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분류체계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in Road and River Field (도로 및 하천분야 BIM 속성분류체계 개발방안 연구)

  • Nam, Jeong-Yong;Kim, Mi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773-784
    • /
    • 2019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BIM information systems are spreading to civil engineering fields as a link to this technology. Accordingly,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is announcing a technical policy to introduce the BIM information system into the construction sector from 2020. Usually, SOC-related facilities are complex,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BIM without a standards framework.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urgent to develop a BIM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link the previously develope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and working standards. This includes property information of businesses, facilities, parts of facilities and components that correspond to the level of object composition in the road and river sectors. It also suggested ways to apply expansion to various SOC areas and to organize spatial information by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pplied to road facilitie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building. The development of the BIM Standards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is R&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T by providing conditions for convenient modeling and information system.

Study o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of News based on NewsML (NewsML 기반의 뉴스 자동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Tak-Hee Lee;Gumwo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619-622
    • /
    • 2008
  • 뉴스 분류 체계는 각각의 기사에 정치, 경제, 사회 등 가장 적합한 주제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언론사별 분류 체계는 통일성이 없이 전혀 다르게 구성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방대한 콘텐트를 통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그만큼 시스템과 인력에 대해 중복 투자가 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제 표준인 NewsML에 기반한 뉴스 분류에 대해 제안한다. NewsML은 XML 기반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있는 구조적인 표준 형식으로 다양한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여 자동 문서 범주화에 필요한 중요한 자질 선택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NewsML 형식으로 되어 있는 뉴스와 그렇지 않은 뉴스를 구분하여 자동 분류에 대한 비교 실험을 한다. NewsML의 구조화된 정보를 활용한 실험이 뉴스의 제목과 본문만으로 실험한 결과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그 중에서 자질 공간이 아주 큰 경우에 유용하고 문서 분류에 효과가 뛰어난 지지 벡터 기계 모델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 Kim, Woo Ram;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Statistical Modeling of Spatial Land-use Change Prediction (토지이용 공간변화 예측의 통계학적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5 no.2
    • /
    • pp.177-183
    • /
    • 1997
  • S1he concept of a class in the land-use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equally applied to a class in the land-use-change classificati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using linear discriminant function and Markov transition matrix method were integrated to a synthetic modeling effort in order to project spatial allocation of land-use-change and quantitative assignment of that prediction as a whole. The algorithm of both the multivariate discriminant function and the Markov chain matrix were discussed and the test of synthetic model on the study area was resulted in the projection of '90 year as well as '95 year land -use classification. The accuracy and the issue of modeling improvement were discussed eventually.

  • PDF

Construction of Ontology for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방안 연구)

  • Shin, Hyung Jin;Shin, Seung Hee;Hwang, Eui Ho;Chae, Hyo 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7-627
    • /
    • 2015
  • 기존 물관련 시스템들은 독자적인 DB 구조를 가지고 있고 검색 서비스는 자체 시스템의 DB를 직접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시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단점은 사용자가 개별 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개별 시스템의 개별 서비스의 개념을 벗어나기 위하여 물관련 시스템에 있는 하천공간자료 검색 정보를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하고,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된 검색정보를 사용자가 검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카탈로그 서버에 자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자료의 정보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개별 서버마다 등록하게 된다면 용어 및 문화에 의한 차이로 같은 개념을 다른 용어로 등록하게 되는 혼란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강우자료에 대하여 "강우", "Precipitation", "Railfall", "비" 등으로 등록할 소지가 있다. 이러면 실제 자료가 존재하는 데도 등록 방법에 따라 자료의 검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상황을 제어하기 위하여 검사어휘(Controlled Vocabulary)를 도입한다. 이는 포털의 운영자가 미리 용어의 개념과 용어의 분류체계를 설정하고 등록 자료의 검색어를 미리 설정하여 자료의 원천 소유자가 자료를 등록 시 검사어휘를 참고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는 용어의 자료인 경우 이 용어를 포탈에 신규로 등록한다. 검색용어의 난립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규등록은 포탈의 운영자가 어느 정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검사어휘의 정립과 하천 관련된 분류체계는 하천공간정보 검색의 포탈을 위한 필수사항이다. 검사어휘의 정립의 주된 목적은 이질성의 극복이다. 이질성의 종류는 문법적 이질성, 데이터 형식과 구조 및 문맥적 이질성이 있다. 이 중에서 문맥적 이질성이 가장 넓고 어려운 문제이다. 단위는 분야마다 호칭이 다르고 채택하는 기준마다 다르다. 유사어는 전문용어라도 분야마다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서비스 인코딩시 국어와 영어를 어떻게 처리할 지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수문학의 시계열 자료를 다루는 CUAHSI/HIS의 온톨로지는 대 개념으로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분야로 분류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데이터 분석 및 분류, 온톨로지 요소 설정, 온톨로지 데이터 테이블 작성, 클래스 생성 및 계층화, 클래스 계층화에 따른 속성 설정, 클래스에 적합한 개체 삽입, 논리 관계 확인 및 수정과 같은 과정으로 온톨로지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st/Benefit Analysis in the Economic Evaluation of GSIS Implementation (GSIS 도입의 경제적 평가에 있어서 비용/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o-Hwan;Yom, Jae-Hong;Sohn, Duk-Jae;Yeon,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1 s.1
    • /
    • pp.217-225
    • /
    • 1993
  • The cost/benefit analysis method is frequently used in the feasibility study of investments 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cost/benefit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extensively in the feasibility study of conventional information systems and recently efforts has been made to apply this method to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as well.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present a cost/benefit model suitable for Korean GSIS and this model was then applied to Facility Management. In establishment of the cost model, the items of various costs were defined and a survey was made to find the average unit cost of each item. For the benefit model, the benefits of implementing a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s classifi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and only th tangible benefits were further classified. The established cost/benefit model was then applied to a gas distribution company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and more than 300,000 customers. A GSIS was designed and the cost its implementation was compared to the present manual method of operation.

