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동기화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Representation Model of Spatio-Temporal Formalization for Game Scenario (게임 시나리오의 시공간 정형화 표현 모델)

  • 성해경;김달중;하수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86-288
    • /
    • 1999
  • 기존의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간 동기화와 공간 동기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시나리오의 시간적 정형화 표현 연구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프리젠테이션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게임 공간상의 객체 표현에 있어서 게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동기화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 제안된 시간과 공간, 시공간 언명을 게임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통합 방법을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과 공간, 시공간 공식의 언명을 시공간 동기화 표현 모델로 제시하여 정형화된 표현법으로 나타내었다.

  • PDF

Design of Spatial Data Synchronizatio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설계)

  • 이혜진;김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84-186
    • /
    • 2004
  • 본 연구는 공간데이터 동기화 표준 프로토콜 명세인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비와 서버사이에 공간데이터를 동기화 구조를 정의하여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어온 GML(Geographic Markup Language) 데이터와의 통합 및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Metadata 및 Catalog Service를 이용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데이터, 비공간 데이터의 관계성을 고려한 데이터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 PDF

Image/Sound Synchronization for Simulating Sound from Colliding Objects (충돌음 자동생성을 위한 영상/음향 동기화 기술 개발)

  • 김재우;김용완;김현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68-171
    • /
    • 1998
  •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그래픽을 포함한 영상데이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및 가상현실 응용 시스템은 그래픽을 포함한 영상과 음향이 동기화 되어 제공될 경우 사용자의 현장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비디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일련의 영상데이타로부터 관심있는 물체의 운동을 추적함으로 물체가 발생시키는 충돌음을 공간적으로 동기화 하여 생성하는 이미지 기반 영상/음향 동기화 기술의 개발에 관하여 논의한다. 대용량의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음향을 동기화시키는 것은 현재 기술로 불가능하며, 본 논문에서는 영상과 음향의 공간적 동기화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workspace Transaction Model for Job Synchronization (작업 동기화를 위한 작업공간 트랜잭션 모델)

  • 오암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0-134
    • /
    • 1998
  • 멀티미디어 응용들은 공동 작업을 위한 작업 동기화 지원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시 한 트랜잭션의 처리가 긴 공동 작업 환경에서 작업 동기화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공동 트랜잭션 모델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기존의 로킹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작업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간의 동기화를 제공한다.

  • PDF

Representaion Model of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for Sketching Scenario (시나리오의 스케치를 위한 시간 공간 동기화 표현 모델)

  • 하수철;성해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38-43
    • /
    • 1998
  • 서로 다른 개발 과정에 있거나, 이미 개발된 게임 공간에 새로운 시나라요의 스케치를 포함시키는 경우 시간(temporal)과 공간(spatial)의 개념적인 동기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의 표현 공간에 대한 범주를 나누며, 게임 장면 순서의 시간 관계성과 동적 장면의 공간 개념과의 동기화에 관한 표현법률 확장하는 표현 모델에 대한 논의를 한다.

  • PDF

Two-Way Synchronization For Mobile GIS (모바일 GIS를 위한 양방향 동기화)

  • Chao, Ji-Tae;Ahn, Kyoung-Hwan;Jun, Bong-Gee;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85-88
    • /
    • 2001
  • 최근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서버와 단절 상태에 있는 모바일 장치들과 수시로 변경되는 서버간의 데이타 동기화(Data Synchronization)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기존 객체 단위의 동기화 기법은 모바일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영역 단위 데이타 동기화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무선통신 기반으로 양방향 공간 데이터의 실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또한 무선통신의 좁은 대역폭과 고비용을 고려하여 서버와 모바일 클라이언트간의 효율적인 양방향 동기화를 위한 로깅 기법을 도입하여,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분산된 지역 공간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서버와 동기화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Web Browser Sharing (동기적 웹 브라우저 공유를 지원하는 협동작업 시스템)

  • Kim, Mun-Seok;Seong, Mi-Y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83-287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작업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동기적 EH는 비동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최근의 협동작업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이제 더 이상 웹 상에서의 협동작업 도구를 메일, 채팅, 화이트보드, 화상회의 등에 한정하지 않고 웹 응용 프로그램들을 협동작업 도구에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상용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협동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주소 동기화(URL Synchronization), 스크롤 동기화(Scroll Synchronization) 및 윈도우 크기 동기화(Window Size Synchroniz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터미널에서 웹 브라우저를 동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주소 동기화는 인터넷 브라우징의 이동과 방향을 동기적으로 제어해주고, 폼 동기화는 웹 페이지 입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스크롤 동기화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을 동기적으로 제어하여 웹 브라우저의 출력 내용이 길어질 경우에도 문서 안의 같은 부분을 공유 할 수 있게 하며 윈도우 크기 동기화는 윈도우의 길이와 넓이를 맞춰준다.

  • PDF

Time Synchronization Interface for Geospatial Data (공간정보 시각동기화 인터페이스)

  • Kwon, Chano-O;Lee,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0-271
    • /
    • 2010
  • 최근 공간정보 산업의 변화와 국내외 포털의 지도서비스 및 iPhone의 국내 진출을 계기로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정책적 요구 사항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모바일 매핑 시스템은 공공분야인 시설물 측량 및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에 사용된 시스템으로 현재 민간 서비스 시장의 요구 충족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민간 서비스 시장 요구 충족을 목적으로 모바일 매핑 기술을 기반으로 필수 장치만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geoSensor로 취득된 공간정보를 다양한 컨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취득 데이터간 동기화용 시각동기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Research of Integration and Synchronization of Multi Sensors for Mobile Mapping System (모바일 매핑시스템을 위한 멀티 센서 통합 및 동기화 방안 연구)

  • 박영무;이종기;성정곤;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167-172
    • /
    • 2004
  • 모바일 매핑시스템은 차량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CCD 카메라 등을 탑재하고 공간 및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모바일 매핑시스템은 도로 시설물 관리, 지도 갱신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국외에서 개발된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센서를 추가 하고자 할 때 기존 시스템의 센서 통합 및 동기화 방안을 알 수 없으므로 시스템의 개선 및 향상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매핑시스템의 개선 및 센서추가를 위해서 모바일 매핑시스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GPS, IMU, 그리고 CCD 카메라 등의 효율적인 통합 및 동기화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 동기화에 필요한 각 센서의 요구사항을 파악한 후 동기화 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또한, 향후 추가될 센서인 레이져, 오도미터(Odometer) 등을 센서가 추가될 경우를 고려하여 통합장비를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