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곡물

Search Result 777,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국제곡물 가격 상승 원인과 2011년 국내물가 파급영향

  • Han, Seok-Ho;Seung, Jun-Ho
    • Monthly Duck's Village
    • /
    • s.92
    • /
    • pp.50-59
    • /
    • 2011
  • 2008년 급등하였던 국제곡물 가격은 209년 들어 하락하여 2010년 상반기까지 안정세를 보였으나, 기상악화로 인한 구소련 지역의 밀 생산 감소로 러시아가 수출 금지 조치를 취하면서 2010년 7월부터 밀 가격 급등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옥수수 국제 가격 상승은 사료비 상승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여 축산 농가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밀과 대두 국제 가격 상승은 이를 원료로 하는 가공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연계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8년의 애그플레이션 경험을 토대로 최근의 국제곡물 가격상승 원인과 2011년 상반기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국제곡물 가격 상승은 생산 감소, 수요 증가, 곡물 선물 투기 증가에서 기인하고 있다. 2010/11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전년보다 2% 감소하고, 소비량은 2.4% 증가하여 곡물 기말재고율은 전년대비 3.1%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바이오연료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세계 곡물 수요 증가는 불가피해 보인다. 곡물 수급이 전년보다 좋지 않은 상황에서 곡물 선물에 대한 투기가 증가하고, 중국과 인도의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곡물 소비 증가도 국제곡물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잇다. 2010년 하반기 국제곡물 가격을 적용하면, 2011년 상반기 국내 물가 상승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상반기 국제곡물 가격을 적용하면, 2011년 상반기 국내 물가 상승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상반기 배합사료는 2010년 6월 시세보다 11.5%, 제분 부문은 31.3%, 유지 및 식용유는 6.6%, 제당 부문은 30.0%의 물가 상승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분 및 당류는 전년 6월대비 10.9%의 물가 상승요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밀, 옥수수, 대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국제곡물 가격이 상승할 경우 국내물가 상승이 불가피한 실정이며, 국내 생산을 늘린다 하더라도 수요량을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향후 국제곡물 가격을 전망하는 관측시스템 개발을 통해 조기경보를 주고, 이에 따른 매뉴얼을 만들어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 차원에서는 세계 곡물 생산량 감소와 수요 증가로 곡물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수입선 다변화 등의 빠른 정책적 대응을 위해 주요 곡물 생산국과의 네트워킹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 PDF

특집_양계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 - 국제곡물가 흐름과 사료비 절감 방안

  • Lee, Yong-Hui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2 no.5
    • /
    • pp.120-124
    • /
    • 2010
  • 전세계에 걸쳐 우리 인간이 직 간접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곡물은 약 20억톤에 달하고 있다. 이 곡물문제가 인간의 생존권의 문제와 직결되는 관계로 세계 각국은 안정적인 곡물확보를 도모하고자 여러 가지 자구책을 강구해오고 있다. 그러나 기사이변과 생산증가를 앞지르는 소비증가로 말미암아 곡물의 수급상황은 항상 불안정해 왔고, 세계 곡물시장은 일부국가에 의해 독과점 되고 있는 실정이다. '07년 말부터 이어진 세계사료곡물의 생산량 및 재고량 감소, 식물성 박류의 수요증가, 해상운임의 급상승으로 이어진 곡물가격의 상승은 국내 배합사료업계는 물론이거니와 양축농가의 극심한 경영악화를 초래하게 만들었다. 다행히 지난 '09년 하반기 이후국제곡물가격 시세가 기상 호전에 따른 작황의 호조, 해상운임(Ocean Freight)의 하락, 생산량 및 재고량 증가전망 등의 여러요인과 맞물려 꾸준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사상 유례없던 고가의 수입곡물과 맞서 싸우던 배합사료 시장 및 축산농가들의 마음을 한시름 놓게 만들었다. 이에 불안정한 국제곡물가격 흐름의 이해를 돕고자, 사료용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옥수수, 소맥, 대두 및 대두박의 품목별 최근 시장동향과 향후 가격전망 등을 살펴보고, 더불어 향후 국내 사료 시장의 중 장기적 과제인 사료비 절감을 통한 축산물 생산비 절감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집중탐구 - 국제곡물가격의 급등 요인 및 평가

  • 한국은행
    • Monthly Duck's Village
    • /
    • s.111
    • /
    • pp.41-48
    • /
    • 2012
  • ◆ 최근 들어 주요 곡물인 옥수수, 소맥, 대두의 국제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2008년 및 2010년경에 발생했던 식량위기(food crisis) 재연에 대한 우려가 확산 ◆ 주요 국제곡물가격 급등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남미, 러시아 등 주요곡물 수출.생산국에서의 극심한 가뭄, 투기자금 유입 확대 등에 주로 기인 ${\cdot}$ 2000년대 들어 곡물수요가 빠르게 증가한 반면 공급은 완만한 증가에 그쳐 타이트한 수급여건이 지속되면서 공급충격이 과거보다 더 큰 폭으로 가격에 전이되는 경향 ◆ 금번의 국제곡물가격 급등 상황을 2000년대 급등기와 비교할 때 가격의 고점이 공급충격 발생과 더불어 계속 높아지고 있는 데다 가격전이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cdot}$ 향후 가격은 가뭄이 해소된다 하더라도 곡물생육 상황이 이미 악화된 점을 고려할 때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가뭄이 지속될 경우에는 추가 상승할 것으로 우려 ◆ 그 동안의 국제곡물가격 급등은 곡물수입국에 파급되면서 곡물관련 제품은 물론 가축사료가격 상승을 통한 육류가격 상승으로 전이될 전망

