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성방식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Image Mapping of the Exhibition Environment (전시환경의 영상 맵핑에 관한 연구)

  • Lee, Jae-Young;Kwon, Jun-Si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7
    • /
    • pp.1341-1348
    • /
    • 2018
  •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applying the image content to the exhibition space using projection mapping techniques. In a typical exhibition space, the artist exhibits works and displays them unilaterally and by using walls defined as screens. However, the new form of exhibition is not one-sided and changes in the way space is free from constraint.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space is to use walls or various installations, which are elements of the exhibition space, as a key part of the exhibition rather than as a material for the spatial compartment. This type of display is a display element of space and you can enjoy the fun and excitement of the exhibition about the new environment. Various imaging techniques are required to construct an exhibition of images and spaces, among which edge blocking is not formed.

The Design of Content using IR-Tracking System in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공간 가상현실 메타버스내에서 IR-트래킹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설계)

  • Tae-Won Kim;Sang-Yoon Lee;Hyun-Woong Kim;Dae-Sol Lee;Dae-Sik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6 no.5
    • /
    • pp.247-255
    • /
    • 2023
  • In order to create a virtual reality space in the metaverse, accurate tracking sensors and implementation are required. Most government agencies and corporations performs tracking to use their own tracking sensors and a base stations, such as VIVE. The VIVE method may have tracking problems due to spatial constraints and obstacles or nearby structures, and it is also that the number of people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space is also limit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metaverse using an IR sensor tracking system to freely track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we experimented contents in metaverse by placing IR sensors additionally on the floor and ceiling if needed in order to flexibly configure the metaverse spac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acking stability of the IR-tracking system was approximately 12% higher than the VIVE method. Additionally, adding more tracking sensors on the floor increases tracking stability and allows for a stable representation of virtual space.

Design of a Cooperative Med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Supports Similarity-Based Object Retrieval (유사객체 검색을 지원하는 협력 의료정보 시스템 설계)

  • 원정임;박형주;안상원;윤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19-121
    • /
    • 2000
  • 문자 정보 및 X-Ray, MRI, CT등과 같은 의료영상 정보를 취급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유사객체 검색을 지원하는 협력 의료정보 시스템의 설계에 대하여 논한다. 이를 위해 객체간 의미적 관련성을 기반으로 한 유사도 자동 추출 방식 및 지식베이스 구성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유사객체 검색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의료영상을 객체 값으로 갖는 경우 객체간 유사도는 영상처리의 특징추출 방식에 의해 추출된 영상내에 출현하는 공간 객체의 위치, 면적, 둘레, 공간 객체간의 위상 관계 등의 공간 속성을 이용한다. 여기서 공간적 위치에 근거한 유사도는 공간 위치를 대표하는 Hilbert값의 분포와 빈도를 토대로 계산한다.

  • PDF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 오혜경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 /
    • pp.72-8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consistency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apartment. Fifty-two apartments and its dwellers were selected for field survey research and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ace layout which has its origin in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found in contemporary apartment and favored than that of western apartment. Second,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characteristics, the openness and closeness were found between the living room and room, living room and din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Third, the heating system has been being changed from radiator to on-dol. Also favored finishing materials were revealed on-dol wood flooring and picture window for the living room, jang-pan flooring and Korean lattice window for the master room, wall covering for every wall and ceiling.

  • PDF

A Study on Grid Assignment Method of Emission from Area and Mobile Sources (면/이동오염원 배출량의 격자 할당방식 대한 연구)

  • 박일규;김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4-394
    • /
    • 2001
  • 배출량 산정방법 정의서(환경부, 2000)에서는 점오염원을 제외한 면오염원과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할당은 개별 오염원의 배출량을 격자에 배분하여 합산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TM-좌표상에서 1km x 1km로 구성된 격자에 배출량을 할당하게 된다. 국가 전체로 보면 1km x 1km 격자계는 상세정보이지만 대부분의 대기영향평가의 대상범위는 국지규모이므로, 이 경우 1km x 1km 격자 할당방식으로 구성한 배출정보를 사용할 경우 부정확한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략)

