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곡선확정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Verifications of Rating-Curves for 5 Stations of Nakdong River in 2006 (2006년도 낙동강본류 5개 지점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증)

  • Kim, Sam-Eun;Kang, Kyu-Sang;Jung, Chan-Yong;Lim, Hyuk-Jin;Kim, Hyoung-Seop;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4-1818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 5개 유량 측정 지점에 대한 유량측정성과 검토와 더불어 개발된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에 대한 검증 평가를 위해 객관적인 비교 분석항목을 이용하여 적절성을 평가 하였다. 이번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곡선식 불확실도 및 평수시, 홍수시 상하류 유량비교와 연간 유출률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수계 본류의 주요 5개 대상 지점에 대해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할 수 있었다.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하여 확정된 유량자료는 양질의 수준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다중감수 수문모형의 개발

  • Kim, Hyeon-Jun;Jeong, Seong-Won;Kim,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3.07a
    • /
    • pp.327-334
    • /
    • 1993
  • 일유출량을 모의하는 수문모형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그 이용에 있어서는 입력자료와 매개변수가 다양하고 매개변수의 산정에 경험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문실무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는 최소의 입력자료(강우량, 증발량)와 매개변수로 일자연유량을 모의할 수 있는 집중형 확정론적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관측된 수문곡선으로부터 입력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작기때문에 실무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기본 개념은 강우-유출에 질량불변의 법칙을 적용하고, 선형저수지와 유사한 다중 감수 과정에 따른 수문곡선에 근거한다. 제안된 수문곡선은 차단을 제외한 강우량에 기인한 유량의 시간분포를 나타내며 기저유출과 장래에 손실될 증발산량을 포함한다. 제안된 수문곡선은 2개의 상승부와 3개의 감수부로 구성되며 수문곡선의 우측부는 개방되어 있다. 수문곡선의 상승부에는 감수계수의 개념을 역으로 적용하였으며, 계산을 단순화 하기 위하여 각 상승부 및 감수부의 구간은 정수값만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한강유역의 인도교지점(1918-1974), 영산강유역의 나주지점(1906-1990)의 일유출량을 모의하기 위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모의 기간중에 매개변수의 조정없이 전 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장기간의 일유출량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urban runoff by deter ministic simulation techniques. (확정론적 모의기법에 의한 도시유출 해석에 관한 연구)

  • 이은영;강관원
    • Water for future
    • /
    • v.15 no.3
    • /
    • pp.37-47
    • /
    • 1982
  • In the past, the design flow of the urban storm drainage systems has been used largely on a basis of empirical and experience, and the rational formula one of empirical method has been widely used for our country, as well as world wide. But the empirical method has insufficient factor because minimal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relationship of the parameters in the equation to the processes being considered, and considerable use of experience and judgment in setting values to the coefficients in the equation is made. The postcomputer era of hydrology has brought an acceleratio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ethods, thus mathematical models are methods which will greatly increase our understanding in hydrology. On this study, a simple mathematical model of urban presented by British Road Research Laboratory is tested on urban watersheds in Ju An Ju Gong Apartment. The basin is located in Kan Seog Dong, Inchon. The model produces a runoff hydrograph by applying rain all to only the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 of the basin. To apply this model the basin is divided into contributing areas or subbasins. With this information the time area for contributing is derived. The rainfall hyetograph to design storm for the basin flow has been obtained by determination of total rainfall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at rainfall determined on the basis of Huff's method form historical rainfall data of the basin. The inflows from several subbaisns are successively routed down the network of reaches from the upstream end to the outlet. A simple storage routing technique is used which involves the use of the Manning equation to compute the stage discharge curve for the cross-section in question. To apply the model to a basin, the pattern of impervious areas must be known in detail, as well as the slopes and sizes of all surface and subsurface drains.

