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이질성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Effects of Neighborhood Segmentation on the Adequacy of a Spatial Regression Model (인근지역 범위 설정이 공간회귀모형 적합에 미치는 영향)

  • Lee, Chang Ro;Park, Key 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6
    • /
    • pp.978-993
    • /
    • 2013
  • It can be advantage as well as disadvantage to use the spatial weight matrix in a spatial regression model; it would benefit from explicitly quantify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geographical units, but necessarily involve subjective judgment while specifying the matrix. We took Incheon City as a study area and investigated how the fitness of a spatial regression model changed by constructing various spatial weight matrices. In addition, we explored neighborhood segmentation in the study area and analyzed any influence of it on the model adequacy of two basic spatial regression models, i.e., spatial lagged and spatial error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it can help to improve the adequacy of models to specify the spatial weight matrix strictly, that is, interpreting the neighborhood as small as possible when estimating land pri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spatial error model would be preferred in the area with serious spatial heterogeneity. In such area, we found that its spatial heterogeneity can be alleviated by delineating sub-neighborhoods, and as a result, the spatial lagged model would be preferred over the spatial error model.

  • PDF

Spatial Dependency and Heterogeneity of Adult Diseases : In the Cases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e U.S.A. (성인병의 공간적 의존성과 이질성 : 미국의 비만, 당뇨, 고혈압을 사례로)

  • Yang, Byung-Yun;Hwang, Chul-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610-622
    • /
    • 2010
  • The proportion of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up to recently. Many studies related to obesity have concentrated on jurisdictional levels of aggregation, making it very difficult to dearly illustrate at risk regions. In other word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relation to spatial patterns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y and heterogeneity by spatial autocorrelation models over space. In response, this research analyzes spatial patterns between overweight/obesity and risk factor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over space. Specifically, the Moran''s I and Geary''s C will be conducted for global and local measures. What is more, the Ordinary Least Square (OLS) linear regression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ethods will be applied to identify spatial dependency and spatial heterogeneity. Data provided by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have Body-Mass Index (BMI) rates, containing 4 rates of under, healthy, overweight, and obesity. In addition,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rates in the United States will b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astly, we are confident that this research will be beneficial for a decision maker to make a prevention plan for obesity.

  • PDF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

An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Using the Geostatistical Method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변인의 시공간적 이질성 분석)

  • Kim, Jung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75-81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and spatial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from the spatial and temporal perspective.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influenc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transport, loc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conditions,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analyzed from the global and local aspect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ing patterns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First, to establish an analysis model, OLS analysis and GW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reby more efficient and proper model was selected. Secondly, to find spatial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use of the selected GWR model, Local $R^2$ was used for local analysis. Thirdly, to look into spatial distribu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kriging analysis was carried ou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more microscopic housing submarket analysis and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policy on real property.

Construction of Ontology for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방안 연구)

