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반골절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Combined Exercise has Effect on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 최필병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55-369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골다공증 노인의 골밀도 개선과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지침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S·K타워 실버타운에 입주하여 거주하는 골다공증 노인 여성 31명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군(n=16)과 통제군(n=15)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으로 동적 및 정적 스트레칭으로 이루어진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각각 10분씩 실시하고, 본 운동에서 유산소운동으로 자전거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30~45분(예비 심박수; HRR 40%~60%) 동안 실시하였으며, 무산소운동으로는 대근육 단련을 위한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1RM * 50-70%; 8-10회 * 2세트 ~ 10-15회 * 1세트)을 주당 5일 1년간 시행하였다. 통제군은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S·K타워에서 규칙적인 운동 및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TV 시청이나 회원과의 담소를 나누는 정도의 좌업생활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실험 전, 중, 후에 신체 부위별 골밀도(상지, 하지,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혈압, 혈중지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부위별 골밀도에서는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중 혈압(SBP, DBP)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혈중지질의 변인 중 TC, TG, LDL-C 및 HDL-C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기간 실시하는 복합운동은 골다공증 노인에게 있어 골반, 척추, 체간의 골밀도 및 T-score 개선과 함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킴에 따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과 골절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의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Jeune 증후군 환아에게 시행한 외측 흉벽 확장술 (Lateral Thoracic Expansion Surgery for Jeune's Syndrome)

  • 김준범;문일홍;최병민;이기형;최인철;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73-877
    • /
    • 2005
  • Jeune 증후군은 체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다발성 연골 형성장애에 의한 흉벽, 골반, 사지 등의 골격계 발달 이상을 보이며 신장, 간, 췌장, 망막 등에도 병변을 동반할 수 있는 드문 질환이다.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흉곽 기형의 정도인데 특징적으로 경직된 종 모양의 제한적 흉곽을 보이며, 이로 인해 호흡부전과 폐렴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어린 나이에 증상이 발현될수록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흉곽 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여러 수술 방법들이 소개되어 왔으나 1세 이전에 증상이 발현된 경우에 있어서는 수술 교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후 11개월 된 남자 환아가 출생 후부터 지속된 호흡부전과 폐렴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Jeune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측흉벽 확창술을 우측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호흡 부전이 해결 되지 않아 첫 수술 3개월째 좌측에 대해서도 같은 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좌측 티타늄 판 골절이 발생하여 티타늄 판 재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호흡 양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다가 첫 수술 6개월째 퇴원하였다. 환자는 퇴원 2개월 후 폐렴의 증상으로 재입원하였으며, 재입원 치료 5개월째에 결국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 Jeune증후군에 대한 측흉벽 확창술을 시행하였기에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불안정성 골반골 골절 손상에서 동반 복부 고형장기 손상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 이상원;김선휴;홍은석;안력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0 for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 was defined as lateral compression types II and III, antero-posterior compression types II and III, vertical shear and combined type by young classifica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injured group) and without (non-injured group)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to evalu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actured depended on the presence of associated solid organ injury. Data included demographics, mechanism of injury, initial hemodynamic status, laboratory results, revised trauma score (RTS),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injury severity score (ISS), amount of transfusion,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mortality. Results: The subjects were 21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4 years and included 134 male patients(61.8%). The injured group included 38 patients(16.9%). Traffic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and lateral compress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fracture in all groups. The initial blood pressure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ISS was greater. The arterial pH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shock within 24 hours after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more frequent in the injured group. The amount of the transfused packed red blood cells within 24 hours was higher in the injured group than the non-injured group. Invasive treatment, including surgery and angiographic embolization, was more common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stay in the ICU was longer in the injured group. Conclusion: A need exists to decide on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la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nd multiple associated injuries.

농어업인과 비농어업인의 손상, 중독 유병률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revalence of Injury/Poisoning i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opulation and the General Population)

