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연속성

Search Result 582,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Evolutionary Analysis for Continuous Search Space (연속탐색공간에 대한 진화적 해석)

  • Lee, Joon-Seong;Bae, Byeong-G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1 no.2
    • /
    • pp.206-211
    • /
    • 2011
  • In this paper, the evolutionary algorithm was specifically formulated for optimization with continuous parameter space. The proposal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the genetic algorithms have been most intensively reported for parameter identification problems with continuous search space. The difference of primary characteristics between genetic algorithms and the proposed algorithm, discrete or continuous individual representation has made different areas to which the algorithms should be applied. Results obtained by optimization of some well-known test function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genetic algorithms in all the performance, computation time and memory usage for continuous search space problems.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다양한 공간 보간법의 비교와 평가)

  • Kim, Tae Beom;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7-247
    • /
    • 2018
  • 공학이나 과학에서 다루는 거의 모든 현상이나 물체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형이나 지하수위분포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강수량 분포 또한 지역적인 스케일을 고려할 때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성을 지닌 현상이나 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취할 경우, 모든 위치에서의 관찰 값이나 계산 값을 얻기란 불가능하므로, 불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인 위치에서 불연속적인 값을 얻게 된다. 이러한 시공간적으로 이산적이고 불연속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자료의 연속성을 가정하게 되며, 따라서 연속성을 가정하고 내삽 처리된 근사값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불연속적인 자료의 내삽 처리 과정이 연구 결과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자나 실무자들은 내삽 처리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으며, 자료처리나 준비 과정에서 거쳐야하는 하나의 단순한 단계로만 여길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거리 가중치법(Reciplocal Inverse Distance method), 역거리 제곱 가중치법(Inverse Square Distance method), Dual Kriging법, Hardy의 Multiquadric법, Completely Regularized spline법, 삼각망법(TIN) 등 기존에 알려진 공간자료 보간법에 대해서 소개하며, 알려져 있는 공간함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우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내삽 결과는 매개변수 값에 지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개변수에 따른 내삽 결과를 분석하고, 정확성과 적용성 등 다양한 내삽기법들에 대해서 평가한다.

  • PDF

Designing Knitwear with Aran Motives - In Search of Spatial Continuity Theory with Its Application - (아란모티프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 공간적 연속성 이론을 중심으로 -)

  • Lee, Yoon-Mee;JeKal, Mee;Jang, Jung-Im;Lee, You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12
    • /
    • pp.1971-198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depth of traditional knitwears, and to develop knitwear designs by using Aran motif, one of major motifs of traditional knitwears and on the basis of the 'continuance' theory of Henri Bergson and Jill Deleuze. Connectivity, the sense of space and deconstructive fluidity-basic concepts of the continuance theory-are felt in such forms as pleats, origami, and air pumping systems, blob and twisting used in the modem fashion. The motif of Aran knitwear which has a long historical tradition can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those concepts of the continuance theory. In this study, we designed five pieces of knitwear while applying cable motif, an important motif of Aran knitwear, and the concepts of the continuance theory to them.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signing of knit wear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a traditional motif in terms of a modem philosophical thought.

Efficient Disk Access Method Using Region Storage Structure in Spatial Continuous Query Processing (공간 연속질의 처리에서 영역 기반의 저장 구조를 이용한 효율적인 디스크 접근 방법)

  • Chung, Weon-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383-2389
    • /
    • 2011
  • Ubiquitous applications require hybrid continuous query processing which processes both on-line data stream and spatial data in the disk. In the hybrid continuous spatial query processing, disk access costs for the high-volume spatial data should be minimized. However, previous indexing methods cannot reduce the disk seek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hat the data are stored in contiguity with others. Also, existing methods for the space-filling curve considering data cluster have the problem which does not cluster available data for queries. Therefore, we propose the region storage structure for efficient data access in hybrid continues spatial query processing.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n obvious improvement of query processing costs through the contiguous data storing method and the group processing for user queries based on the region storage structure.

Gesture Recognition Using HMM on Feature Subspace (저차원 특징 공간에서 HMM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 이용재;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849-85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인간의 제스처 영상을 저차원 제스처 특징 공간과 HMM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제스처 공간에서 모델 패턴들과 매칭하기 위해서는 모든 모델 영상과 연속적인 입력영상들간의 거리평가로 인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안한 방법은 연속성을 가진 모델영상들을 HMM로 포즈들의 시공간적 특성을 매칭에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동작의 구분뿐만 인식결과를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Gesture Motion Estimate Using Clustering Method on Gesture Space (제스처 공간에서 클러스터링 방법을 이용한 제스처 동작 평가)

