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지천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Bar Development in Gravel-bed River (자갈하상하천의 bar지형 발달에 관한 연구 -골지천을 사례로-)

  • Yang, H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4
    • /
    • pp.435-444
    • /
    • 1997
  • Bars in a river bed show the flow of the river, the shape of a river bar can be easily measured in any r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 bars. The case study area is the lower Golgi River, six bars were examined. All six bars are gravel bars with a grain size in excess of 2 millimeters. Four of the bars are longitudinal bars,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bar follows the river current. After analyzing the gravel in the bars, it was determined that as the gravel flows down the river, gravel grain size decreases while grain roundness increases. The shape of bar varies locally according to flow regime, channel slope, and w/d ratio.

  • PDF

Geomorphic Evolution of Fluvial Terraces at Yeongdong.Yeongseo Streams in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영동.영서 하천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 내린천, 연곡천, 골지천, 오십천을 사례로)

  • Yoon, Soon-Ock;Hwang, Sang-Ill;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3 s.120
    • /
    • pp.388-404
    • /
    • 2007
  • This study interprets evolution of fluvial terraces along the four Yeongdong- and Yeongseo streams such as Naerin River, Yeongok River, Golji River and Osip River, in Gangwon Province based on the tectonic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fluvial terraces and incision rates of rivers show distinctively the evidence as the axis of uplift by Taebaek Mountains, especially on the 4th, 5th and 6th terraces in upper reach of Osip River among the four streams. The axis of uplift extends to the zone of $30\sim40km$ in width as well as the divide. The difference of uplift between upper and middle reaches of Naerin River and total reach of Golji River wasn't found from the height from riverbed by the active uplifting along all reaches, estimated to be set in inner area of uplift zone. Incision rate of period between formation age of 2nd terrace and 1st terrace is calculated $0.13\sim0.22m/ka$, and incision rate of period between formation age of 1st terrace and Present is diversely calculated $0.17\sim0.27m/ka$ by the climatic discrepancy between the two periods. The incision rate of Yeongdong streams whose mouths reach to the sea level eroded actively more than Yeongseo streams in the uplift zone. And Yeongdong streams between formation age of 1th terrace and present appears to much higher than that of Yeongseo streams, due to active down-cutting in oder to balance against the sea level.

Analysis of Correoation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Goljicheon Basin (골지천 유역의 수질항목간 상관관계 분석)

  • Yu, Na Yeong;Shin, Min Hwan;Park, Bae Kyung;Kang, Tae Sung;Kim, Jong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3-403
    • /
    • 2021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에 의해 유출되며 계절적, 자연적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오염원이 광범위하게 산재하고 있어 오염물질의 발생량과 부하량의 관리가 쉽지 않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은 오염물질이 하천에 미치는 수질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수질항목만으로 하천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중 골지천 유역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골지천 유역 내 5개 지점에 대하여 비강우시 23회, 강우시 지점별 173회~196회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EC, 탁도, BOD5, SS, T-N, T-P, TOC의 수질항목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비강우시 분석 결과 EC는 -0.06~-0.32, T-N은 0.19~0.37로 낮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C와 T-N을 제외한 탁도와 BOD5, SS, T-P, TOC의 경우 서로 0.6 이상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탁도와 SS, T-P, T-P와 TOC는 0.9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시 분석 결과 EC는 비강우시와 유사하게 -0.07~-0.24로 낮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OC를 제외한 탁도, BOD5, SS, T-N, T-P의 경우 서로 0.6 이상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OC의 경우 BOD5, SS와 0.6 이상의 상관성을 갖는 반면 탁도, T-N, T-P와는 0.45, 0.44, 0.57로 다른 항목에 비해 다소 낮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강우시 T-N은 기저 유출에 의한 영향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 다른 항목에 비해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시에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모든 항목에서 비슷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탁도와 SS, T-P의 상관성이 비강우시 0.93, 강우시 0.78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탁도를 측정하여 SS와 T-P로 환산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연구 유역의 지형적 특성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추후에 이를 반영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Meaning Analysis of 'Gumi and Sipalgyung' in Jeongseon Gumijeongsa (정선 구미정사의 성격과 '구미(九美) 18경'의 경관의미)

