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형분량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화학혼화제 고형분량 변동이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Concrete Quality of Residue Content Change of Chemical Admixtures)

  • 김진철;유혁진;김홍삼;정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457-463
    • /
    • 2014
  • 이 연구는 화학혼화제 인수검사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형분량 변동이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재 한국도로공사의 잠정기준으로 운용 중인 ASTM C 494 기반의 고형분량 변동범위 ${\pm}12%$는 혼화제의 종류 및 고형분량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혼화제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고형분량 변동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 변동을 평가한 결과 리그닌은 감수율이 낮은 관계로 고형분량의 변동범위가 큰 반면 나프탈렌계 및 폴리칼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높은 감수율로 인하여 인수검사 기준으로 활용 중인 고형분량의 차이에 대한 허용범위 재조정이 요구되었다.

동기우군의 정의에 따른 유량, 유성분, 체세포 점수간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mong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Somatic Cell Scores by Definition of Contemporary Group)

  • 정운영;조광현;최태정;최재관;최호성;조주현;최연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13-121
    • /
    • 2012
  •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수집된 150,624개의 국내 젖소 산유능력 검정자료를 사용하여 두 가지 동기우 그룹 정의에 따른 산차, 체세포 점수가 305일로 보정된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량, 무지고형분량에 미치는 효과와, 유량 및 유성분 간 상관관계에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첫 번째 동기우 그룹은 동일농장과 출생년도, 계절로 정의하였고, 두 번째는 농장과 분만년도, 계절을 동기우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동기우 그룹을 출생년도로 구성하였을 때 동기우 그룹과 산차 및 체세포 점수가 유량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무지고형분량, 유지방량에 대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동기우 그룹을 분만년도로 하였을 때에도 유량에 대한 체세포점수 및 산차 효과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유지방과 무지고형분량에 대해서도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에서 생산형질간 표현형상관을 본 결과 유량과 유단백량, 유지방, 무지고형분량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나타났으나, 유량과 체세포 점수 간에는 -0.09의 상관을 나타냈다. 분만년도를 동기우 그룹으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표현형상관을 보면 유량과 유단백질 및 유지방간에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과 거의 비슷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유량과 체세포간에는 -0.10, 유단백질, 유지방, 무지고형분량과 체세포간에는 각각 -0.08, -0.08, -0.11의 상관을 보였다.

회수수 안정화제 종류 및 고형분량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and Solid Content)

  • 김기정;김광화;이문환;이세현;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 발표회
    • /
    • pp.113-117
    • /
    • 2003
  • In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various properties of concrete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of recycling water and solid content in order to suggest a practical use of recycling water. According to the results, fluidity and air content varies slightly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and solid content, but does not make a big difference. Setting time does not differ remarkably from plain concrete at 20℃, but is shortened with an increase of solid content. Bleeding is reduced more largely in the case of S than in the case of R, and is not influenced by solid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is equal or decreases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at solid content of I and 50%, and shows the highest value at solid content of 3%. Length change by drying shrinkage is larger than plain concrete at solid content of 5%, and decreases at solid content of I and 3%.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influence of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is minute, and solid content is most effective at 3%.

  • PDF

회수수 안정화제 종류 및 고형분량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and Solid Content)

  • 김기정;김광화;이문환;이세현;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13-117
    • /
    • 2003
  • In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various properties of concrete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of recycling water and solid content in order to suggest a practical use of recycling water According to the results. fluidity and air content varies slightly with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and solid content, but does not make a big difference. Setting time does not differ remarkably from plain concrete at 2$0^{\circ}C$, but is shortened with an increase of solid content. Bleeding is reduced more largely in the case of S than in the case of R, and is not influenced by solid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is equal or decreases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at solid content of 1 and 5%, and shows the highest value at solid content of 3%. Length change by drying shrinkage is larger than plain concrete at solid content of 5%, and decreases at solid content of 1 and 3%.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influence of the kinds of stabilizing agent is minute, and solid content is most effective at 3%.

  • PDF

다자비교시험을 통한 화학혼화제 고형분량 시험법의 신뢰성 및 FT-IR 분석에 대한 효용성 평가 (A Round Robin Study of Solid Content Test and Applicability Estimation of FT-IR Analysis for Chemical Admixtures)

  • 김진철;유혁진;김홍삼;박고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695-703
    • /
    • 2015
  •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의 인수검사 시험법에 대한 국내외 기준을 살펴보고, 한국도로공사에서 활용 중인 고형분량을 대상으로 다자비교시험에 의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시험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FT-IR을 활용하여 다성분 조성 화학혼화제의 기기분석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시험결과의 이상치를 검정하는 Cochran, Grubbs 및 Dickson의 Q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KS A ISO 5725-2의 절차에 따른 재현표준편차 및 반복표준편차는 각각 0.25 및 0.09%으로 나타나 시험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혼화제 시료상태에 따라 FT-IR 특성피크가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건조시료에 의한 관리가 필요하였으나, 2종 이상 원료가 포함된 다성분 혼화제의 FT-IR 특성피크는 큰 차이가 없어 기기분석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가열 전처리 조건이 상황버섯 차의 추출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eating Conditions on Extraction Yield of Phelinus linteus Tea)

