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효율LED

Search Result 28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operating circuits for high power LED bulb (고출력 LED 전구의 구동회로에 관한 연구)

  • Song, Sang-Bin;Kim, Young-Woo;Yeo, In-S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661-1662
    • /
    • 2006
  • 고출력 LED의 전기적 광학적 열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MCPCB를 사용하지 않고 전구 형태의 좁은 면적에 고출력 1W LED를 배열하고, 적외선 카메라와 ICEPAK(열유동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4개의 LED 배열에 대한 LED 전구의 최적방열 및 기구 설계를 실시하였다. LED 전구에 대한 정전압과 정전류 제어방식의 고효율 구동회로를 제작하여, 약 70% 이상의 회로 효율과 약 95% 이상의 고역률, 약 20lm/W 이상의 고효율 LED 전구를 실현하였다. 정전압 구동회로는 동작시간에 무관하게 일정한 광출력을 나타내며, 정전류 구동회로는 초기 시동시 높은 광출력을 나타내고 동작시간의 경과에 따라 광출력 감소율이 높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

LC 병렬공진을 이용한 초장수명 고효율 수동형 LED 구동회로 개발

  • Lee, Eun-Su;Choe, Bo-Hwan;Kim, Bong-Cheol;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5-156
    • /
    • 2012
  • 본 논문은 역률과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동형 LED 구동회로를 제시한다. 제안된 수동형 LED 구동회로는 능동형(SMPS 방식) LED 구동회로에 비하여 초장수명과 고효율 특성을 가진다. 특히 능동형 LED 구동회로 내부의 능동소자(스윗칭 소자)로 인한 짧은 수명 및 효율 감소를 수동소자만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역률은 0.98, 입력전류의 총 고조파 왜율은 16%, LED 드라이버의 효율은 95%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수동형 LED 구동회로의 설계 과정을 소개하며, 이론과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The Operating System of High-power LED module with Back-Boost Mode (Back-Boost 방식 고출력 LED 구동시스템)

  • Chung, Ji-Hyun;Song, Sung-Geun;Park, Sung-Jun;Chang, Young-Hak;Moon, Chae-J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3
    • /
    • pp.201-208
    • /
    • 2006
  • An alternative to the nuclear and fossil fuel power is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hydro, wind, solar and ocean), and the research about the highest efficiency machinery have been processed. The high-power LED is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those. In this paper, a high efficiency lighting system using a battery charged with solar or wind power is proposed for a high power LED. And a new efficient converter called 'Back-boost' is proposed. The validity of the lighting system scheme is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a laboratory prototype.

The operating system of a new high-power LED module with back-boost mode (Back-Boost 방식에 의한 새로운 고출력 LED 구동시스템)

  • Chung, J.H.;Lim, J.M.;Yang, S.C.;Song, S.G.;Park, S.J.;Moon, C.J.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17-122
    • /
    • 2005
  •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광원보다 효율이 좋은 광원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 것이 고출력(high-power) LED이다. 고효율 LED의 개발로 인해 일부에서는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야간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명용 광원으로 직류 전원을 이용한 고출력 LED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며 기존 방식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이 좋은 새로운 LED 전원구동장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 리액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으며 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청.녹색 발광다이오드의 전기광학적 성능 분석 기술

  • Sim, Jong-In;Kim, Hye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50-50
    • /
    • 2010
  • 최근 InGaN 양자우물구조에 기초한 청색, 녹색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LED)는 장수명, 고효율, 친환경이라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가시광 LED들이 고휘도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되기 위하여서는 많은 효율향상이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LED의 성능을 나타내는 각종 효율들을 상호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LED 효율을 상호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기술들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대부분은 실험적으로 찾아 가는 경험론걱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는 LED의 각종 효율들을 상온에서 상호 분리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분리 측정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가시광 LED의 각종 효율들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소개한다. LED의 효율은 주입된 전자 가운데 몇%가 광자로 변환되는가를 나타내는 내부양자효율(IQE)과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자 가운데 몇 %가 LED chip 외부로 나오는 가를 나타내는 광추출효율(LEE)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IQE는 주로 결정성장상태에 의하여, LEE는 주로 소자구조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한편 LED의 광출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서는 LED 췹내에서의 전류 분포 및 전계분포를 매우 균일 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제작된 LED에서는 공간적인 비대칭으로 인하여 전류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흐르는 현상, 즉 전류집중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표에서는 IQE와 LEE를 순수 실험적으로 분리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전류집중현상을 측정하고 제어 할 수 있는 방법등을 소개한다.

