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곡면 검사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자유곡면 형상 제품을 위한 CAD 지향의 자동 검사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김영호;정무영;박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330-334
    • /
    • 1992
  • 현재 제품의 보다 향상된 의장성과 기능성을 위해서 정밀한 자유곡면 형상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곡면 형상 제품의 효율적이고 정밀한 설계 및 가공과 함께 제품에 대한 수치 검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유곡면 형상 제품의 예로는 금형, 헬리콥터 프로펠러, 비행기 날개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의 설계 및 가공을 위해서 많은 CAD/CA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수치 검사 분야에서는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제품에 대한 정밀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서, 3차원 좌표측정기을 포함한 컴퓨터의 구동의 수치 검사 장비가 개발되고, 그러한 장비를 이용한 CAI 시스템사용이 다양한 분야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유곡면을 위한 CAD지향 측정시스템

  • 박희재;김영호;홍예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309-317
    • /
    • 1992
  • 현재 3차원 좌표측정기(Coordinate Measuring Machine:CMM)는 기계가공품의 수치검사(Dimensional inspection)에 널리 사용된다. 검사과정의 자동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CMM을 이용한 컴퓨터통합검사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자유곡면 형상에 대해 CAD지향의 검사개념을 사용하여 CMM을 이용 자동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측정한 자유곡면에 대한 형상오차를 분석하는 부분을 다룬다.

  • PDF

Corner Inspection of Autoclave-cured L-shaped Composite Structure using Pulse-echo Rotation Scanning Scheme based on Laser Ultrasonic (레이저 초음파 기반 반사식 회전 검사 기법을 이용한 오토클레이브 가공 L 형 복합재 구조물의 모서리 검사)

  • Lee, Young-Jun;Lee, Jung-Ryul;Hong, Sung-Jin
    • Composites Research
    • /
    • v.31 no.5
    • /
    • pp.246-250
    • /
    • 2018
  • In this paper, laser ultrasonic rotation scanning method was proposed to inspect and visualize defects in corner section of curved composite structure. L-shaped composite specimen with defects in its corner section were inspected using laser ultrasonic rotation scanning method. L-shaped specimens had artificial defects at three different depths to simulate delamination damage. All artificial defects were detected clearly in different time-of-flight according to their depths. Inspection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to inspect round corner section of curved composite structure without any special tools.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for Welded Steel Pipes (강관 용접부의 초음파 비파괴검사)

  • Shin, Byoung-Chul;Kim, Il-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 no.4
    • /
    • pp.172-176
    • /
    • 1998
  • 강관 등과 같이 곡면을 이루는 구조물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인공 결함을 만들어 초음파 비파괴검사를 행하고, 곡면의 표면 거리($Y_s$)를 계산하여 실측한 참값($Y_T$)과 비교해 보았다. 제안된 방법으로 계산한 값이 참값에 대하여 1%이하의 오차 범위에 들어오므로 강관 용접부의 내부 결함 검사에 응용될 수 있다.

  • PDF

Machined Surface Inspection Based on Surface Fairing on the Machine Tool (곡면평활화를 고려한 공작기계상에서의 가공곡면 검사)

  • Lee, Se-Bok;Kim, Gyeong-Don;Jeong, Seong-J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4 no.4 s.175
    • /
    • pp.937-945
    • /
    • 2000
  • The assessment of machined surface is difficult because the freeform surface must be evaluated by surface fairness as well as dimensional accuracy. In this study, the machined freeform surface is modeled by interpolating the data measured on the machine tool into the mathematical continuous surface, and then the surface model is improved with the parameterization to minimize surface fairness. The accuracy reliability of the measured data is confirmed through compensation of volumetric errors of the machine tool and of probing errors. Non-uniform B-spline surface interpolation method is adopted to guarantee the continuity of surface model. Surface fairness is evalua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normal curvature on the interpolated surface.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examin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on the machine tool.

Sweep-based Free-Form Deformation (스윕기반 자유형상변형)

  • Yoon, Seung-Hyun;Kim, M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2
    • /
    • pp.40-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윕곡면(sweep surface)을 기반으로 복잡한 3차원 물체의 형상을 변형하는 새로운 자유형상 변형(free-form deformation)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기존의 격자점(control lattices)을 조정하는 체적기반의 방법에 비해 스윕기반의 절차적 (procedural) 모델링 기법의 직관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형상변형 기법을 제공한다. 3차원 물체의 정점들은 스윕곡면의 단면(cross-section)에 바인딩(binding) 되어 곡면의 변화에 따라 형상변형을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스윕기반 형상변형 기법은 3차원 물체를 부분적으로 변형하는 기법과 계층구조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형상을 변형하는 기법으로 구분된다. 부분적인 형상변형 기법은 스윕곡면을 구성하는 성분의 다단계(multi-level) 표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중해상도(multi-resolution) 형상변형 기능을 제공한다. 계층구조에 기반한 형상변형 기법은 복잡한 3차원 물체를 위상구조에 따라 여러 계층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의 형상을 근사하는 스윕곡면들을 생성한다. 분할된 각 부분의 정점(vertices)들은 해당 스윕곡면에 바인딩 되어 스윕곡면의 단면의 변화를 따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스윕곡면들은 3차원 물체의 계층구조에 따라서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3차원 물체의 각부분은 상호반응적 형상변형을 한다. 이러한 계층구조에 기반한 상호반응적 형상변형 기법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보다 사실적이고 기능적인 형상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3차원 물체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결과 막성 사구체병증과 같은 신질환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신조직검사의 적응증에 합당한 경우 적극적인 신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원인 질환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남아가 75명으로 남녀비는 3.6:1을 보였다. 임상병리학적 분류상 일차성 신증후군이 89명(92.7%), 이차성 신증후군이 7명(7.3%)이었으며 일차성 신증후군에서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이 71명으로 79.8%,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11.2%, mesangial proliferation 4.5%, membranoprolifrative glomeulonephritis 3.4%, membranous nephropathy 1명 1.1%이었으며 2차성 신증후군은 $Henoch-Sch\"{o}nlein$ nephritis가 3례로 가장 많았다. 미세변화 신증후군 71명 중 비재발군이 16명으로 22.5%, 비빈발 재발군 49.3%, 빈발 재발군 18.3%, 스테로이드 의존군 9.9%를 보였다. 결론 : 대전시에서의 신증후군 환아의 발생빈도는 15세이하 소아 10만명당 약 5명으로 추정되었으며 10여 년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 PDF

System Synthesis for On-the-Machine Measuring and Inspection of Freeform Surfaces (자유곡면의 온더머신 측정 및 검사를 위한 시스템 설계)

  • 남우선;정성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12
    • /
    • pp.81-88
    • /
    • 1998
  • Measurement and inspection of freeform surfaces are required in reverse design processes. In the case of surface measurement using a touch probe, probe radius compensation affects measuring accuracy. But current industrial practice depends upon an operator's experience to compensate for probe radius. In this paper, an on-the-machine measuring and inspection system for freeform surfaces is studied. Probe radius compensation methodology is investigated by modeling of B-spline surfaces based on digitized data.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is verified through various kinds of numerical simulations and on-the-machine experi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