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집중

Search Result 1,20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Effects of Pink Noise on Brain Wave Concentration Index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Intelligence (Pink Noise가 개인별 특성에 따라 뇌파 집중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 Shin, Seong-Kweon;Shim, Jun-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481-492
    • /
    • 2013
  • This study sorted scor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intelligence by sex, handle, blood type and age through previous questionnaire with 462 adult males and females. Then electrode was attached to prefrontal lobes Fp1 and Fp2 with EEG measuring system and changes of concentration between no stimulation state and pure pink noise stimulation and their relations to multiple intelligence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variance, the mean concentration of all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ink noise stimulation compared to no stimul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ft-hander, type A blood, and group in their thirties except for gender. Concentration in pink noise state strengthened the relation to spatial intelligence and made negative correlations with musical intelligence compared to no stimulation st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on using pink nois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Effect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river TP concentration (유역 특성이 하천 총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o, Ji Yu;Kim, Sang 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5-16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하천 수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수생태계의 손상을 야기하고 인류를 위한 하천의 물 공급원 기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오염된 수생태계에 대한 효과적인 맞춤형 관리전략을 수립하려면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적 및 공간적 변동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체 유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동성에 집중하여 하천 수질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낙동강 유역 전역의 40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서 5년 동안 수집된 하천 총인 농도와 유역특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통계모델 선정을 위해 완전 탐색 접근법과 베이지안 추론이 적용되었다. 완전 탐색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 단계 완전 탐색의 결과로 유역특성 자료들의 중요도가 선정되었으며 2 단계 완전탐색 결과로 통계모델이 우선 선정되었다. 우선 선정된 통계모델은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불확실성이 분석되었고 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한 최적 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낙동강 하천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에 대한 통찰력이 제공된다. 또한 식별된 주요 유역특성은 유역특성 변화에 대한 하천의 수질 반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opological spatial relation based on hieraichy among physical objects (물리 객체의 계층구조를 기반으로 한 위상 공간 관계)

  • 최성혜;이정욱;조진영;이은희;박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74-276
    • /
    • 2002
  • 실세계와 유사한 가상 세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 상의 물리 객체간의 공간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는 2차원 상의 공간 관계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수평 관계만 제시해줄 뿐 수직관계를 제시해 주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물리 객체간의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한 계층적 위상 공간 관계 HTSR을 제안한다. 이는 4-intersention model에 적용한 것으로 16위상 관계 중 6개가 성립하고 물리 객체간의 공간관계를 더욱 다양하게 재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 PDF

유토피아-이상에서 현실로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s.222
    • /
    • pp.88-89
    • /
    • 2008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공간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집중하면서 20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생활 양식을 제시하고자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손잡고 디자인 혁명을 일으켰다. 당시의 혁신적인 디자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를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Rainfall-Sediment-Runoff Estimat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Sik;Lee, Gi-Ha;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42
    • /
    • 2010
  • 기후변화에 의해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지속적인 유역개발에 따른 토지이용의 증가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로 인한 재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은 대부분 대상유역내의 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출하는 총량적 개념의 경험식이므로 호우기간동안의 유역 침식/퇴적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모의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유역규모의 강우-유사-유출 메카니즘 해석을 위해서는 집중형(lumped) 모의기법을 대체하고 다양한 기상학적/지형학적 디지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유출모의 모듈과 단위수류력(Unit Stream Power)이론을 기반으로 유사유출 모의모듈을 결합한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개발하고, 용담댐 상류부의 천천유역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재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for Comparison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Models (지리정보 유통모형 비교분석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5-379
    • /
    • 2007
  •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국가GIS사업을 비롯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각종 GIS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리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유통망과 같은 정보 유통체계는 유통 상품이 물류배송이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유통흐름을 가지고 있어 유통의 주체, 객체, 수단, 환경 등 제반 요소의 변화에 따라 유통모형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에 적용된 유통모형은 크게 중앙집중형,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현황과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여 초기 단일 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앙집중형에서 점차 지역별 통합관리소가 운영되는 지방분산형으로 전환되었고, 근래에는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이 통합된 혼합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용된 유통모형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해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유통모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정보 유통을 고려하는 사업의 참고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유통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Land use Survey and Monitoring Forcus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in Taejeon (도시철도 역세권의 공간이용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 Cho, Byung-Ho;Choi, B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457-465
    • /
    • 2011
  • This research, which was started with a need for constant monitoring to find out urban societies and spacial effects by urban railway after the opening, was intended to empirically explore urban and social changes by the opening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which would greatly affect the spacial structure of the city. For this goal, we expected the effect of urban subway on the city with academic consideration and precedent study. Monitoring results of the subway station areas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showed the opening of urban railway had an influence on the flow of urban plan and urban space structure through population, land use, total-developing areas, and land price change. In other words, as urban railway open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population activities center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and these movements led to the expansion of the commercial areas. Finally, they caused the average land prices to rise. Likewise, urban monitering is significantly useful comprehending the generally time-periodic changes of cities and even conceiving the present cities.