  • Kim, Soonki;Rho,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2
    • /
    • pp.63-7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 prospect of a few-remaining Byeolseo scenic sites of Gangwon-do(Province) through determining placeness formation, prospect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meanings of Gumi(Nine beauties) and Sipalgyung(18 scenic views) in Gumijeongsa. Gumijeongsa, which is located in a riverside of the Goljicheon(stream), a part of upstream of Namhangang, is the oldest existing Nujung architecture in the Jeongseon area. This study tried to unearth the Gumijonegsa's locational an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field survey. Especially, through the field survey,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landscape meanings and contents of Gumi and Sipalgyung by Gumijeongsa's position and its prospect composi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Gumi and Sipalgyung of Gumijeongsa are variations of typical traditional culture of Gugok(Nine river bends) and Palgyung(Eight scenic views). Ja Lee, the founder, administrated Gumijeongsa as a core residence of Gugok culture. He established beautiful nine viewpoints from the building, named Gumi, and added 18 detailed landscapes(two landscapes for one beauties), instead of establishing nine river bends of the stream. The Gumi and Sipalgyung are formed by reflection of beautiful loca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s in Gumijeongsa, thus the Gumi is the concept which is a unique variation of Gugok and Palgyung culture.

Study on The Optimum Operat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Do-am Dam Flood Control Effect (도암댐 홍수조절효과 향상을 위한 최적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 Moon, Hyong-Geun;Choi, H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78-1782
    • /
    • 2007
  • 강원도 평창군 송천 유역 상류에 위치한 도암댐 및 골지천 상류에 위치한 광동댐에 대한 홍수조절 능력 및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도암댐 및 광동댐 유역의 강우특성, 강우-유출해석, 저수지 추적 및 저수지 운영, 하도추적에 의한 홍수조절 효과, 홍수조절용 댐 전환에 따른 저수지운영계획을 수립하였다. 댐의 단독 및 연계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 가능성을 평가하여 홍수조정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도암댐의 규모결정과 최적댐 운영방안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홍수조절용량댐으로의 전환에 따른 방류구조의 변경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상)

  • Kim, Jung-Hyun;Kim, Jin-Seok;Kim, Sun-Yu;Lee, Byoung Yo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4 no.2
    • /
    • pp.136-16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11 times (from May 2012 to Nov. 2013) were identified as 825 taxa in total, including 124 families, 420 genera, 730 species, 8 subspecies, 78 varieties, 6 forms and 3 hybrids. In the flora of this area, Korean endemic species were 34 taxa, red list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34 taxa and 165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thos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urvey, 101 taxa were identified as specific species bio-geographically as compared to flora of other terrestrial regions; 37 of calcicolous plants, 64 with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34 aquatic taxa and 69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WAT Filter Strip in Golji Watershed (골지천 유역의 최적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분석)

  • Park, Youn Shik;Kwon, Jae Hyo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3 no.1
    • /
    • pp.30-36
    • /
    • 2014
  • BACKGROUND: Best management practices are often implemented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s.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simulated and analyzed for effective Best management practices implementations. Filter strip is one of effective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agricultural areas. METHODS AND RESULTS: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s sele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filter strip to control total phosphorous in Golji watershe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s calibrated for flow and total phosphorous by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 ver.2 algorithm provided i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cedures. Three scenarios defined by filter strip width were applied. The filter strip width of 5 m was able to reduce the most amount of total phosphorous. In other words, the total phosphorous reduction by filter strip of 5 m was 28.0%, while the reduction was 17.5% by filter strip of 1 m. However, the reduction per unit filter strip width were 17.4%, 8.0%, and 4.5% for 1 m, 3 m, and 5 m of filter strips, respectively. CONCLUS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simulated and analyzed so that the BMP scenario can be cost-effective. A large size of BMP might be able to control large amount of pollutants, however it would not be indicated as a cost-effective strategy.

