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사고

Search Result 76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raffic Accidents Analysis on Expressway using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공간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분석)

  • 강경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5-15
    • /
    • 1997
  • 공간통계분석은 공간적으로 연계된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통계분야이다. 일 반적으로 공간적으로 연계된 변수들간의 관계는 각 변수간의 공간적 분포정도에 따라서 영 향을 받는다. 전통적인 통계 분석의 방법은 동질의 자료발생과정에 의하여 확률적으로 축출 된 표본자료를 가정하고 있으나, 공간적인 자료는 이와 같은 동질의 자료발생과정의 가정을 부정한다. 교통류 및 교통사고 등과 같은 교통분야의 자료는 대부분 공간적인 상관관계에 의하여 축출된 이질적인 표본자료이며 따라서 공간상관관계를 동질적으로 가정한 전통적인 통계적 분석 방법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공간적인 관계를 고려한 공간자기상관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고속도로상의 교통사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4 개 고속도로 중 경인고속도로를 제외한 3개의 고속도로상의 교통사고건수는 통계적으로 현 저한 양의 공간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교통사고분석을 위하여 종속변수로 단위구간별 교통사고건수를 그리고 설명변수로서는 단위 구간별 교통량, I.C. 유무 및 화물차량비율을 이용하여 공간 자기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 석의 분석에서는 구간별 교통량과 화물차량의 비율이 호남/남해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구간 별 교통량과 I.C.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GIS를 활용한 수업이 공간적 사고능력과 지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Chun, Bo-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6
    • /
    • pp.820-84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using discourse analysis along with a comparative three-case case study method. A series of curricula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n 8th grade classroom for a semester. The data collected consist of the dialogue transcripts of six consecutive GIS-integrated lesson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ves (speech acts) used by each student and to classify discourse content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Based on three individual case studies, a cross-case study was performed to uncov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contexts. The empirical evidence from discours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appropriate terms representative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although students appeared to possess primarily lower-order spatial abilities, followed by a moderate-level of spat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the unit was implemented in a biology class rather than a geography class the result reflected the fact that the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were attributable to the GIS-integrated lessons. Thus, the result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GIS-integrated lessons and geography educa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 Ulsan (울산광역시 교통사고 유형별 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 Kim, Mi-Song;Goo, Sin-Hoi;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61-262
    • /
    • 2016
  • 교통사고의 발생요인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접근하여 사고유형별 분포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논문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울산광역시에서 발생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산시 전체 교통사고 약 53%는 안전운전불이행이며 다음으로는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순으로 나타났다. 밀도분석 결과는 사고유형별로 분포가 차이가 있었으며 안전운전불이행의 경우 가장 큰 군집은 중심시가지인 달동과 삼산동 중심에 나타났으며 중앙선침범은 도시의 중심부 보다는 면지역에 넓게 퍼져서 발생되었으며 산업단지가 있는 동구지역에 군집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읍면동별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Moran's I분석과 LISA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운전불이행,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교차로운행방해 모두 중심시가지인 신정동, 달동, 삼산동이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높았으며 중앙선침범의 경우 밀도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심시가지 이외에 읍면 지역도 자기상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고유형별 공간의존성 및 이질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특성에 맞는 저감 대책 마련에 활용되고자 한다.

  • PDF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Astronomy Textbook Images and Inquiries Raised b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Thinking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 Kim, Jong-U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3
    • /
    • pp.501-520
    • /
    • 2022
  •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learning astronomy,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on teaching methods that consider spatial thinking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tage. Accordingly,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spatial thinking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perceived by them were explored for the images and inquiry activities of astronomy textbook units. In this study, spatial thinking in the astronomical domain was defined as the amalgam of the concepts of space, representation tools, and reasoning processes. The junior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educated on spatial thinking for two weeks in October 2021. They were then asked to voluntarily select one of the astronomy units to analyze problems in the textbooks and present modification plans to address those problems. Finally, 33 cases presented by 2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problems in textbooks in terms of the concepts of space and reasoning processe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to supplement them. However, in some cases, even if pre-service teachers properly recognized a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was not appropriate, or they were not able to analyze the images or inquiry activities in terms of spatial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potential to properly reorganize and revise textbooks by participating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spatial thinking.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cerning spatial thinking was discussed.