  • PDF

국제 사료가격 폭등, 그 원인과 대응책은 무엇인가?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v.62 no.8
    • /
    • pp.44-48
    • /
    • 2008
  • 축산농가들이 하반기에도 사료가격이 인상될 조짐이 있다며 사료값 폭등에 따른 축산농가 안정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농협사료가 28일부터 축종별 사료값을 18% 전후로 인상키로 함에 따라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국제 곡물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으며 이러한 고 곡물가 시대가 향후 10년은 유지될 것이라는 황당한 얘기가 여기저기에 나오고 있다. 어쨌든 간에 고 곡물가 시대에 울상을 짓는 곳은 대한민국처럼 사료용 곡물을 전량 수입하다시피 하는 국가일 것이고, 환호성을 지르는 곳은 가격이 폭등한 곡물을 파는 국가일 것이다. 이렇게 천정부지로 치솟는 곡물 가격에 요즘 흔히 하는 말로 '보이지 않는 손'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 PDF

수급불균형 지속으로 사료가격 강세전망-곡물수요 지속증가 반면, 생산량에는 큰 변동 없을것

  • Lee, Jong-Il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0 no.1 s.459
    • /
    • pp.112-116
    • /
    • 2008
  • 국제 곡물가격이 연일 급등세를 보이며 세계 곡물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10년 전인 1996년 엘리뇨 현상에 따른 지구촌의 기상이변으로 곡물파동을 겪은 바 있다. 10년 이상 지난 지금까지 일부 최빈국을 제외한 대다수의 국가가 곡물파동의 아픔을 잊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세계 경제가 미국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경제가 주축을 이루며 경제적인 부, 즉 돈만 있으면 언제든지 쌀독에 쌀을 가득 채울 수 있었기 때문에 먹거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소홀하며 살아온 것 같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돈만 있다고 원하는 만큼 먹거리를 확보하기란 쉽지 않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국제곡물가격은 가히 폭등이라고 할 만큼 큰 폭으로 상승하였는데, 문제는 과거처럼 단순히 기상악화에 따른 작황부진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지구촌 기상이변에 더불어 세계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수급불균형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금년도 세계 곡물산업 현황과 가격변동 흐름을 짚어보고 향후 사료원료를 중심으로 곡물수급 전망을 조명하고자 한다.

  • PDF

기획특집 - 국제곡물 가격동향과 가격변동 요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KAPE Magazine
    • /
    • s.175
    • /
    • pp.4-5
    • /
    • 2011
  • 2010년 하반기 이후 국제 곡물 시장에서는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곡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따른 곡물 수요 증대와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식량 및 사료 수요 증가로 수급 불균형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PDF

국제 곡물시장 분석과 수입방식 개선 방안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KAPE Magazine
    • /
    • s.163
    • /
    • pp.6-7
    • /
    • 2010
  • 국제 곡물의 주요수출국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이다. 실제로는 유통 및 국제 곡물 물류시설을 장악하고 있는 다국적 곡물메이저(4대 메이저: 카길(Cargill), 에이디엠(ADM), 루이스드레피스(Louis Dreyfus, LDC), 벙기(Bunge)에 의한 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

  • PDF

Manufactur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pjang Using Grains Fermented by Basidiomycetes (담자균 발효 곡물을 이용한 즙장의 제조와 관능적 특성)

  • Jung, In-Chan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2 no.3 s.93
    • /
    • pp.337-345
    • /
    • 2006
  • The properties of various grains used for the solid-state cultivation of basidiomycetes were examined. The hydration time with cold water was 10 hours for malt soybean. The required hydration time for Job's tears, barley and wheat was 4, 6 and 12 hours, respectively, but the final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30 to 48 %, which was much less than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for mycelial growth. For the mass cultivation of mycelia, the hydrated grains with cold water were placed in plastic bottles. The mycelial growth ra in e bottled grains was high in the early stage with inoculation of homogenized mycelium. The mycelium activity was maintained by adding sterilized water in the middle of the cultivation period. Jupjang underwent sensory evaluation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basidiomycetes in functional foods. The grains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was the best for Jupjang. The combination of malt soybean and Job's tears was the best for Jupjang. The acceptability of Jupjang was improved during the period of aging time.

Development of power supply using dielectric constant loss (유전체 손실을 이용한 해충구제용 전원개발)

  • Kim Tae-Jin;Baek Ju-Won;Kim Cheul-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07b
    • /
    • pp.898-901
    • /
    • 2004
  • 본 연구에서 물질고유의 특성인 유전체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해충을 포함한 곡물에 7kV이상의 Radio Frequency파(13MHz)를 수초에서 수 십초간 조사함으로써 곡물 내에 저장된 해충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해충을 치사 혹은 이동시켜, 그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곡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해충만을 구제하는 무독성 해충구제방법으로 곡물인 쌀을 보호하면서 곡물 해충인 쌀바구미만을 선택적으로 발열시켜 구제할 수 있는 유전가열 장치를 설계제작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고 실험결과로 이를 검증하였다.

  • PDF

세미나중계 - 2013 세계 기상상황 및 곡물 수급.가격전망 세미나

  • 한국사료협회
    • 사료
    • /
    • s.62
    • /
    • pp.52-53
    • /
    • 2013
  • 한국사료협회와 우리선물이 공동으로 주최한 '2013 세계 기상상황 및 곡물수급 가격전망 세미나'가 지난 4월 11일 본회 대회의실에서 회원사 등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날 세미나는 웨더마켓을 앞둔 곡물시장을 좌우하는 세계 기상전망 정보와 선물(先物) 전문가의 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전망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