  • PDF

Study on Voltage Limiting AC input LED Driver (전압제한 AC입력 LED 드라이버에 관한 연구)

  • Kim, Lang-Ki;Do, Hyun-Lar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98-599
    • /
    • 2012
  • 본 논문은 전압제한 고효율 AC입력 LED 드라이버에 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과 고효율 LED 조명이 일반화 되면서 고효율, 장수명,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LED를 구동하기 위해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하는 경우 역률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역률 개선부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전해커패시터 역시 사용되어야 한다. 이 방식은 가격의 상승과 전해커패시터 사용에 의해 수명 저하라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수명 저하를 일으키는 전해커패시터와 별도의 역률 개선부 없이 LED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LED 드라이버 회로를 제안하고 이를 실험으로 검증한다.

  • PDF

Development of High power LED module for Channel letter (Channel letter용 High Power LED Module 개발)

  • Kim, Jin-Hong;Song, Sang-Bin;Kim, G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95-100
    • /
    • 2007
  • Channel letter용 High Power LED Module 개발하기 위하여, 1W 백색(단색) LED 1EA LED Module과 1W 백색(단색) LED 3EA LED Module, 3W RGB LED 1EA LED Module에 대한 3종의 제품 개발하고, 고효율 RGB LED SMPS 회로 설계, 광색 가변을 위한 RGB LED 최적 배치 및 렌즈 설계, 고출력 1W LED Module 방열 설계 및 기구 개발, SMPS 회로 및 RGB LED 배열 회로 통합 시제품 직접 제작하였다, 신뢰성 평가 및 성능 시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T자형 Channel letter에 기존 고휘도 LED Module과 개발된 고출력 LED Nodule을 동시에 적용한 결과, 기존 고휘도 LED Module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1W{\times}10$개로 10W의 전력을 소비하였으나 개발된 고출력 LED Nodule은 $3W{\times}3$개로 9W의 전력을 소비하였으며 1W의 에너지가 절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휘도는 약 2.5배, 균제도는 1.43 배가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Special Column: 친환경 고효율 LED 조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한다

  • Baek, Yeong-Ho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5
    • /
    • pp.26-29
    • /
    • 2010
  • '친환경과 에너지절약, 기후변화 대응'은 사회전반적인 변화와 함께 조명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가파르게 변화하고 있는 인공광원은 바야흐로 백열등과 형광등의 시대가 가고, LED와 OLED 등 반도체 조명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것. 전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LED 조명 기술. 발전의 중심에는 '친환경 고효율'이 있다.

  • PDF

High-Efficiency & High-Power LED Driver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가시광 통신을 위한 고효율.대용량 LED 드라이버)

  • Cho, Sang-Ho;Kim, Jin-Ho;Jang, Byung-Jun;Roh, Chung-Wook;Hong, Sung-Soo;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430-4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통신을 위한 고효율 대용량 LED 드라이버를 제안한다. 기존 가시광 통신을 위한 LED 드라이버는 LED의 선형 구동방식으로 인한 전력 손실 및 발열이 매우 심각하여 대용량의 조명용 LED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뒤따랐다. 하지만 제안 회로는 LED의 스위칭 방식 구동을 통해 전력 변환 효율 및 발열이 크게 개선되어 대용량의 조명용 LED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 저하 없이 최대 10Mbps의 높은 데이터 전송 성능을 가지는 부가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안회로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하여 고찰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Design of Drawing Conformity Inspection System Based on Vision Recognition (열전발전을 활용한 에너지절감형 LED 조명 설계)

  • Kim, Myeong-Ho;Jeon, Jae-Hwan;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854-855
    • /
    • 2013
  • 최근 국내 전력공급 문제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절감형 기술과 제품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 기준 전체 전력 소비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조명분야에서는 기존 조명을 대체할 친환경, 고효율 LED 조명에 대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LED 조명은 원리의 특성상 광효율과 비례하여 LED 접합부 온도가 상승하며 이는 광효율과 수명을 저하시킨다. 이에 다양한 방열기술이 LED 조명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LED 모듈 접합부의 발열을 열전소자를 활용하여 열전발전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고, 열회수를 통한 방열효과를 제공 하는 LED 조명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