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수염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on Bone Scan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뼈스캔상의 병기)

  • Yang, Hyung-In;Kim, Eui-Jong;Kim, Deog-Yoon;Ryu, Kyung-Nam;Cho, Kyung-Sam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8 no.2
    • /
    • pp.206-213
    • /
    • 1994
  • We studied 90 patients(179 femoral heads) with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who had been performed X-ray, bone scan and MRI to compare of the findings of AVN on bone scan between each other,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82 males and 9 females, their mean age was 45 years. Radiographic stages were classified by Steinberg modification, radionuclide stages were classified as followed; stage o(or type 0) : normal, stage 1 : faint ring like uptake around the femoral head, stage 2: intense ring like uptake, stage 3: irregular increased uptake with central photon defect, stage 4 : Intense diffuse increased uptake at femoral head and stage 5 : hip joint deformity with relatively mild increased uptake. The findings of MRI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xtent, location, early or advanced lesion,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and joint effusion. 156(87%) of 179 femoral heads had avascular necrosis, 68(75.5%) of 90 patients had bilateral AVN, 35 femoral heads had early stage and 120 had advanced stage. The detection rate of AVN by X-ray and bone scan were 85% (134), 91.6% (143), respectively. Early AVN with atypical types of bone scan showed larger extent, moderate to large amount of joint effusion, soft tissue hypertrophy within joint, and secondary degenerative changes. Bone scan had relatively high detection rate in the diagnosis of AVN of femoral head, and demonstrated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disease stage.

  • PDF

The Prognostic Indicies of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other than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비 AIDS 면역 결핍 환자들에서 발생한 주폐포자충 폐렴의 예후인자)

  • Park, Wann;Kim, Yoo-Kyum;Lee, Jin-Seong;Ahn, Jong-Jun;Hong, Sang-Bum;Shim, Tae-Sun;Lim, Chae-Man;Lee, Sang-Do;Kim, Woo-Sung;Kim, Dong-Soon;Kim, Won-Dong;Koh, Youn-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5 no.4
    • /
    • pp.805-812
    • /
    • 1998
  • Background: Among the variety of opportunistic infections, pneumonia comprises the major morbidity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Pneumocystis carnii pneumonia (PCP) and cytomegalovirus (CMV) pneumonia are common infectious illness of immunocompromised hosts. Although there are many reports regarding to the co-infection of PCP and CMV diagnosed by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examination, the effects of CMV co-infection on the outcome of PCP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MV detected by BAL fluid examination on the clinical course of PCP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other tha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Method: Ten patients with PCP were enrolled and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ir medical records were done. HIV infected persons were excluded. The PCP was diagnosed by BAL fluid examination with Calcofluor-White staining. CMV was detected in BAL fluid by Shell-vial culture system. Chest radiographic findings were reviewed. We used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Results: The underlying disorders of patients were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n=1), renal transplantation (n=4), necrotizing vasculitis (n=l),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n=1), brain tumor (n=1),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n=1), unidentified (n=1).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linical course, APACHE III score,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hite blood cell count, lymphocyte count, serum albumin concentration, chest radiographic findings and mortality between patients with PCP alone (n=4) and those with CMV co-infection (n=6). Univariate analysis regarding to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mortality of PCP were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p=0.028), the level of APACHE III score (p=0.018) and serum albumin concentration (p=0.048) were related to the mortality of patients with PCP. Conclusion: The clinical course of PCP patients co-infected by CMV were not different from PCP only patients. Instead, accompanied respiratory failure, high APACHE III score and poor nutritional status we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of PCP.

  • PDF

Detoxification of PSP and relationship between PSP toxicity and Protogonyaulax sp. (마비성패류독의 제독방법 및 패류독성과 원인플랑크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CHANG Dong-Suck;SHIN Il-Shik;KIM Ji-Hoe;PYUN Jae-hueung;CHOE Wi-Ku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2 no.4
    • /
    • pp.177-18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oxifying effect on PSP-infested sea mussel, Mytilus edulis, by heating treatment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SP toxicity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hellfish culture area such as temperature, pH, salinity, density of Protogonyaulax sp. and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s such as $NH_4-N,\;NO_3-N,\;NO_2-N\;and\;PO_4-P$.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Suj\u{o}ng$ in Masan, Yangdo in Jindong, $Hach\u{o}ng\;in\;K\u{o}jedo\;and\;Gamch\u{o}n$ bay in Pusan from February to June in $1987\~1989$. It was observed that the detection ratio and toxicity of PSP in sea mussel were different by the year even same collected area. The PSP was often detected when the temperature of sea water about $8.0\~14.0^{\circ}C$. Sometimes the PSP fox of sea mussel was closely related to density of Protogonyaulax sp. at $Gamch\u{o}n$ bay in Pusan from March to April in 1989, but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except above dur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s effects on the growth of Protogonyaulax sp., then effects of $NO_3-N$ was the strongest among them. When the PSP-infested sea mussel homogenate was heated at various temperature, the PSP toxicit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t below $70^{\circ}C$ for 60 min. but it was proper-tionaly de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For example, when the sea mussel homogenate was heated at $100^{\circ}C,\;121^{\circ}C$ for 10 min., the toxicity was decreased about $67\%\;and\;90\%$,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en shellstock sea mussel contained PSP of $150{\mu}g/100g$ was boiled at $100^{\circ}C$ for 30 min. with tap water, the toxicity was not detected by mouse assay, but that of PSP of $5400{\mu}g/100g$ was reduced to $57{\mu}g/100g$ even after boiling for 120 min.

  • PDF

Plasma G-CSF and GM-CSF Concentration and Amount of Their Receptors on the Granulocyte in Kawasaki Disease (가와사키병 환아의 혈장내 G-CSF와 GM-CSF 농도 및 과립구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발현 변화)

  • Yoo, Young-Kyoung;Lee, Gibum;Kim, Hyun-Hee;Kim, Soo-Young;Kim, You-Jeong;Lee, Wonba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4
    • /
    • pp.376-381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possible pathogenesis of granulopoiesis in patients of Kawasaki disease(K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of G-CSF, GM-CSF and their CSFr. Methods : The plasma levels of G-CSF, GM-CSF, G-CSFr and GM-CSFr were studied in 14 patients in the acute phase of KD; 13 children with normal peripheral white blood cell counts were used as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plasma concentration of G-CSF, GM-CSF were analyzed by ELISA. The G-CSFr and GM-CSFr on the peripheral granulocytes were analyzed by a quantitative flow cytometric assay and QuantiBRITE, an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receptors which did not combine with G-CSF and GM-CSF were measured.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leukocytes in KD was similar to normal control group, but the leukocyt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utrophils. The plasma concentration of G-CSF were decreased similar to normal control group(P=0.133), but that of GM-CSF decreased more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P=0.227). The quantity of G-CSFr, GM-CSFr were revealed to be no less than the normal control(P=0.721, P=0.912). After incubation with excessive G-CSF, the expressed G-CSFr on the neutrophils were decreased in both groups(P=0.554). The quantities of expressions of GM-CSFr on the neutrophil after incubation with the excessive GM-CSF were always increased in both groups(P=0.255). The amount of GM-CSFr of neutrophils are in proportion to total white blood cells (r=0.788, P=0.035), but it wasn't in the case of KD(P=0.644). Conclusion : The leukocytosis in KD that mediated by increasing neutrophil was not correlated with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G-CSF and GM-CSF, and the amount of expression of G-CSFr and GM-CSFr on granulocyte. It is possible that the reduction of concentration of GM-CSF results by increasing the active GM-CSFr.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