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주의

Search Result 5,38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 서울의 사례)

  • Yim, Seok-Hoi;Lee, Y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70-279
    • /
    • 2002
  •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뚜렷한 변화의 하나는 빈부격차의 확대와 함께 사회계층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사회적 양극화가 공간적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서울을 사례로 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서구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이미 1990년대 초 세계화 또는 세계도시가 주요한 연구주제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선진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계에 도달한 포드주의 축적체계가 포스트 포드주의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사회적 양극화가 자본의 유연화 및 세계화 전략과 맞물리는 현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서구 선진국과 유사하다.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지식기반경계의 대두로 고소득 전문직이 등장하는 반면, 중산층의 몰락과 더불어 임시적 고용이 확대되고 실업이 만성화되는 등 자본의 세계화와 유연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극화 양상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IMF 경제위기는 단지 그러한 사회적 양극화를 급속히 진행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의 격차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특성을 갖는다. 왜곡된 시장구조에서 무엇보다도 부동산과 같은 자산소득의 격차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서울은 이와 같은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가 한 도시 내에서 전형적으로 전개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내 어떤 도시보다도 세계화되어 있고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사회적 양극화는 공간적으로도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서울은 크게 주거지로서는 공동화되고 있는 중구 종로구 용산구 등 사대문안의 구도심지역,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이후 계획적으로 계발된 이른바 강남의 신흥주택 및 신산업 지역,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 제조업 중심의 구 산업 및 저소득층 주거지역 그리고 그 나머지 강북 강서 강동 등의 전형적인 주거지역 등 4개 유형으로 지역이 구분된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이후에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하는 고소득증의 주거지와 그 나머지 주거지로 공간적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 양극화의 이와 같은 공간화 과정에는 자산소득의 격차를 확대하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높은 지가 및 아파트 가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높은 부동산 가격이 이 지역에 대한 일종의 진입장벽을 참음으로써 고소득층에 의한 공간독점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공간적 양극화를 촉진하는데는 지하철 및 문화복지시설의 집중 둥 불균형적인 공공투자와 강북에서 이전한 명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8학군 등 양호한 교육환경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에서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이라는 일반적인 요인 외에도 부동산 가격 및 소득 그리고 생활인프라의 격차를 통해 공간적 양극화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내 다른도시에서도 전개되고 있는지, 공간적 양극화로 인한 도시문제는 무엇이고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한글 단어 재인에서 시각적 요인에 따른 공간주의의 영향)

  • Ko Eun Lee;Hye-Won L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1
    • /
    • pp.1-20
    • /
    • 2023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The visual complexity of words (Experiment 1) and contrast (Experiment 2) were manipula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differs depending on visual quality. Participants responded to words with and without codas in experiment 1 and words in high-contrast and low-contrast conditions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condition where spatial cues were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valid trial) and the condition where the spatial cues were not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invalid trial) as the cuing effects. As a result, the cuing effects were similar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words. It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not different across the visual complexity conditions. The cuing effects were greater in the low-contrast condition than in the high-contrast condition. The greater effect of spatial attention when the contrast is low was explained as a mechanism of signal enhancement.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for Words on Implicit Memory (단어에 대한 공각적 주의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심원목;김민식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13-22
    • /
    • 200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spatial attention in implicit memory for words when the word identity processing was not required. Spatial attention to the identity-irrelevant perceptual features of the words was manipulated by using a visual search task (Experiment 1) or a focused attention task (Experiment 2). In two e experiments. a significant priming effect was not found for the target words as well as for the distractor words. Implicit memory for words was not affected by spatial attention on the perceptual properties of the words. indicating that the word identity processing is required to produce priming.

  • PDF

Effects of Object- and Space-Based Attention on Working Memory (대상- 및 공간-기반 주의가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 Min, Yoon-Ki;Kim, Bo-Seong;Chung,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2
    • /
    • pp.125-14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ace- and object-based attention on spatial and visual working memory, by measuring recognition of working memory on the spatial Stroop task including two modalities of attention resource. The similarity condition of stimulus arrangement between working memory task and spatial stroop task was manip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pace-based attention on spatial rehearsal during working memory task, while Stroop rendition was manip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based attention on object rehearsal during working memory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in a condition that stimulus arrangement was highly similar for the spatial working memory task and the spatial Stroop task, recognition accuracy of the spatial working memory was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troop conditions. In contrast, the recognition accuracy of visual working memory in the incongruent Stroop condition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gruent Stroop condi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imilarity conditions (25% vs. 75%).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ective attention has effects on working memory only when resource modality of working memory is the same as that of selective attention.

  • PDF

Time and Space through Minimum Units in Animation -Focus on Structural Linguistics- (애니메이션의 시간소와 공간소를 통한 시간성과 공간성 -구조주의 언어학을 중심으로-)

  • Kim, Ji-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10
    • /
    • pp.126-134
    • /
    • 2007
  • It have been studied many researches for time and space in film, drama and even animation. This study, however, is for investigating a new methodology of time and space study base on the structural linguistics. It can not be detected any of previous study on this method, and it is the first time to try out for researching with the structural linguistics of time and space in animation with this concept. In order to study on the time and space by applying a new method of structural linguistics, it is identify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the minimum unite of time and space and than analysis with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Consequence of this study, it can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study in the ways of structural linguistics in animation. Further study is to apply this method on character design in anim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Elements and Practical Using Method in Space Diagram of UN Studio (UN Studio의 공간 다이어그램 구성요소와 활용방법 분석)

  • Choi, Eun-Hee;Eune, Ju-Hyun;Kwon, Young-Gull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5 s.67
    • /
    • pp.75-84
    • /
    • 200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ceptual contents of space diagram, and to find its elemen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by analyzing the UN Studi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contents represented in space diagram are classified into four elements - motif, flow, relationship, and distribution. Secondly, space diagram is used in program development, schematic design, and preliminary design of design process phases. Thirdly, the elements based on the case diagrams include five elements: context analysis, object analysis, time-behavior analysis, modeling analysis, and space analysis. Fourthly, in practical use, diagrams with motif concept is usually used in modeling analysis, and diagram with flow concept is commonly used in the analysis of time-behavior and object. Diagrams with relationship concept is mostly used in space analysis, secondly in analysis of context and modeling. Further, diagrams with distribution concept is usually used in space analysis. If one uses these findings for design projects in practical business or education, it would be helpful in design concep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of design information structuralization.

  • PDF

The cultural marketing and role of lighting (문화마케팅과 조명의 역할)

  • Kim, Young-Jin
    • Korean Architects
    • /
    • s.513
    • /
    • pp.62-67
    • /
    • 2012
  • 빛은 공간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조형적 요소로서 사용되면서 시각적 감성을 자극하는 하나의 요소로 다양한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빛은 다른 공간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여러 요소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부여한다. 즉, 공간에서의 빛은 새로운 조형성과 공간감을 생성하고 조형적인 빛의 요소로 새로운 공간의 의미를 창조하고 변화시키고 있다. 공간에서 빛은 공간을 특화 시키고 감성적 호소력까지 제고하기 위한 주된 수단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공간에서의 조명효과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간에 나타난 빛의 다양한 조형적 표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공간에서 조명의 새로운 활용가치와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빛을 이용한 미래지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 PDF

공간클럽(09)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418
    • /
    • pp.86-89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2)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5 s.421
    • /
    • pp.98-102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3)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8 s.412
    • /
    • pp.60-65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