의 상호 활용성 미흡, 관련 사업의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업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퇴사자료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저수지퇴사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구축된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공간정보 DB의 구축과 자료관리방안 수립으로 시 공간적 변화로 인한 저수지 퇴사를 쉽고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공유기반 및 활용체계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댐운영관리 및 수자원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Method to Process Spatial Information in Parallel Spatial DBMS (병렬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공간 정보 처리 방안)

  • 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811-812
    • /
    • 2016
  • 최근 공간 정보는 생산 되는 양과 데이터의 생성 빈도 및 다양성으로 인해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어렵다. 그래서 공간 정보는 빅데이터와 연계에 관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단일할당, 다중할당 색인기반 공간 연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연산 중 비용이 매우 큰 공간 조인을 빅데이터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위한 고려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맵리듀스 시스템의 태스크 할당을 위한 단일 할당 공간 색인방안을 설명하고, 불균일 분포가 심한 공간 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부하 균등화 시 고려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맵리듀스와 같은 병렬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두 가지 문제인 데이터 불균일 분포 문제와 경계 겹침 색인의 문제와의 연관성을 기술한다.

  • PDF

3D Spatial Info Development using Layered Depth Images (계층적 깊이 영상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구현)

  • Song, Sang-Hun;Jo,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97-102
    • /
    • 2007
  • 3차원 공간정보는 2차원에 비해 공간적 현실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최근 경관분석,도시 계획 및 웹(Web) 을 통한 지도 서비스 분야 등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3차원 공간 정보의 기하학적 특성상 기존의 2차원 공간정보에 비해 데이터 량이 방대해 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또 다른 콘텐츠 제작과 빠르고 효율적인 처리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성 및 항공으로부터 획득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생성된 3차 원의 지형정보와 도시 모델링 및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위치에 카메라를 설정하고, 설정된 카메라 위치를 기반으로 Camera Matrix를 구한다. 이렇게 획득한 카메라의 정보엔 깊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의 워핑(Warping)작업을 통해 계층적 핍이 영상(LDI)를 생성하고,생성된 계층적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의 공간정보를 구현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Database System Supporting Integrity maintenance Facility (무결성 유지 기능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Young-Geol;Bae, Hae-Yo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9
    • /
    • pp.2224-2232
    • /
    • 1998
  • 본 논문은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연계 처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을 보장하는 확장된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다양한 실세계의 지형 및 공간 정보를 모델링해야하는 지리정보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단순 객체가 아닌 추상화된 복합 객체로 다양한 유도 데이터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공간 데이터의 의미적 특성을 제약 조건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 처리기를 확장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정보를 술어 논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 제약 언어를 제안한다. 제안된 공간 제약 언어는 축약된 질의 트리 형태로 메타-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공간 제약 언어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일치성을 보장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 PDF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 Choe, Byong Nam;Lee, Ji Hun;Park, Jin Sik;Kang, In G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53-64
    • /
    • 2015
  •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nts based on frequency survey and case study. However, such research methods do not have objectivity in setting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data. This research uses factor analysis with 104 medium-level layers from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Base Map and 5 layers from the other sources including cadastre and aerial image. Each layer is scaled with usage level as four different patterns of 1) background data, 2) reference data, 3) base data, and 4) other data,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ayers are grouped into 5 to 7 factor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OVA reveals tha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ith high values and the other factors with low values under each patter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high value factors under each pattern consist of similar layers, close to identical, with those under the other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framework data system, inclu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ydrography, elev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orthoimagery, geodetic control, and cadastr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framework in this research will be a basis of establishing spatial data sharing system. For sharing proposed framework data in various fields, these data must b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s actual standard and also related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Image (무인항공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 활용 방안)

  • Lee, Keun-Wang;Park, Joon-K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2
    • /
    • pp.201-206
    • /
    • 2019
  • Korea is constructing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but it is trying to establish a system for joint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centering 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Transport due to the problem of sh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imag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s of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are concentrated on the public services and it is difficult to share and utilize data between administrative departments. In addition,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image has been suggested, an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vector display, area calculation, and report generation have been deriv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If additional functions of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are added through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as a basic data of field survey and policy decision in related fields. And non-exper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 by utilizing highly accurate geo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An Architecture for a Spatial Big-Data Management System on Hadoop (하둡기반 공간 빅데이터 저장 관리 시스템 구조)

  • Lee, Kang-Woo;Cho, E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하둡 환경상에서 개발 중인 공간 빅데이터 저장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공간 센서 및 IoT의 등장으로 대용량화된 공간 데이터로 인한 기존 공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성능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중이다. 본 시스템은 효과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빅데이터 처리 기술과 공간 정보 처리 기술을 접목하여, 대용량의 공간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효과적인 공간 데이터의 접근을 위해 스크립트 언어 기반의 공간 정보 처리 언어를 제공하고, SQL 형식의 선언적 공간 정보 질의 처리 기능도 제공하기 위해 개발 중에 있다.

  • PDF

Value Chain Analysis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Application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 Choi, Won Wook;Hong, Sang Ki;Ahn, Jong W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2
    • /
    • pp.73-87
    • /
    • 2014
  • The fact that the limits of information recency, diversity, and us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 supply oriented geospatial data and service development is commonly recognized. It is recentl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by facilitating user experience and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everal geospatial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10C framework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through review and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10C framework, the value chain system of 23 use cases relevant to the geospatial web service involving the creation of user's VGI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value chain analysis is applied to examine and formulate the strategies to generate value addition from public spati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creation, aggregation, delivery, and consumption process of VGI.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 Kim, MoonGie;Yoon, DongHyeon;Koh, June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2
    • /
    • pp.59-68
    • /
    • 2015
  • According to the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conducted since 1995,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s been accumulating huge amount of geospatial data.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tarted its GeoSpatial open platform (V-World) service in January 2012, also offering a wide range of functions and services. However, the National GeoSpatial open platform is still woefully deficient for the users to find their desired data, lack of data for private business area, insufficient in publicity of local governmen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rough analyzing current research trend after GeoSpatial open platform served for three years, study on overseas expansion, system links, service improvement, utilization and future strategy has been mainly conducted. This study, by analyzing the advanced overseas GeoSpatial platform as well as domestic research trend and combining the concept of new technology, business platform and SM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eoSpatial platform, proposes a policy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