  • PDF

Designing a RAID 5 Controller with Two-Level Disk Cache (2단계 디스크 캐시를 이용한 RAID 5 제어기 설계)

  • 허정호;장태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5-27
    • /
    • 2003
  • RAID 시스템에서 디스크 캐시는 시스템 성능 향상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2단계 캐시는 1단계 캐시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시간적, 공간적 지역성에도 효율적이다. 제안된 캐시 시스템은 2 단계로 구성되어 1단계 캐시는 작은 블록 크기로 구성되어 세트 연관 사상 방식을 이용하고 2단계 캐시는 큰 블록 크기로 구성되어 전 연관 사상 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대용량 디스크 캐시에서 디스크입출력 시간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제어기 상에 위치하는 RAID 5 디스크 캐시의 모델을 제시하여 적중률을 향상시켜 수행속도를 개선시키고자 한다.

  • PDF

A Methodology for Designing the Spatial Query Model using an Object-oriented paradigm (공간 질의모델 설계의 방법론: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이용+)

  • 고명철;오현석;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5-140
    • /
    • 1998
  • GIS에서 공간분석은 최종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다라서,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질의 모델은 질의 자체의 구문구성이나 질의를 이용하는 최종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관점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 모델의 구문구조에 있어서 기존의 설계방법은 속성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속성연산을 위주로 하여 공간연산을 위한 연산자들을 기존의 구문구조에 추가하는 형태의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속성검색을 위해 정의된 구문구조를 확장하여 공간연산을 처리한 방식은 공간연산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했을 때 질의의 구문구조가 비일관적이고 부자연스럽다는 문제점들이 많은 연구들에서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가 공간분석을 위한 방법론이라는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연산을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는 질의모델의 구문구조 설계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PDF

The Sense of Outdoor Characteristics on the Shopping Mall Planning -Focusing on Common Space Comparison- (쇼핑몰의 야외성 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공용공간 비교를 중심으로-)

  • Cho, Hun Hee;Oh, Joon-G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557-566
    • /
    • 2018
  • Shopping malls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sales revenue and attract visito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ense of the outdoor characteristics of these shopping malls by comparing open and enclosed types of shopping malls in common spaces in LA and Korea through case study analyses. This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will form the foundation of comfortable shopping mall space design. The results are the follows. 1. Enclosed shopping malls tend to provide large indoor space to create a sense of outdoors. 2. The common space of enclosed shopping malls is developed through space expansion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s that appear in different combinations depending on the space constraints and contexts. 3.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enclosed shopping malls are largely dependent on the concept of everyday life portrayed in the identity of each space, which usually involve the inclusion of sizable atriums to host indoor sports or special performances.

Development of Riding Support Devices for the Disabled of Urban Railway System (도시철도에서의 교통약자 승.하차 지원장치 개발)

  • Joung, Eui-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72-774
    • /
    • 2012
  • 최근 차량과 플랫폼 사이의 공간에 휠체어의 바퀴 또는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보고되고 있어 교통약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차량과 플랫폼 사이 공간을 메우는 안전스텝을 개발하게 되었다. 안전스텝으로 기존 플랫폼에 설치하는 고무타입은 고정식 고무발판을 미리 설치해 두어 차량과 플랫폼의 간격을 미리 줄이는 방식이나 직선, 곡선 형태의 각각의 역사가 가지는 조건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차량의 승객수와 플랫폼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승하차 높이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차량에 설치하는 방식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안전스텝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고 논하고자 한다.

  • PDF

A relationship among types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박물관 공간구성이 방문객수와 소장품수에 대해 갖는 관계)

  • Kim, Jung Hyun;Shin, Hyung-Deok;Park, Ji Hyon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49
    • /
    • pp.65-8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ype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Museum space has been sorted in various ways(e. g. Seo, 2008; Lee, 2008; Ambrose & Paine, 2012), but this study adopted Lord et al. (2012)'s typology, which has public/non-public and collection/non-collection space, considering that Korean museums' space fits their typology. Using 853 museum data our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ors is bigger, while non-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collection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showing there are differential relationship among those physical museum characteristics and museum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