A Study on Space in the Moveis of Hirokazu Koreeda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영화의 공간 연구)

  • Hwang, Woo-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343-363
    • /
    • 2018
  • Classical film narrative fails to reflect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In this era of film narrative crisis Hirokazu Koreeda presents a new solution. The director puts an emphasis on neutral valuation over subject matter rather than empathy of audiences which leads to a biased point of view. Thus Hirokazu Koreeda choose space over story as a critical narrative enabler. Two qualitatively opposite spaces are presented and the boundary space of the two are set as a main background where the valuation over the spaces waves up and down. Audiences who get accustomed to a one-sided value judgement led by storytelling can be neutralized by pendulum movement of valuation. The specific methods of using space as a main tool of value neutralization have changed through the director's filmography. Space had been thoroughly designed through the storyboard in early works. Later the director let audiences experience the spaces to evoke a sense of place.

Spatial Extension of Runoff Data in the Applications of a Lumped Concept Model (집중형 수문모형을 활용한 홍수유출자료 공간적 확장성 분석)

  • Kim, Nam Won;Jung, Yong;Lee, Jeong 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9
    • /
    • pp.921-932
    • /
    • 2013
  • Runoff data availability is a substantial factor for precise flood control such as flood frequency or flood forecasting. However, runoff depths and/or peak discharges for small watersheds are rarely measured which are necessary components for hydrological analysis. To compensate for this discrepancy, a lumped concept such as a Storage Function Method (SFM) was applied for the partitioned Choongju Dam Watershed in Korea. This area was divided into 22 small watersheds for measuring the capability of spatial extension of runoff data. The chosen total number of flood events for searching parameters of SFM was 21 from 1991 to 2009. The parameters for 22 small watersheds consist of physical property based (storage coefficient: k, storage exponent: p, lag time: $T_l$) and flood event based parameters (primary runoff ratio: $f_1$, saturated rainfall: $R_{sa}$). Saturated rainfall and base flow from event based parameters were explored with respect to inflow at Choongju Dam while other parameters for each small watershed were fixed. When inflow of Choongju Dam was optimized, Youngchoon and Panwoon stations obtained average of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were 0.67 and 0.52, respectively, which are in the satisfaction condition (NSE > 0.5) for model evaluation. This result is showing the possibility of spatial data extension using a lumped concept model.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tive Factors of Typhoon Disasters in Korea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 이은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79-190
    • /
    • 1998
  •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큰 편은 아니나 우리는 거의 해마다 태풍으로 인한 재해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태풍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인구과밀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풍재해의 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태풍재해를 유발하는 기상적 요인과 더불어 경제.사회적 조건이 재해의 규모 및 강도에 미치는 기여도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반도에 큰 피해를 남기는 태풍의 진로는 서해를 따라 북진하다가 반도부를 거쳐 동쪽으로 빠져나가는 E경로로서 한반도의 동쪽을 통과하는 진로를 취할 때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재해지역의 공간분포는 대체로 남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태풍재해는 일반적으로 태풍중심에서부터 피해지역가지의 최단거리, 강수량, 최대풍속 등의 기상적 요긴과 피해지역의 토지이용 및 그 지역의 산업구조를 포함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그리고 재해대책수준 및 태풍예보기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태풍의 피해의 정도가 결정됨을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의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침수로 인한 피해는 경남과 전남의 농촌지역에서 넓게 나타나고, 경제적 손실은 대규모의 도시와 공업이 발달된 경남해안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태풍재해의 규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예보기술의 향상을 도모해야 함은 물론 홍수예방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GIS 기법을 활용한 방재정보시스템에 기초하는 도시종합방재대책을 수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