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역학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79 seconds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ing in Epidemiology: Hepatitis A Incidence Data in Korea (역학분야에서의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델링: 한국 A형 간염 자료)

  • Choi, Jungso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6
    • /
    • pp.933-945
    • /
    • 2014
  • Bayesian spatiotemporal analysis is of considerable interest to epidemiological applications because health data is collected over space-time with complicated dependency structures. A basic concept in spatiotemporal modeling is introduced in this paper to analyze space-time disease data. The paper reviews a range of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and analyzes Hepatitis A data in Korea.

Effect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Climate Simulations on Streamflow Estimation (기후모의자료의 공간해상도가 하천유출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평가)

  • Lee, Moon-Hwan;Im, Eun-So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18
    • /
    • 2019
  • 역학적 상세화기법은 물리적 기반의 지역기후모형(RCM)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기후자료를 생산하는 유용한 기법이며, 전세계적으로 지역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고, 적용 및 평가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역학적 상세화기법 적용 시 지역기후모형의 공간해상도를 향상시키면 지형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어 고해상도의 기후모의자료를 생산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공간해상도 향상이 기후모의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역학적 상세화를 위한 지역기후모형의 적정 공간해상도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의 자료의 공간해상도가 하천유출량 모의시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는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가 하천유출량 모의에 필요한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측 기후자료와 Weather and Research Forecasting (WRF)모형으로 상세화된 5km (WRF05)와 20km (WRF20) 공간해상도의 기후모의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하천유출량 산정을 위해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한강유역 내 충주댐, 소양강댐, 팔당댐 유역들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유역평균강수량을 평가한 결과, 3개 댐 유역의 연평균 강수량 및 여름철 강수량은 WRF20이 관측자료와 WRF05에 비해 높게 산정되었다. 하지만, WRF20은 일강수량이 1~40mm인 발생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산정되었으며, 극치강수량의 강도와 빈도는 WRF20이 관측자료와 WRF05에 비해 과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자료, WRF05와 WRF20을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SWAT모형으로 생산된 일 하천유출량 자료를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시하였다. 유황곡선의 5~90% 구간에서는 WRF05와 WRF20의 결과는 큰 차이가 나진 않았으나, 고유량과 저유량 구간에서는 WRF05가 WRF20에 비해 관측자료에 근접하게 모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20km에서 5km로 공간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극치 홍수량 및 갈수량을 더욱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PDF

Dynamics Transition of Electroconvective Instability Depending on Confinement Effect (공간 제약 효과에 따른 전기와류 불안정성의 동역학 전이)

  • Lee, Seungha;Hyun, Cheol Heon;Lee, Hyomi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4
    • /
    • pp.626-631
    • /
    • 2021
  • One of the nonlinear electrokinetic phenomena around ion exchange membrane is electroconvective instability which can be found in various electrokinetic applications such as electrodialysis, electrochemical battery, microfluidic analysis platform, etc. Such instability acts as a positive transport mechanism for the electrodialysis via amplifying mass transport rate. On the other hands, in the electrochemical battery and the microfluidic applications, the instability provokes unwanted mass transport. In this research, to control the electroconvective instability, the onset of the instability was analyzed as a function of confinement effect as well as applied voltage. As a result, we figured out that the dynamic behavior of electroconvective instability transited as a sequence of stable regime - static regime - chaotic regime depending on the applied voltage and confinement effect. Furthermore, stability curves about the dynamic transition were numerically determined as well. Conclusively, the confinement effect on electroconvective instability can be applied for effective means to control the electrokinetic chaos.

Reviews in Medical Geography: Spatial Epidemiology of Vector-Borne Diseases (벡터매개 질병(vector-borne diseases) 공간역학을 중심으로 한 보건지리학의 최근 연구)

  • Park, Sunyurp;Han, Daik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5
    • /
    • pp.677-699
    • /
    • 2012
  • Climate changes may cause substantial changes in spatial patterns and distribution of vector-borne diseases (VBD's), which will result in a significant threat to humans and emerge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needs to solve. As global warming becomes widespread and the Korean peninsula characterizes subtropical climate, the potentials of climate-driven disease outbreaks and spread rapidly increase with changes in land use, population distribu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Vector-borne diseases are typically infected by insects such as mosquitoes and ticks, and infected hosts and vectors increased dramatically as the habitat ranges of the VBD agents have been expanded for the past 20 years. Medical geography integrates and processes a wide range of public health data and indicators at both local and regional levels, and ultimately helps researchers identify spatiotemporal mechanism of the diseases determining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and non-spatial data. Spatial epidemiology is a new and emerging area of medical geography integrating geospatial sciences, environmental sciences, and epidemiology to further uncover human health-environment relationships. An introduction of GIS-based disease monitoring system to the public health surveillance system is among the important future research agenda that medical geography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Particularly, real-time monitoring methods, early-warning systems, and spatial forecasting of VBD factors will be key research field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VBD's.

  • PDF

Nano-slit에서 고분자 용액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Jeong, Da-B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89-101
    • /
    • 2014
  • 나노 규모의 좁은 공간에서는 분자들과 벽면과의 상호작용이 커서 분자들의 거동에 큰 영향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나노슬릿 (nano-slit)이나 나노채널(nano-channel)과 같은 제한된 공간(confined geometry)에서 DNA의 구조적, 동역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에서 모티브를 얻어 많은 입자들(spheres)로 이루어진 나노슬릿(nano-slit)사이에 Leonard-Jones potential을 따르는 용매분자들과 고분자가 들어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고분자의 동역학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때 슬릿(slit)은 약간의 탄성 포텐셜을 가지는 경우와 완전히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더불어 고분자의크기, 용매의 종류, slit 사이의 간격 등의 변화가 고분자의 동역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경적 조건에 따른 나노슬릿(nano-slit)에서 고분자의 움직임의 양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 (SRRI)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Method and Hydrodynamic Model (퍼지합성법과 동수역학 모형을 이용한 공간적 하천친수지수 (SRRI)의 개발)

  • Siyoon Kwon;Il Won Seo;Byungu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1-501
    • /
    • 2023
  • 하천에서의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친수활동에 대한 안전도 평가가 사고예방을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친수 활동의 안전은 수리 및 수질 인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기존 친수지수는 수질 인자에만 집중되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세일링, 패들링, 저동력보트 등 입수형 친수활동의 경우, 다양한 수리 현상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속, 흐름 방향, 수심 및 수면 폭 등의 수리인자를 친수지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수활동에 위험이 되는 수리적 조건은 유량 조건과 하천의 평면적 공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하기에 이를 공간적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천 친수 활동에 대한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친수활동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SRRI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를 제안하였다. SRRI의 개발을 위해 1단계에서는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EFDC 동수역학모형을 이용하여 수리 인자들의 공간적 분포를 재현한 후, 2단계에서는 퍼지합성법 (FSE)를 적용하여 수리인자의 모든 소속도와 가중치를 종합하여 하천 지점별 하천친수지수를 산정하였다. 개발한 SRRI를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에 적용한 결과, 유량 및 지형 조건에 따라 각 수리인자가 친수활동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유향(흐름 방향)은 합류지점 부근에서 친수활동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 사행구간에서는 수심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유량 조건에서는 유속이 세일링 및 패들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세일링은 유량 변화에 민감하여 고유량시에는 주흐름부와 합류부 부근을 제외하고 일부 공간에서만 안전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무동력 및 저동력보트는 유량 변화에 덜 민감하여 고유량 조건에서도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지만 사행구간의 고수심부에서는 위험 등급으로 권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RRI는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을 기반으로 공간적 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이용자들이 하천에서 보다 안전한 친수활동을 즐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