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재 및 석재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골재 및 석재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A Study on Induced effect of Aggregate and Stone Sector with Input-Output Table)

  • 김지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5호
    • /
    • pp.573-580
    • /
    • 2021
  •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골재 및 석재부문의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골재 및 석재부문의 부가가치에 관해 정리하였으며, 이어 중간투입구조와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부가가치구조 측면에서 골재 및 석재는 제조업에 비해 높은 피용자보수율을 보였으며, 영업잉여에 대해서도 그 외 광업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중간투입구조는 골재 및 석재 생산품을 중간투입물로 이용하는 부문과 그 투입비율을 정리하였는데, 골재 및 석재의 배분구조와 산업부문에서 골재 및 석재를 투입하는 구조를 정리하였으며,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등 주요 수요자의 중간요소 투입구조 중 비중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골재 및 석재의 최대 수요자인 레미콘의 주요 투입부문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골재 및 석재의 생산유발효과는 2015년 기준으로 0.774의 값을 보인 감응도계수에 비해 0.984의 값을 보인 영향력계수가 전체 산업에서 높은 순위를 보여 상대적으로 후방연쇄효과를 크게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여 생산유발 효과를 검토하였는데, 한국은행의 기본부문분류에 따른 도출결과와 유사하게 영향력계수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재·골재 자원정보관리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Information System for Architectural Rock & Aggregate in Major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

  • 김대형;김유정;최용근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119-128
    • /
    • 2024
  •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석재·골재를 광물자원 중의 하나로 취급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의 주정부 단위에서 광물자원 및 지질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 석재와 광물자원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광물 및 석재·골재 자원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는 인터랙티브 맵, 지질도, 탐사 데이터 셋, 3차원 지질모델, 광업권리, 광산 및 광산관련 보고서 또는 요약자료 등으로 지방정부 및 지질조사기관의 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국내 법률에 따라 석재·골재는 광물자원과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되며, 이에 따라 관련 정보도 한국광해광업공단, 국토교통부, 산림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석재·골재 자원의 확보와 효과적 활용을 위한 종합정보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개편과 정보체계화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암석재료

  • 정교철;오대여;김주용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4년도 암반의 조사와 적용(단행본)
    • /
    • pp.25001-25035
    • /
    • 2004
  • 석재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고 상품성 있는 석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채석허가 이전에 지질조사 및 시추탐사를 통한 매장량과 경제성 등 채석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골재가 부존하는 충적층은 다양한 입도와 지층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대상으로 골재를 채취하려면 골재의 품질과 매장량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무분별한 골재 채취는 홍수시 유량과 유속을 변경시키므로 합리적인 채취량을 추산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순환 굵은골재 및 레드머드 치환율에 따른 무시멘트 인조석재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ementless Artificial Stone by Recycled Coarse Aggregate and Red Mud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 박주화;편수정;이상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0-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원 재활용 가능성을 위해 재활용 제품으로 레드머드와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무시멘트 인조석재의 제조와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레드머드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무시멘트 경화체의 유동성, 공기량, 흡수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밀도와 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인조석재의 경우,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과 흡수율은 감소하며 공기량과 밀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 60%까지 강도는 증가하지만 이후 치환율이 증가하면서 강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보인다. 무시멘트 인조석재의 출석률은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 및 인근 지역의 건설용 골재 유통현황 분석 연구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Construction Aggregat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Nearby Areas)

  • 백철승;유병운;김건기;장유정;이진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219-231
    • /
    • 2024
  •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레미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골재 운반거리 및 생산형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골재 유통 특성과 현황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수요지 도달거리가 20km 이내인 인천, 시흥, 부천, 김포, 시흥 지역은 생산과 타지역간 거래가 많은 양방향 유통형태를 가지며 20~50km인 파주, 용인, 양주, 포천 지역은 인천으로만 골재를 공급하는 단방향 유통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생산형태별 유통량 조사결과 인천지역에서 유통되는 자갈의 85% 이상이 건설현장에서 배출되는 암석으로 만든 부순골재로 공급망이 많이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으로 골재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적절한 골재 유통시장 형성을 위한 정책적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폐자원을 활용한 내장용 인조석재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Interior stone Using Waste Resources)

  • 유용진;이상수;송하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7-243
    • /
    • 2014
  •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환경 문제가 심각하며, 또한, 시멘트의 원료인 석회석과 골재의 무분별한 채취로 인한 환경파괴와 자원고갈의 심각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점을 줄이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골재 대체재인 폐자기를 혼합하여 적용시켰다. 또한, 시멘트 대체재로써 마그네시아 인산염 복합체와 플라이애시를 혼입하여 그에 따른 인조석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폐유리 혼합비율 60% 및 폐자기 혼합비율 70%가 인조석재의 전반적인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조석재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유리 및 폐자기를 활용한 무시멘트계 인조석재의 특성 (Properties of Non-cement Artificial Stone Utilizing the Waste Porcelain and Waste Glass)