  • PDF

Geomorphological Mapping for Construction GIS Database of Geomorphic Elements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 요소의 지도화)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81-9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요소의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전산화된 지형분류도 제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형요소 전산화는 지형요소의 분류, 지형요소의 코드화, 범례화, 심볼의 제작, 마지막으로 지도화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지형분류는 지형요소의 공간적 분포와 형태, 지형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체계와 지형형성기구의 역할을 고려하며, 동적인 지형형성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물질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형분류도는 1: 25,000 축적에 표현 가능한 지형요소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지형요소들의 지도화 되었을 때는 시.공간적인 관계를 통해 지형환경체계가 인식되도록 하였다. 지형요소들은 GIS에서 Layer단위로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Data Feature의 성격을 점.선.면으로 분류하여 지형요소의 형상을 범례로 만들었다. 지형요소 범례는 지형의 형태, 물질 그리고 성인을 고려하여 지형요소를 상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 Industry-Service Classification Development of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산업-서비스 분류체계 개발)

  • Yun, Seung-Mo;Leem, Ch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253-258
    • /
    • 2021
  •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arkets of the VR&AR have increased. Also due to COVID-19 pandemic, demands for a digital environment were required because of physical space constraints. Firms are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using Metaverse platforms. However, with markets such as Metaverse, VR, AR, and Digital Twins are expanding, prior research on Metaverse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system is insufficient. Based on understanding VR&AR, Digital Twin, this study established a Industry-Service classification for Metaverse by defining Case studies on Metaverse and through prior research. And by Industry-Service classification for Metaverse this paper propose Metaverse Industry-Service Matrix to analyze the trend and possibility of Metaverse Platform

  • PDF

Construction Pla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o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Song, Myungsoo;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6
    • /
    • pp.57-65
    • /
    • 2014
  • Recently, Construction business is changing from on the ground to underground space because of deficit of developing space, creation of green space and of incremental of land compensation expenses. Meanwhile, 3D Topographic, Marine and Cadastral maps need to have Spatial Interrelation. Also,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is also needed. Spatial information object registration system is impossible to contact and understanding intelligence mutually because the former one is managed as automatic ID system. Therefore, 3D Object information ID System of underground space is managed based on Object Identifier.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ID System is required and it will offer Division Code (Ground, Index, Underground) and depth information. We are defined and classified Under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Moreover, we developed the integration ID System based on UFID for cadastral information Construction. We supposed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Construction and a developed the way of exploi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 will be the base data of Standard ID system, DB Construction and system Development of National spatial data which is considered together with spatial interrelation.

A Study on Geographical Category Classification of Road Names of New Address System : in the Case of Cheongju City (새주소 체계 도로명의 지리적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청주시를 사례로 -)

  • Hong, Seon-il;Kim,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3
    • /
    • pp.553-568
    • /
    • 2015
  • This paper focuses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s and patterns of the road names in the new address system for which all the 183 road names of Cheongju City has been used. All 183 road names in Cheongju City and their textural information a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four main categories and six divisions as sub-category. Each type is mapped and its spatial patterns are discuss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oad name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rom the discussion stated in the pap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oad name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place name in an area, but also presents an important geographical feature reflecting the toponymy of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an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for road naming, various aspects such as geographic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hes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ity and utilization of the road names to the public who is still unfamiliar with the new address system to be used. Finally, various geographical topics and approaches such as toponymy and spatial analysis are proposed for further geographical research,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extent of geographical research scop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