A Study on Hypsometric Curves of Mountain Rivers (산지하천의 면적-고도곡선에 관한 연구)

  • Park, Sang-Deog;Lee, Seung-Kyu;Hong, Jong-Sun;Kim, Ho-Sup;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7-601
    • /
    • 2009
  • 우리나라 하천의 중류나 상류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어서 하천경사가 급하고 하상재료가 크며 지질 및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구속사행이 발달 되어 있는 산지하천이다. 산지하천은 홍수 시 만곡수충부 외측에서 홍수위 상승에 따른 범람과 유속 및 소류력에 의한 하상세굴이 발생한다. 특히 강원도는 산지하천을 따라서 도로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하천피해는 도로피해와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산지하천 수충부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호우에 따른 하천의 홍수위 및 하상 변동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나 산지하천 특성을 고려한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 발달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지하천은 하상을 구성하는 재료가 모래에서부터 전석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일반 모래와 자갈이 주를 이루는 평지하천과 현저히 다르다. 하천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은 유역의 지질 발달상을 판단하거나 홍수효과 또는 지형의 침식과 퇴적 등을 분석하는데 유효한 방법이다. 강원도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을 발원지로 하는 하천의 면적과 고도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영서지역은 제1차 하천인 한강과 그 주요 지류 21개 하천, 영동지역은 제1차 하천 6개와 그 지류 3개 하천을 선정하고 무차원 면적-고도곡선을 작성하여 유역의 발달단계를 분석하기 위한 면적고도 발달계수를 정의하였다. 골지천을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 하천에서 최대표고의 70%이상인 지역이 전체 유역면적의 10%미만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하천유역이 상류의 경우 전형적인 장년기에서 노년기 지형으로 발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역의 하류지역은 이미 유년기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동 보다는 영서지역 하천이 하류에서 유년기적 특성이 다소 크고 상류는 장년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ffect of Land Use on the Water Quality of Watersheds in Nam Han river. (토지이용이 남한강 유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

  • Byeon, Sangdon;Yang, Dongseok;Lim, Kyeongjae;Kim, Jonggun;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4-164
    • /
    • 2021
  • 우리나라는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 등과 같은 유역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유역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도시화는 지표면의 불투수 면적을 증가시키고, 농업지역의 확대는 비료 및 농약의 사용을 증가시키고, 강우시 토양침식에 따른 흙탕물과 비점오염원의 수계 유출로 인해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유역환경의 변화는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미래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과 영향 인자를 규명해야 효율적인 하천유역관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후적 특성상 계절에 따른 수질 및 기후변수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하천유역관리에 있어 어려움이 많다. 특히 남한강 유역은 산림 및 고랭지밭 비중이 높은 지역이며, 여름철에는 강우로인한 토양침식이 심각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을 악화시킨다. 남한강 상류 유역에는 송천과 도암호, 골지천과 같은 비점오염관리지역이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하천유역관리가 어려운 지역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남한강 유역에 위치한 17개 수질측정망을 대상으로 GIS시스템을 이용해 17개의 소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토지이용자료는 환경공간정보 서비스의 2010년대 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유역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수질 변수를 선별하여 10년동안의 장기간 수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개의 수질변수는 정규성을 검증한 후 pairwisse t-test를 이용한 시기별 수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수질변수들과 토지이용매개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찾아 유의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서로 다른 변수간에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특성별 상관도를 평가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방법을 통해 시기에 따른 수질과 토지이용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미래하천유역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Carbonate Aquifers in Gangwon Province (강원도 탄산염지역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특성)

  • Park, Young-Yun;Lee, Jin-Yong;Lim, Hong-Gyun;Park, Yu-Chu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1 no.1
    • /
    • pp.79-85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flow properties of groundwater in areas of carbonate rocks at Yeongwol and Jeongseon, Gangwon Province, based on measurements of hydraulic conductivity. Existing hydraulic conductivity data were compiled from 46 wells in the study area. These wells were sunk close to Golji stream and the Joyang and Dong rivers, which flow through the study area.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range from 0.004 to 1.1 m/day, and show a gradually decreasing trend with decreasing well depth (y=-0.003x - 0.927, $r^2$=0.129).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zone A (< 0.1 m/day), zone B (0.1-1.0 m/day), and zone C (> 1 m/day) according to hydraulic conductivity. Zones A, B, and C make up 87% (n = 40), 11 % (n = 5), and 2% (n = 2) of the surface of the study area,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zones, zone A contains few fractures whereas zone C contains many frac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ndwater flow in carbonate region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fractur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