  • 이용재;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73-17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저차원 제스처 특징 공간에서 연속적인 인간의 제스처 영상을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제스처 공간에서 모델 패턴들과 매칭하기 위해서는 모든 모델 영상과 연속적인 입력영상들간의 거리평가로 인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안한 방법은 모델영상들을 연속성을 가진 클러스터로 분류하여 입력 영상과 계층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동작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매칭 속도와 인식률을 개선하고 인식결과를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확률론적 공간 자료 통합 모델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 Park, No-Uk;Ji, Gwang-Hun;Gwon, Byeong-D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54-260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목적으로 확률론적 공간통합의 틀 안에서 범주형 자료와 연속형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비모수적 우도비 추정 모델과 모수적 예측적 판별 분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적용 모델의 비교를 위해 1998년 여름철 산사태로 많은 피해를 입은 경기도 장흥 지역과 충청북도 보은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장흥 지역에서는 두 모델이 유사한 예측 능력을 나타내었으나, 보은 지역에서는 모수적 예측적 판별 분석 모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두 모델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연속형 자료 표현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두 모델이 개별적인 연속형 자료 표현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례 연구를 통한 검증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ntinuous Query Processing in Data Streams Using Duality of Data and Queries (데이타와 질의의 이원성을 이용한 데이타스트림에서의 연속질의 처리)

  • Lim Hyo-Sang;Lee Jae-Gil;Lee Min-Jae;Whang Kyu-Young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3
    • /
    • pp.310-326
    • /
    • 2006
  • In this paper, we deal with a method of efficiently processing continuous queries in a data stream environment. We classify previous query processing methods into two dual categories - data-initiative and query-initiative - depending on whether query processing is initiated by selecting a data element or a query. This classification stems from the fact that data and queries have been treated asymmetrically. For processing continuous queries, only data-initiative methods have traditionally been employed, and thus, the performance gain that could be obtained by query-initiative methods has been overlooked. To solve this problem, we focus on an observation that data and queries can be treated symmetric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uality model of data and queries and, based on this model, present a new viewpoint of transforming the continuous query processing problem to a multi-dimensional spatial join problem. We also present a continuous query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spatial join, named Spatial Join CQ. Spatial Join CQ processes continuous queries by finding the pairs of overlapping regions from a set of data elements and a set of queries defined as regions in the multi-dimensional space. The algorithm achieves the effects of both of the two dual methods by using the spatial join, which is a symmetric oper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earlier methods by up to 36 times for simple selection continuous queries and by up to 7 times for sliding window join continuous queries.

SPOT Continuous Strip Image Modelling (SPOT 위성영상의 연속화상 모델링)

  • Lee, Yong-Ung;Sin, Dae-Sik;Jo, Bong-Hwan;Yu, Bok-Mo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7.12a
    • /
    • pp.17-25
    • /
    • 1997
  • 스트립 방식으로 촬영된 위성영상의 기하학적 모델링시에는 일반적으로 단위모델별로 위성영상에서 식별이 용이한 지점을 지상기준점으로 선정하여 영상에서의 좌표를 해석도화기나 컴퓨터 화면상에서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지상좌표는 현지측량이나 기본지도로부터 얻는다. 현지측량방법의 경우에는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좌표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반면에 현지로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소축척의 기본지도상에서 직접 독취하는 경우에는 지도자체에 내재된 오차의 정도가 불명확하고 지상기준점으로 선정한 지점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영상좌표 측정시에 오차의 유발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영상 해상도 $5{\sim}10m$의 연속된 화상을 3차원 기하학적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지측량에 의해 지상기준점을 획득하는 방법은 경제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각점 조서를 이용하여 연속촬영된 SPOT 위성영상을 스트립 단위로 모델링하여 영상해상도 수준의 위치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연속화상 모델링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Architectural Continuity of the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 (유럽의 학살된 유대인을 위한 기념비 건축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 Kim, Myungshig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12
    • /
    • pp.83-9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ous forms of time and space that work as architectural design principles of the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 (Jewish Memorial). Continuity is divided into two, physical and non-physical attributes. The former extends from small installations to furnitures, finishes, spatial composition, and even spatial networks that complete architecture, and the latter is tied to time, from traditional to historical, developmental, commemorative or memorial elements. They are inherent in architecture as continuous forms. The Jewish Memorial is analyzed by the analysing framework of these two items. The analysis of the two lay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hysical continuity is found in the space networks of the Memorial's inside and outside, the undulating spaces, the finishes, the small furnitures and installations, the entrances of staircases, the expanded underground of the ground order, and non-physical continuity manifests in the topological variation of spatiality,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memorial architecture, the connection of semantic sense of space, and the superposition of historicity and modernity. These forms of continuity do not aestheticize the German enormity history, but make the meaning of the Memorial into non-superficial, in-depth architecture as a monument.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hysical and non-physical continuit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design principles of architecture that makes the Memorial architectur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