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성

검색결과 16,420건 처리시간 0.059초

시간자료의 공간화를 통한 일교통량 결측대체 방법론 연구 (Missing Imputation Methodologies for Daily Traffic Counts by Transforming Time Data into Spatial Data)

  • 허태영;오주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1-2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결측된 일교통량의 대체를 위하여 교통공학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선형내삽법에 공간상관성 기법을 고려한 새로운 선형내삽법을 제안하였다. 일교통량과 같이 시간적 특성을 지닌 자료를 공간위에 배치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상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교통량의 순환성을 감안하여 같은 주의 요일간 상관성과 주별 같은 요일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Moran Index를 사용하였다. 실제 분석을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한 2004년 11월의 28일간의 일교통량 자료를 $4{\times}7$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일별 교통량자료를 공간화 시켜 공간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여러 가지 통계적 지표를 통하여 공간 선형내삽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지하공간의 화재안전을 위한 새로운 도전

  • 신현준
    • 방재와보험
    • /
    • 통권109호
    • /
    • pp.16-22
    • /
    • 2005
  • 지하공간이 사람들의 생활유지를 위한 하나의 유효공간으로 자리잡아 가면서 이들에 대한 화재 사고 등 안전사고에 대비한 방재안전 확보가 중요해시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 여부는 이들 공간의 안전성에 많이 좌우되고 있는만큼 본 고에서는 지하공간의 화재안전 확보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개념 계층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 (A Spatial Data Cubes with Concept Hierarchy on Spatial Data Warehouse)

  • 옥근형;이동욱;유병섭;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38
    • /
    • 2006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을 제공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를 큐브의 형태로 관리한다. 특히, 공간 차원과 같이 데이터 큐브의 차원에 개념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 대한 집계 결과를 요구한다. 기조의 데이터 큐브의 구조들은 차원의 개념 계층을 지원하지 못하거나 지원하더라도 시간이나 공간적 비용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개념 계층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계층별 영역 집계연산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를 제안한다. 이는 개념 계층을 DAG(Directed Acyclic Graph) 형태로 표현하여 구성된 여러 개의 차원들을 공간차원의 지역성을 기준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큐브를 이용하면, 데이터 검색 시 상위 계층부터 아래 방향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각 차원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특히, 공간 개념 계층에 대한 DAG를 이용하면, 공간적 지역성에 따른 영역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성능평가에서 개념 계층이 적용된 질의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들에 비해 저장 공간 효율성 및 질의 응답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한다.

  • PDF

지능형 로봇 공간을 위한 실내 측위기술 (Indoor Localization Technique for Intelligent Robotic Space)

  • 안효성;이재영;유원필;한규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2호통권104호
    • /
    • pp.48-57
    • /
    • 2007
  • 본 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지능형 로봇 공간(intelligent robotic space)은 이동성(mobility), 조작성(manipulability)으로 대표되는 로봇의 독특한 기능을 분산센싱, 분산처리환경을 구축하여 고기능화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이동, 조작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개념적으로 가상 공간(virtual space), 추론 공간(semantic space), 물리 공간(physical space)으로 구성된다. 가상 공간은 로봇-센서간 융합을 통한 환경지도 작성 및 표현을 위한 플랫폼 기술이고 추론 공간은 로봇 및 로봇과 연동된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 해석을 위한 객체 모델 기술이다. 물리 공간은 지능형이동성과 로봇 조작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능형 하드웨어 공간이다. 본 고에서는 물리공간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슈인 실내 측위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측위기술은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여 로봇이 인간과 공존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능형 로봇을 위한 측위기술은 크게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광역(coarse) 위치 결정과 RFID 및 로봇 비전(vision)을 기반으로 하는 정밀(fine) 위치 결정으로 나뉘어진다. 본 고에서는 Wi-Fi, ZigBee, UWB를 이용하는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에 관한 연구 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각각의 기술이 가지는 장단점을 비교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Spatial Data Synchronizatio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

  • 이혜진;김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184-186
    • /
    • 2004
  • 본 연구는 공간데이터 동기화 표준 프로토콜 명세인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비와 서버사이에 공간데이터를 동기화 구조를 정의하여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어온 GML(Geographic Markup Language) 데이터와의 통합 및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Metadata 및 Catalog Service를 이용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데이터, 비공간 데이터의 관계성을 고려한 데이터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 PDF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용원;진희채
    • 전자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50-50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용원;진희채
    • 전자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454-1463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 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토공간자료의 제공을 위한 공간정보시스템의 설계전략 (System Design Strategies for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National Land Monitoring)

  • 서동조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159-163
    • /
    • 2008
  • 현재 우리나라 국토공간자료의 이용은 자료에 대한 낮은 접근성, 분석방법의 일관성 유지의 곤란, 결과의 미공유에 따른 중복작업, 자료의 분산에 따른 즉각적인 의사결정의 지연 등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국토모니터링 정보를 통합,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구축된 국토모니터링과 관련된 공간정보시스템의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정리하여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통합된 공간정보시스템이 갖추어야할 내용과 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배준석;장훈;김지소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1990년 이후 공간구조 변화에 대하여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와 인천 및 경기도 도시들 간의 199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15년의 통근 통학자 자료를 바탕으로 통근 통학비율과 Moran's I를 통하여 서울대도시권 내 도시들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시의 인구는 경기지역으로 분산되고 있으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대도시권의 교외화 확산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인접지역 간 매우 강한 공간적 연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관리와 정책수립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 송창영;송민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