  • Shin, Hyung Jin;Shin, Seung Hee;Hwang, Eui Ho;Chae, Hyo 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7-627
    • /
    • 2015
  • 기존 물관련 시스템들은 독자적인 DB 구조를 가지고 있고 검색 서비스는 자체 시스템의 DB를 직접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시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단점은 사용자가 개별 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개별 시스템의 개별 서비스의 개념을 벗어나기 위하여 물관련 시스템에 있는 하천공간자료 검색 정보를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하고,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된 검색정보를 사용자가 검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카탈로그 서버에 자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자료의 정보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개별 서버마다 등록하게 된다면 용어 및 문화에 의한 차이로 같은 개념을 다른 용어로 등록하게 되는 혼란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강우자료에 대하여 "강우", "Precipitation", "Railfall", "비" 등으로 등록할 소지가 있다. 이러면 실제 자료가 존재하는 데도 등록 방법에 따라 자료의 검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상황을 제어하기 위하여 검사어휘(Controlled Vocabulary)를 도입한다. 이는 포털의 운영자가 미리 용어의 개념과 용어의 분류체계를 설정하고 등록 자료의 검색어를 미리 설정하여 자료의 원천 소유자가 자료를 등록 시 검사어휘를 참고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는 용어의 자료인 경우 이 용어를 포탈에 신규로 등록한다. 검색용어의 난립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규등록은 포탈의 운영자가 어느 정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검사어휘의 정립과 하천 관련된 분류체계는 하천공간정보 검색의 포탈을 위한 필수사항이다. 검사어휘의 정립의 주된 목적은 이질성의 극복이다. 이질성의 종류는 문법적 이질성, 데이터 형식과 구조 및 문맥적 이질성이 있다. 이 중에서 문맥적 이질성이 가장 넓고 어려운 문제이다. 단위는 분야마다 호칭이 다르고 채택하는 기준마다 다르다. 유사어는 전문용어라도 분야마다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서비스 인코딩시 국어와 영어를 어떻게 처리할 지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수문학의 시계열 자료를 다루는 CUAHSI/HIS의 온톨로지는 대 개념으로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분야로 분류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데이터 분석 및 분류, 온톨로지 요소 설정, 온톨로지 데이터 테이블 작성, 클래스 생성 및 계층화, 클래스 계층화에 따른 속성 설정, 클래스에 적합한 개체 삽입, 논리 관계 확인 및 수정과 같은 과정으로 온톨로지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Data Analysis for the U.S. Regional Income Convergence,1969-1999: A Critical Appraisal of $\beta$-convergence (미국 소득분포의 지역적 수렴에 대한 공간자료 분석(1969∼1999년) - 베타-수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Sang-Il Le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2
    • /
    • pp.212-228
    • /
    • 2004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n important aspect of regional income convergence, ${\beta}$-convergence, which refers to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income levels and income growth rates of regions over a period of time. The common research framework on ${\beta}$-convergence which is based on OLS regression models has two drawbacks. First, it ignores spatially autocorrelated residuals. Second, it does not provide any way of exploring spatial heterogeneity across regions in terms of ${\beta}$-convergence. Given that empirical studies on ${\beta}$-convergence need to be edified by spatial data analysis, this paper aims to: (1) provide a critical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n ${\beta}$-convergence from a spatial perspective; (2) investigate spatio-temporal income dynamics across the U.S. labor market areas for the last 30 years (1969-1999) by fitting spatial regression models and applying bivariate ESDA techniqu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of ${\beta}$-convergence was only partially evidenced, and the trend substantively varied across sub-periods. Second, a SAR model indicated that ${\beta}$-coefficient for the entire period was not significant at the 99% confidence level, which may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evidence of regional income convergence in the US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ird, the results from bivariate ESDA techniques and a GWR model report that there was a substantive level of spatial heterogeneity in the catch-up process, and suggested possible spatial regime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ub-periods showed a substantial level of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in ${\beta}$-convergence: the catch-up scenario in a spatial sense was least pronounced during the 1980s.

Instance Identification between a Network and tis Simplification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

  • 권용식;차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6-188
    • /
    • 1999
  • 지리 정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서로 다른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이질성으로 인하여 통합 작업은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에 대한 연구를 기술한다.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위치 정보와 위상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도로, 수도, 배전 등 많은 응용분야를 갖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통합에서 기본이 되는 인스턴스의 동일성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Urban Environments on Pedestrian Behaviors: a Case of the Seoul Central Area (보행에 대한 도시환경의 차이: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 Kwon, Daeyoung;Suh, Tongjoo;Kim, Soyoon;Kim, Brian Hong S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6
    • /
    • pp.638-65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pedestrian volume path to the destina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levels of regional and planning features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volume. For global scale analysis,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is used for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characteristics to pedestrian volume. For the local scal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is used to identify regional influential factors with consideration for spatial differences. The results of OLS indicate that boroughs with transportation facilities, commercial business districts, universities, and planning features with education research facilities and planning fac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destrian volume path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ly, transportation hubs and congested areas, commercial and business centers, and university towns and research facilities in the Seoul central area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s of GW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with relevance to existing plans and policies about the importa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heterogeneity effects on pedestrian volume, as well as significance i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development plans.

Position Identification Scheme for Ubiquitous Spatial Computing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위치 식별체계 : u-Position)

  • Kang, Hae-Kyong;Lee, Sang-Zee;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80-285
    • /
    • 2008
  •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이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지리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융복합 IT환경을 말한다. 이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는 이질적 공간에서 수시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공간의 이질성과 이동성에 대한 유지관리는 지리정보 서비스공급자들에게 많은 부담으로 존재한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물리적 위치변화에 독립적인 논리적 위치참조체계(이후, 'u-Position' 체계)를 제안한다. u-Position 체계는 IRI형태의 명명 체계와 이를 해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다. 인터넷 환경에서 u-Position의 서비스 구조를 보여준 후, 사용 예를 기술하겠다. u-Position은 feature가 여러 공간에서 다른 좌표체계에 의해 다중 표현 되더라도, 이 feature를 인식하는 유일 식별자로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공간의 이질성과 위치 이동성이 존재하는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이라 하더라도 객체의 위치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과 공간의 연결성(seamlessness)을 보장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