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성형태

Search Result 9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nstructing AR Game Space through Cuboid Detection in Indoor Environment (실내 환경에서 직육면체 검출을 통한 AR 게임 공간 구성)

  • Kim, Ki-Sik;Park, Jong-Se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5
    • /
    • pp.3-16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R game spaces through cuboid detection in indoor environment. Conventional spatial recognition methods can detect planes only in limited spaces that can be well observed. They are also vulnerable in density and noise. The proposed metho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method by constructing AR game spaces by a method of detecting OBBs from spherical video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it is also robust against environmental constraints such as changes in density and noisy.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라윤주;오혜경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4
    • /
    • pp.209-2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s of luxurious row-houses. The examined objects were 135 floor plans with the individual exclusive space of 50 pyung or more which collected from the solicitations for sale or the magazines of architecture, housing, or interior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revealed that as the floor size become bigger, the appropriate additional spaces such as second family room, lounge hobbyroom and Atelier are formed instead of increasing room size. Second, it is revealed that the L- DK type was the most common in LDK system. Third, it is revealed that the master's zone composed generalized layout of 4 sections such as bedroom, sittingroom, bathroom, dressingroom. Fourth, it is revealed that the multifunctional room exist as a individual space located next to the kitchen. It used to be a post of rear balcony.

  • PDF

A study on the form determining factors and the space organizing features for the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치매전문요양병원의 형태결정요소 및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Joo, Hyun-Don;Han, Seong-Woo;Park, Jae-Se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1 no.2
    • /
    • pp.17-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which can confront in the old age society of Korea changing quickly. We need to make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 including the form determining factors which is useful for the domestic dementia hospital.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from a database by analysing and investigating the documents of the developed nations equips the excellent dementia hospit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is : at firs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patient has to have the feeling of comfort and familiarity through the external space leads a direct participation. Second, the interior space must have the composition for the patients primarily. So, this research can be used the basic document of the dementia hospital planning.

  • PDF

3-D Spatial Data Modeling Software (3차원 공간자료 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

  • Lee, Doo-Sung;Kim, Hyoun-Gyu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5 no.1
    • /
    • pp.1-5
    • /
    • 2002
  • We developed a modeling and visualization software that can analyze 3-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in the ArcView environment. The software constructs and visualizes an object in 3 dimensional space from the input data given a number of horizontal cross-sections. The software can generate and visualize the cross-sections of the object in any azimuth and inclination. Utilizing the program users can modify the 3-D shape of the object by interactively editing the cross-sections.

Automatic segmentation of non-rigid object in image sequences (연속영상에서 non-rigid object의 자동 분할)

  • 정철곤;김중규;안치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10B
    • /
    • pp.1419-1427
    • /
    • 2001
  • 본 논문은 연속영상에서 non-rigid object를 자동으로 분할하고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Non-rigid object는 형태의 변화가 일정하기 않은 object로서 기존의 분할 알고리즘과는 다른 새로운 분할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구름이나 연기와 같이 형태의 변화가 큰 non-rigid object를 자동으로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공간분할, 시간분할, 그리고 공간분할과 시간분할의 결합의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공간분할은 영상에서 픽셀의 intensity를 마코프 랜덤 필드로 가정하고 에너지 최소화를 통해 영상을 분할한다. 시간분할은 속도벡터를 기반으로 하여 움직임이 있는 영역만을 분할한다. 마지막으로 공간분할과 시간분할을 결합하여 non-rigid object의 최종적인 분할을 수행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연속영상에서 non-rigid object를 자동으로 분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arden through Okhojeong Garden(玉壺亭) And Seokpajeong Garden(石坡亭) in the 19th Century Seoul (19세기 서울 옥호정(玉壺亭)과 석파정(石坡亭)을 통해 본 정원 특성)

  • Lee, Won-Ho;Kim, Dong-Hyun;Kim, Jae-Ung;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3
    • /
    • pp.21-3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comparison of spatial composition tha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Construct background and space structure in both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of the nobles gardens in late Joseon dynasty. They had the advanced techniques of contemporary based on their political power and wealth, and therefore could built garden and enjoy the garden culture of the upper layer. Furthermore, composition of the Okhojeong garden can be assumed that it is related to construction of the Seokpajeong garden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ers. Secondly, Space structure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divided into pavilion unit of small gardens with living space as the center. Construction pavilion in each garden space imbues certain landscape theme. In addition, authoriz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place in each area is attempted through boundary establishment and selective garden culture of varied seasonal landscape. Thirdly, In Seokpajeong garden, most of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Okhojeong garden are appeared. This indicates that Seokpajeong garden was affected by space-configuration-technique of Okhojeong garden such as acceptation or modification recreation. Fourth, In many cases, fanciers regarding floriculture are expanded to enthusiasts in late Joseon dynasty. In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herbaceous ornamental is considered to be precious and garden materials such as water tray, stone couch, oddly shaped stone, potted plant, artificial hill, wisteria trellis are diversified at the time.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 모델링

  • Cho, Hong-Beom;Cho, Woo-Sug;Park, Jun-Ky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01-108
    • /
    • 2008
  • 건물의 3차원 모델링은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3차원 건물 모델링은 대부분 입체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도화사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항공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연구는 항공라이다 점 데이터를 보간 과정을 통하여 픽셀구조로 변환하거나 수치지도, 항공영상 등의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건물 모델링 기법에서 사용되었던 점 데이터의 픽셀구조로의 변환 및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 등의 방법을 배제하고 항공라이다 데이터만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지붕에 대한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서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패치(patch)를 구성하고, 동일한 속성을 갖는 패치들을 병합하여 건물의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건물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모델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한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 PDF

Facility Management using 3D Laser Scanning System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 Kim, Kam-Lae;Kwak, Kang-Youl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23-26
    • /
    • 2002
  • 시설물 관리 시스템 또는 GIS의 구축에 있어서 도형 정보는 주로 대상물의 2차원 평면 형상과 위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실제 형상적 특성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3차원 정보가 필요하다. 3차원 정보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되는 기존 공간 데이터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현실적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측정 개념으로 접근 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대상물에 대한 정보의 획득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3D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point cloud 데이터의 처리 및 관리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GML Profile for Mobile Services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 연구)

  • Oh, Byoung-Woo;You, Jin-Soo;Ha, Su-Wo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59-165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도 표현과 공간정보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각 모바일 서비스마다 표준화되지 않은 독자적인 방법을 통해 공간 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고 있어서 모바일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GML을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위한 실용적인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GML 명세와 모바일 서비스를 먼저 분석하여야 한다 GML의 구성요소와 모바일 서비스 및 DB분석을 기반으로 MATRIX분석을 수행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GML 구성요소의 부분집합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