  • PDF

Regionalization of Daily Flow Characteristics Using Flow Duration Curve and Spatial Interpolation Algorithm (유황곡선과 공간 내삽 알고리즘을 이용한 일유출량 특성의 지역화)

  • Yun, Yong-Nam;Kim, Jae-Seong;Lee, Dong-Ry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671-679
    • /
    • 2000
  • Regionalization technique using flow duration curve and spatial interpolation algorithm i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stimating daily flow time series at ungauged station. In this study, we assumed a part of 8 gauging stations of Nakdong River basin as ungauged stations. Then, we generated flow duration curves and daily flow hydrographs by regionalization technique at ungauged stations. And we compared generated and observed hydrograph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observed flows were well simulated by the proposed method and that the general patterns of the observed flows were satisfactorily reproduced by the regionalization technique. From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hat we obtain daily flow information without application of labour intensive and time consuming deterministic models, which require complicating quantification of model parameter values. And we compared the regionalization techniques with the specific discharge method which is the most general approach in hydrological practice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gionalization technique was superior to specific discharge method.method.

  • PDF

Parametric Fragility Analysis of Steel Highway Bridges (매개변수를 고려한 강도로교의 취약도분석)

  • Choi, Eunsoo;Choi, Il-Yoon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9a
    • /
    • pp.334-343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스팅베어링의 기존교량과 납-고무베어링(Lead-Rubber Bearing)으로 내진 보강된 교량에 대해서 갭(Gap)의 크기가 교량의 지진 취약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경간 단순교(Multi-Span Simply Supported Bridge)와 다경간 연속교(Muti-Span Continuous Bridge)를 대상으로 취약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갭사이즈를 도입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갭사이즈의 변화가 각 교량의 구성품에 미치는 영향을 확률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합성된 취약도 곡선을 이용하여 최적의 갭사이즈를 확정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9-409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전적비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 면적 8.48km2, 유로연장 5.59km,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의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인근 2개 관측소(동두천 파주)의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그 외 지하수 함양량은 관측 지하수위자료의 결측으로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설마천 유역(전적비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03.6mm이며, 하천유출량은 620.1mm(총강우량 대비 56.2%),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443.0mm(40.1%)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Nakdong-River Basin in 2007 (2007년 낙동강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Kim, Hyeong-Seop;Kim, Sam-Eun;Lee, Gi-Seong;Jeong, Chan-Yong;Song, In-Ryeol;Im, Hyeok-Jin;Min, Gyeong-Hun;Jeong, Yeong-Hun;Hwang, Su-Jin;Lee, Jeong-Seok;Lee, G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64-2269
    • /
    • 2008
  • 귀중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 환경친화적인 수자원의 역할을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필요한 사항은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기초자료로서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량 측정에 필요한 측정기준의 불명확, 예산과 측정장비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재로 인해 그동안 유량자료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최근 유량조사사업단의 설립과 함께 정도 높은 유량자료를 생성하고자 유량측정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이 유량측정과 분석을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등 개선의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강화된 유량측정 기준과 개선된 방법론에 따른 현장측정을 통해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며, 측정된 유량측정성과의 일상 검증을 통해 보다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량자료를 생성하여 이를 평가함으로써 유량측정 전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수계 본류의 주요 9개 대상 지점에 대해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을 개발할 수 있었다.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성하고 상 하류간 비교, 유출률 분석 등을 통해 생성된 유량자료를 검토하였다. 확정된 유량자료는 양질의 수준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Nakdong-River Basin in 2006 (2006년 낙동강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Lee, Ki-Sung;Kim, Ji-Chan;Song, In-Ryeol;Kim, Hyoung-Seop;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08-1813
    • /
    • 2007
  • 하천유량은 수자원계획, 댐개발, 용수공급, 하천수질관리 등에 필요한 수자원 기본자료로서 정확도에 따라 국가 수자원계획이 좌우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7개 지점에 대한 2006년의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2006년도 낙동강 유역의 유량측정 지점 중 낙동강 본류에 해당하는 7개 지점에 대한 현장 유량측정 수행결과와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수리특성 분석, 불확실도 분석 및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에 대한 상 하류 유출 검토, 댐방류량과의 비교, 연유출률 검토, 주요 호우사상별 직접 유출률 검토, 평 저수시 동시유량 검토 등을 통하여 각 지점의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계기수위가 불안정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의 유출률은 그 지점들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의 유출특성을 보였다. 2005년도 유출률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올해 장기간 집중된 강우 특성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유출범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전문인력에 의한 현장 측정과 일상적인 검증과정을 통해서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한다면, 보다 신뢰성있는 유량자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조선공업(造船工業)에서의 신생산관리(新生産管理)씨스템의 탑재공정(搭載工程)