A Study on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us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A Case Study of Kangnam-gu, Seoul (GIS와 공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의 공간적 패턴 분석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

  • 이건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457-4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and to investigate spatia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spatial objects by apply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accident data in Kangnam-gu, Seoul, as a case study. As a result, four clusters were emerg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Each cluster showed distinctive properties. In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and neighboring spatial objects, there were many rules according to concept hierarchy and definition of spatial relations. Although all rules were not be interesting and significant, they could be a clue to investigate more.

밀도 기반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위험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양지민;최충정;백연지;임광현;노유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7
    • /
    • 2023
  • 해양사고는 도로교통과 달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명피해가 주로 발생하는 주요 사고의 치사율은 도로교통의 11.7배 이상이다. 해양사고는 외부 환경에 따라 사고 위치가 변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워 타 교통에 비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고 난 후 대응하는 등 사후적 관리 단계에 무르고 있어 사고의 주요 요인을 사전에 식별·관리하는 선제적 관리단계로의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지점 밀도 기반의 가변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반복적인 공간 가산분석을 통해 밀도가 높을수록 작은 규모의 격자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상세한 공간 군집체계를 구성하였으며, 단순 사고 위험도 예측뿐만 아닌 사고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BN(Bayesian Network) 기반의 모형을 사용하여 해양사고 위험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ost-of-Omission을 통해 해양사고 예측확률의 변화와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월별 해양사고예측 결과를 GIS를 활용하여 2D/3D 기반으로 시각화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for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교통사고정보관리를 위한 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 Jung, Sue-Jin;Park, Sung-Kyu;Go, Je-Ung;Cho, Gi-S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93-399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교통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많은 양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WebGIS 기반 교통사고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교통정보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교통사고 정보에 대한 비공간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도형자료와 기본적인 수치지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통사고 자료가 일반인들에게 제공되기 위한 준비 기간이 길었던 종래 방식에 비해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는 즉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지역의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교통사고 현황 정보제공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전의 단순한 집계에 의한 비공간적인 데이터를 사용한 교통사고 분석보다는 교통사고의 자세한 내용 및 통계자료와 함께 사고위치를 시각적으로 도시하여 가시적으로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으며 사고 담당 경찰관과 직접 연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Spatial Thinking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on Solar System and Stars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 Lee, Jeong-A;Lee, Kiyoung;Park, Young-Shin;Maeng, Seungho;Oh, H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2
    • /
    • pp.179-197
    • /
    • 2015
  • Based on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to understand celestial mo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patial thinking was treated in astronomy classes. For this study, we analyzed fou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es about the unit 'solar systems and stars' in 5th grade in terms of spatial thinking. The results showed that sharing perspectives and orientation explicitly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celestial motion. Providing the earth-based and the space-based viewpoints simultaneously were helpful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elestial mo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larifying the viewpoint and orientation, showing the earth-based and the space-based viewpoint simultaneously, and reorganizing the relative units of astronomy based on celestial motion and spatial thinking.

Structuring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Thinking with Spatial Ability in Learning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Using GeoMapApp-Based Materials (GeoMapApp 자료를 이용한 화산과 지진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따른 공간적 사고의 발현 양상)

  • Song, Donghyuk;Maeng, Seungh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390-40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tudents with different spatial ability constructed spatial thinking process about on volcanoes and earthquakes with GeoMapApp-based materials. Students' spatial thinking process was analyzed in terms of spatial concept recognized, tools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ir spatial reasoning to construct topographic structure. The student group with high-scored spatial ability showed the spatial reasoning based on internal representation of building mental images through sectional division of horizontal distance, directly connected with spatial concept, or distorting spatial concept. The student group with low-scored spatial ability built the spatial reasoning directly connected with spatial concept instead of transforming into internal representation, and partially recognized spatial concept on either distance or depth. Based on the results, we argued identifying spatial concepts such as distance, height, or depth from the GeoMapApp data would be funda- mental for the better spatial thinking.

지하공간의 위험성평가 시스템에 관한 조사 연구

  • 박종근;노삼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5-120
    • /
    • 2002
  • 최근 도시의 과밀화, 지가 상승, 평면적 토지 공간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도시기능의 일부를 지하공간으로 흡수하고자 하는 노력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국내$\cdot$외에서 지하철 공사현장 가스폭발, 지하 공동구 화재, 지하가 화재$\cdot$폭발 등 지하공간에서의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재산의 손실 뿐 아니라 전력, 통신망 마비로 도시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인명 피해의 대형화를 동반함으로서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지하공간에 있어서 사고는 지하가, 지하통로 및 건축물 지하 등이 30%를 차지하고, 사고 형태는 화재 폭발이 36%를 차지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