  • 임형준;권영준;임준;주영수;이경숙;김경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3권1호
    • /
    • pp.82-89
    • /
    • 2008
  • 농촌의 고령화, 기계화 및 농약 사용량의 증가는 농어업인의 손상 및 중독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어민 자격자료와 건강보험수진자료 등 2차 자료원을 이용하여 농어업인과 비농어업인에서 손상질환의 유병률을 비교하였다.구체적으로 농어업인과 비농어업인 사이의 전체손상질환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농어업인에서 많은 5대 다빈도 손상질환과 농약에 의한 중독 상병에 대해 비교하였다. 유병률 비교는 남녀 각각에서 비농어업인을 표준 인구로 간접 표준화법을 이용하여 연령보정 표준화 이환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연구결과 농어업인의 전체손상질환 연령보정 표준화이환비는 남자에서 137.6(95% 신뢰구간 137.1 - 138.1) 이었으며 여자에서는 123.3(95% 신뢰구간 122.9 - 123.8)로 유의하게 높았다. 세부질환별로는 요추/골반, 어깨, 목의 염좌, 흉골, 갈비뼈, 흉추의 골절과 살충제 중독에서 연령보정 표준화이환비가 유의하게 높았다.향후 농어업인 손상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필요하며, 농어업으로 인한 손상의 지역별 또는 경시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전체 손상과 작업관련성 손상의 정의를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부 고형장기 손상을 동반한 안정 골반골 골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 박상준;김선휴;이종화;안력;홍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57-6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9 of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 stable pelvic bone fracture according to Young's classification is defined as a lateral compression type I and antero-posterior compression type I.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injured group) and one without (non-injured group)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to evaluate the depend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presence of an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Data including demographics, mechanism of injury, initial hemodynamic status, laboratory results, Revised Trauma Score (RTS),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Injury Severity Score (ISS), amount of transfusion, 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ICU), and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The subjects were 128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2 years old, of whom were 67 male patients (52.3%). The injured group had 21 patients(16.4%), and the most frequent injured solid organ was the liver. Traffic accident was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and lateral compress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fracture in all groups.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ISS was greater in the injured group. Arterial pH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shock within 24 hours after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more frequent in the injured group. Transfused packed red blood cells within 24 hours were 8 patients(38.1%) in the injured group and 11 patients(10.3%) in the non-injured group. Conservative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therapeutic modality in all groups. Stay in the ICU was long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ree mortalities occurred.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cide on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la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nd for patients with 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long with multiple associated injuries.

골반골 골절로 인한 동맥 파열로 동맥 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의 생존 비교 (Comparison of Survival in Pelvic Bone Fractures with Arterial Embolization)

  • 김우연;홍은석;홍정석;안력;황재철;김선휴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1호
    • /
    • pp.46-52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s and arterial bleeding.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7, in all, 18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s that had been treated with interventional arterial embolization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the Revised Trauma Score (RTS), the initial hemodynamic status, the blood gas analysis, blood transfusion data, and mortality were the main outcome measurements. Results: Pelvic bone fractures were classified into lateral compression (LC), antero-posterior compression (APC), vertical shear (VS), and combined (CM) type according to the Young-Burgess classification. The Survivor group included 11 patients (61.1%), and the non-survivor group included 7 patients (38.9%). The mean ages for the survivor and the non-survivor groups were 40.0 and 45.6 years (p=0.517). The types of pelvic bone fractures were LC 11 (61.1%), APC 6 (33.3%), and VS 1 (5.6%): LC 7 (63.6%), and APC 4 (36.4%) in the survivor group and LC 4 (57.1%), APC 2 (28.6%), and VS 1 (14.3%) in the non-survivor group. The internal iliac artery was the predominant injured vessel among both the survivors (n = 5, 45.5%) and the non-survivors (n = 4, 57.1%). No differences in initial blood pressures, ISS, and RTS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arterial pH was lower in the non-survivor group (pH 7.09 (${\pm}0.20$) vs 7.30 (${\pm}0.08$), p=0.018). The number of transfused 24-hour units of packed RBC was greater in the non-survivor group ($24.1{\pm}12.5$ vs $14.4{\pm}6.8$, p=0.046). Conclusion: No differences in initial blood pressure and trauma scores existed between survivors and non-survivors with pelvic bone fractures, who had been tre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 but arterial pH was lower the in non-survivors.

골반골 골절 환자의 혈역학적 불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요소 (Factors Affecting Hemodynamic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

  • 박승민;이강현;최한주;박경혜;김상철;김현;황성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1호
    • /
    • pp.22-27
    • /
    • 2008
  • Purpose: Treatment and prognosis in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acture and the stability of the pelvic 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racture patterns, injury mechanisms, clinical courses, and prognoses according to the hemodynamic pattern.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6, 89 patients under diagnosis of pelvic bone fractur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examinations. Patients with confirmed hemorragic shock with a systolic pressure of less than 90 mmHg were defined as the shock group. Young's classification was used to characterize fracture patterns. Factors relating to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to treatments such as transfusion and surgery were analytically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8.8{\pm}18.7$, among which 49 (55.1%) were male. The numbers of shock and non-shock patients were 35 (39.3%) and 54 (60.7%) respectively. Eighteen (51.4%) of the shock patient had injuries resulting from pedestrian accidents (p=0.008). According to Young's classification, lateral impact fractures amounted to 20 and 33, front-rear impact fractures to 9 and 20, and multiple fractures to 6 and 1 among the shock and non-shock patients, respectively (p=0.027). Thirty-nine (39) cases in non-shock injuries were conservatively managed while 18 cases in shock injuries were surgically treated. In the shock group, the liver and the kidney were often damaged, as well. Among the shock patients, the average admission period was $7.5{\pm}8.7days$ in intensive care and $55.1{\pm}47.9days$ in total, which were longer than the corresponding numbers of days for the non-shock patients (p<0.05). No deaths occurred in the non-shock group while 5 deaths (14.2%) occurred in the shock group (p=0.007). Conclusion: The factors affecting hemodynamic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 are injury mechanism, classification of fracture, and associated injuries.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삼차원 프린팅의 응용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in Orthopedic Surgery)