  • Byeong-Nam,Lee;Gwang-Hui,Hong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18 no.2
    • /
    • pp.21-34
    • /
    • 1981
  • 조선공업(造船工業)의 생산관리(生産管理)(planning & production control)에서는 과거의 실적을 참고로 한 예정공수를 그대로 공사량(工事量)으로 간주한 지금까지의 사고방법을 고쳐서 용접장(溶接長) 및 취부장(取付長)등의 생산량(生産量)을 누계곡선(累計曲線)으로 표시하여 공사(工事)의 진척상황을 파악하고, 또 이들의 생산량(生産量)을 기초로 한 공수누계곡선(累計曲線)에 의해서 생산능률을 파악하고 순서(順序)(sequence)를 중(重)히 여겨야 한다. 이와 더불어 조선공업에도 computer가 일반적(一般的)으로 보급됨에 따라 현금까지 기술계산(技術計算)에 주(主)로 사용(使用)하여 오던 것을 계획관리(計劃管理)의 이론적(理論的)인 수단(手段)으로 활용(活用)될 수 있다. 즉(卽), 일수(日數)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동적(動的)이며 확률변수(確率變數)를 포함하지 않은 확정적(確定的)인 최적공정(最適工程)과 최적 실천을 계획(計劃)하며 또한 모든 관계자가 협동(協同)하는 신속한 계획관리(計劃管理)의 매체 system으로써 사용(使用)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든 것이 simulation된 생산관리(生産管理) 사항(事項)을 단지 목적지를 표시하고 길은 임의(任意)로 선택시키는 것이 아니고 목적지(目的地)에 이르는 길을 명확(明確)하게 지정(指定)한 계획지시(計劃指示)가 명령(命令)으로써 현업(現業)이 따르게 하려 함에 목적(目的)을 두고 본 프로젝트를 개발 정착시켰다. 세계제일의 조선국으로 우리나라 조선공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본문을 계속 조선학회지에 게재하고자 한다.

  • PDF

rainfall pattern generation method by johnson distribution (Johnson 분포를 활용한 강우양상 생성 기법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Ahn, Ki-Hong;Lee, Jin-Young;Ryu,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4-148
    • /
    • 2009
  • 지구온난화로 인한 홍수빈도 및 강우강도의 증가로 홍수피해의 규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방재대책도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복구를 주된 정책으로 하던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과학적 공학적 접근을 통해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적극적 홍수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설계빈도의 무조건적인 상향조정에 따른 확정론적인 방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추계학적 방법을 도입한 수문량 확충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에는 설계홍수량을 사용하는데 이는 홍수특성, 홍수발생빈도, 홍수발생 가능성 등을 수공구조물의 규모와 파괴 시 예상되는 피해 정도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성을 함께 고려해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으로 활용된다. 설계홍수량은 지속시간과 재현기간을 사전에 지정하여 빈도분석을 통해 설계강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강우-유출 분석을 함으로써 산정된다. 설계강우량은 빈도분석을 위해 선택된 강우형태에 따른 수문학적 무작위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적 변동을 고려한 적절한 강우양상 형태의 선택은 수문학적으로 안전한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의 경우는 강우형태에 대한 선택이 경험에 의해 임의로 이루어지므로, 토목공학자는 여러 가지 발생 가능한 강우형태에 따른 시간적 분포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uff분위에 따른 무차원 누가 강우곡선을 이용해 강우변동양상 생성을 위한 제약조건을 log-ratio 변환을 이용해 극복하였으며, 결과의 통계 특성치를 Johnson 분포를 통해 표준정규분포로 변환시켰다. 무작위 변수 발생 후 강우양상별 표준정규값의 상관행렬을 이용하여 상관성이 있는 무작위변수로 변환하였다. 얻어진 상관성을 갖는 무작위변수는 log-ratio 역변환을 통해 상관성을 갖는 변수로 재변환해서 무차원화된 강우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