  • 김태현;이승호;이상수;송하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36-142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산업화 및 현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오염 또한 급격히 진행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천연골재의 무분별한 채취로 환경오염 및 분진발생 등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멘트 생산 시 $CO_2$ 배출량을 줄이고자 시멘트 대체재로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유동층 연소 플라이애시를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천연골재의 무분별한 채취 문제를 해결하고자 골재로서 폐자기 및 폐유리를 활용하는 인조석재에 적용하는 산업부산물 및 폐자원을 활용한 내 외장재 인조석재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를 주 결합재로 하여 유동층 연소 플라이애시를 40% 첨가하였을 때 가장 강도가 높았으며 또한, 선행실험을 토대로 폐자기 및 폐유리의 혼입율에 따른 실험을 진행 한 결과, 폐자기 및 폐유리의 적정 혼입율은 출석률이 45% 이상 보이는 혼입율 60, 70(%)의 혼입율이 가장 적정 혼입율이라고 판단된다.

2021년 국내외 석재산업 동향 분석 (Stone Industry of Domestic and Foreign in 2021)

  • 채광석;구남인;천정화;양희문;박기형
    • 광물과 암석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24
  • 2021년 세계 석재 생산은 162,500천 톤으로 전년도 155,000천 톤과 비교하여 7,500천톤, 4.8% 증가했다. 석재 생산 순위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브라질, 이란 및 이탈리아 순서로 나타났으며 상위 6개 국가에서 전 세계 석재 생산량의 72.8%를 생산했다. 석재 수출은 전년도 19,370백만 USD와 비교해 2,310백만 USD 증가한 21,680백만 USD로 나타났다. 원료 및 가공석재 무역은 전년도 51,430천 톤과 비교하여 2,975천 톤 증가한 54,405천 톤으로 나타났다. 골재 수출액은 전년도 천연석 19,370백만 달러, 인공석 10,930백만 USD와 비교하여 천연석은 2,310백만 USD 증가하고, 인공석은 2,660백만 USD 증가해 각각 21,680백만 USD, 13,590백만 USD로 나타났다. 석재(Code: 68.02) 평균 가격은 전년도 2020년 729.62 USD/ton과 비교하여 65.2 USD/ton 증가한 794.82 USD/ton로 나타났다. 또한 건축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가공석재 가격은 전년도 39.44 USD/m2와 비교하여 3.52 USD/m2 증가한 42.96 USD/m2로 나타났다. 총채석량은 333,500천 톤(100%), 완제품은 96,000천 톤(28.8%), 석재채취 및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237,500천 톤(71.2%)으로 석재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문제가 꾸준히 발생하였다. 우리나라 석재 수출액은 전년도 3,195천 USD와 비교하여 38.3% 감소한 1,972천 USD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입액은 전년도 698,496천 USD와 비교하여 8.6% 증가한 758,868천 USD로 나타났다. 2025년 세계 석재 무역량은 66,100천 톤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석재 사용량은 108,920천 톤, 20억 m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축용 석재개발에 따른 환경 부하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 포천 아트밸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s to reduce environmental load due to stone development- Focusing on Pocheon Art Valley -)

  • 서명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11-716
    • /
    • 2023
  • 건축물 신축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의 고급화 전략으로 많은 양의 석재가 필요하며 콘크리트의 생산에 필요한 강모래 강자갈의 부족으로 많은 석산에서 골재를 채취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건축용 석재개발의 사례를 살펴보고 지역의 주민 의식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주민들의 석산개발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고 석산개발에 따른 황폐화의 대안으로 그 지역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들은 채석장 사용에 대하여 많은 반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거주민의 지역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을 채석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황폐화된 지역은 포천 아트벨리와 같이 그 지역을 잘 연구하여 그 지역 특성에 맞는 방향으로 복원 및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최대 실벡터합과 최대 벡터합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ue Maximun Vector Sum and Maximum Vector Sum In Vibration Monitoring of Blast)

  • 강추원;추영래;박현식
    • 화약ㆍ발파
    • /
    • 제19권2호
    • /
    • pp.19-26
    • /
    • 2001
  • 국토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각종 토목.건설공사나 석재 및 골재생산 등을 위해 암반을 굴착함에 있어 다양한 산업용 화약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약의 사용으로 인해 수반되는 발파진동은 인체 및 구조물 등에 피해를 발생시켜 인근의 주민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속도 data를 취합하여 분석 사용함에 있어서 V, T, L 성분의 최대 실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와 최대 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실제 현장 기험시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진동속도는 최대 실 벡터합에 비해 최대 벡터합에 의해 구해진 진동속도의 크기가 장승근에서는 24.6%, 삼승근에서는 26.1%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성분의 최대치, 최대 실벡터합, 최대 벡터합의 안전율은 1 : 1.154 : 1.359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