  • 최승원;박경순;윤택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03-116
    • /
    • 2021
  • 삼차원(three-dimensional, 3D) 프린팅의 사용은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그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정형외과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네 가지로 첫째, 3D 프린팅 모델을 이용한 수술 계획 수립 및 수술 시뮬레이션, 둘째, 환자 맞춤형 수술 기구, 셋째, 3D 적층 기법을 이용한 인공 삽입물의 생산, 넷째,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환자 맞춤형 삽입물이다.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정형외과의 영역은 견관절, 척추, 고관절 및 골반, 슬관절, 족관절, 종양 분야 등으로, 각각의 영역마다 다루는 질환 및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 역시 각각의 영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는 것은 수술의 효율을 높여 주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며 수술 중 방사선 노출을 줄여 준다. 3D 프린팅 기술은 특히 복잡하고 어려운 질환이나 골절 환자의 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형외과 의사는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의 장점을 이해하고 임상에 최대한 적용하여 효율적인 환자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발성 골수종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Multiple Myeloma)

  • 황형기;이충기;현명수;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06-113
    • /
    • 1991
  •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90년 2월까지 영남대학병원 내과에서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단 되었던 총 3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적으로 60대(45%)에서 가장 많았으며 남녀비는 1.8 : 1로 남성 우위를 보였다. 2. 진단당시 주증상으로는 골통증(58%)이 가장 많았고, 발열, 호흡곤란, 현기증, 종물촉지 등이 있었다. 3. Southwest Oncology Group(SWOG)의 진단기준에 따른 검사소견의 분포는 골이나 연부조직의 생검상 골수종을 보인 예가 6예, 골수검사상 총유핵세포 중 형질세포의 비율이 10%이상인 예가 22예, 혈청단백 전기영동상에서 Monoclonal splike를 보인 예가 24예, X-선검사상 골붕괴소견을 보인 예가 22예에서 관찰되었다. 4. 병기분류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stage I이 2예, stage II가 3예, stage III가 26예로 전체 대상환자의 84%였다. 5. 면역전기영동검사결가 IgG가 19예로 64%로 가장 많았으며, Light chain이 7예로 23%, IgA가 3예로 10% 순이었다. Light chain중 Kappa와 Lambda의 비는 1.1 : 1로 거의 비슷하였다. 6. 혈액학적소견상 혈색소치가 8.5g%미만이 42%를 차지하였고, 10.6mg%이상의 고칼슘혈증을 보인 환자는 22%였고, 혈청 creatinine치의 경우 2.0mg%이상이 19%를 차지하였다. 7. 골 X-선학적 검사소견상 다발성 골용성 병변은 두개골에 6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늑골로 42%, 요추 35%, 골반 23%, 흉추 순으로 관찰되었다. 골조송증과 골붕괴 및 골절이 동반된 예가 55%, 골붕괴만 보인 예가 23%, 골조송증만 보인 예가 10%였다. 8. 합병증으로는 신기능 장애가 10예, 감염이 8예, 척추의 압박골절이 16예에 관찰되었다.

  • PDF

역분화 연골육종의 임상 결과 (The Clinical Outcome of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 공창배;이승용;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71
    • /
    • 2019
  • 목적: 역분화 연골육종은 저 악성도의 연골육종과 골육종, 섬유육종 등 고 등급의 육종이 같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악성 골종양이다.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역분화 연골육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수술적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4세(33-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이 6예, 골반골이 4예, 중족골이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7 cm (6.0-26.1 cm)였다. 진단 당시 증상은 8예에서 동통, 2예에서 종괴였으며, 나머지 1예는 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된 골병변이었다. 진단 시 병적 골절이 동반된 환자는 2명이었으며, 병기는 1예에서 IIA기, 9예에서 IIB기, 1예에서 III기였다. 8예가 원발성, 3예가 속발성 역분화 연골육종이었으며, 원발성 중 1예는 방사선적으로 저 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오인되어 소파술을 시행받은 후 진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5-56개월)이었고, 국소 재발이 8예, 원격 전이가 10예에서 발생했다. 국소 재발은 평균 8개월(2-23개월), 원격 전이는 평균 7개월(1-32개월)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의 Kaplan-Meier 3년 생존율은 18%였으며, 10명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 연골육종은 조기에 폐 전이가 발생하여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갖는 치사율이 높은 악성 골종양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