  • 박민경;김철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53-6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상재배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상황버섯을 차로 개발하기 위하여 용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열 전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 건조한 상황버섯을 건조오븐과 hot plate에서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가열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일정량을 티백에 넣어 열수 추출하고 용출성 변화를 흡광도, 건조 고형분 함량, 색도 등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건조오븐에서 가열할 경우, $70^{\circ}C{\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hot plate를 이용할 경우, 건조오븐에서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증가폭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90^{\circ}C$에서 2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상황버섯 차의 색도변화는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상승하였으며 건조오븐에서의 가열 전 처리가 hotplate에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먼저 나타난다.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가열 전 처리한 시료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70^{\circ}C$$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상황버섯 차가 가열처리 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70{\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하는 것이 상황버섯 차의 용출성 증대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탁도를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 차가 보리차 및 옥수수차와 비교하여 보존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표면 분석을 통한 비파엽 첨가 쌀음료의 비파엽 첨가량의 결정 (The Optimal Addition Level of Loquat Leaf Extract in the Rice Beverages)

  • 김일곤;김기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6-233
    • /
    • 2013
  • 비파엽을 첨가한 쌀음료의 개발에 있어서 과당, 크림, 그리고 비파엽 물 추출물의 농도는 최종 관능적인 맛과 기호도 모두에 유의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으며, 비파엽 물 추출물 자체의 쓴맛과 이미를 감소시키는 주요한 첨가물은 과당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그러나 비파엽을 첨가한 쌀음료는 대조구로 사용된 상용 쌀음료를 5점으로 하였을 때 반응 표면 분석의 결과로 예측된 최고 점수가 5점이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을 보인다. 통계적 분석 방법의 결과인 Table 2의 전체 기호도 5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비파엽 추출물의 첨가량에 대한 과당의 첨가량의 상관 관계를 유의성이 떨어지는 항목을 배제하여 회귀식을 단순화하여 과당과 비파엽 추출물만의 식으로 나타내고, 이를 근거로 하여 과당과 비파엽이 기준시료 총 기호도의 5점에 해당하는 수준을 도달하기 위한 상호간의 관계식을 구하였다. 그 결과 과당 첨가량 = 0.618 ${\times}$(비파엽 추출물 Brix 18 고형분량)$^2$ + 0.406 ${\times}$ (비파엽 추출물 Brix 18 고형분량)으로 계산되었다. 결론적으로 비파엽 추출물의 쓴맛을 감소하는 효과는 크림이 있으나 선호도는 과당의 첨가량이 비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음료의 기호도에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레올로지 정수를 이용하여 21, 24MPa급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경계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Research on Determining Segregation Boundary using Rheological Parameters for 21 and 24MPa grade of Normal Strength Concrete)

  • 이유정;이영준;한동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99-40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유동 콘크리트 제조를 위해 기존의 재료분리 판정법과 레올로지 정수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재료분리 상황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중유동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범위의 비교적 높은 물시멘트비 조건에서 높은 유동성을 발현하는 조건으로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면서 재료분리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조건에서는 고형분량이 다른 두 가지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여 일반강도 콘크리트 배합의 유동성을 증진시키면서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범위의 유동특성과 레올로지 정수의 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 기존의 레올로지를 이용한 유동성 측정연구는 고유동성을 확보한 조건에서 측정되어야 했기 때문에 재료분리가 발생하는 조건은 측정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태의 콘크리트 배합조건에서 기존의 재료분리 판정법이나 관찰에 의한 방법으로는 아직 재료분리에 이르르지 않았다고 판단되더라도 레올로지 측정 정수인 소성점도와 정적 항복응력 측정값에서 이상측정값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콘크리트에 있어서 재료분리가 발생하는 조건을 레올로지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치커리추출물 첨가가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 및 정상성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hicory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 이정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95-1303
    • /
    • 1997
  • 본 연구는 치커리추출물 첨가가 in vitro에서 전분가수분해율 및 정상성인에서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고형분량으로 계산된 5% (w/w)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전분용액에 각각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15, 30, 60, 90, 120분에 각각 유리된 당을 측정하여 전분가수분해율 및 전분가수분해지수를 구하였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는 고형분량으로 계산된 2.5, 5, 10및 20% (w/w)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각각 포도당용액(60 g/300 mL)에 첨가하여 섭취시킨 다음 공복시 혈당 및 실험용액 섭취후 15, 30, 60, 90, 120, 150분에 각각 혈당을 측정하고 혈당반응 면적 및 혈당지수를 구하였다. 본 실험결과, 전분에 5%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 첨가는 2시간 동안의 전분가수분해율, 가수분해면적 및 가수분해지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p<0.05), 건조치커리군과 볶은치커리군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포도당 용액에 2.5, 5, 10, 20% 건조치커리 및 볶은치커리추출물을 첨가했을때 모든 실험군에서 혈당곡선면적 및 최고혈당값은 낮아졌으며 최고혈당값을 나타내는 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포도당 섭취시와 비교하여 모든 건조치커리군과 5, 10 및 20% 볶은치커리군의 혈당지수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5), 특히 5 및 10% 건조치커리군의 혈당지수는 36%씩 감소되었고 20% 볶은치커리군의 경우 39% 감소되었다. In vitro 및 in vivo 실험결과로 볼때 치커리추출물첨가는 식후 혈당증가를 낮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볶음보리의 색도(色度)및 가용성고형분함량(可溶性固形分含量)과 볶음조건(條件)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ad Barley)

  • 서정식;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39
    • /
    • 1981
  • 보리차제조(製造)에 있어서 볶음공정(工程)을 확립(確立)하고자 볶음온도(溫度)와 시간(時間)을 달리한 조건(條件)에서 얻은 보리차에 대하여 외관색도(外觀色度), 추출갈변색소(抽出褐變色素) 및 수용성(水溶性) 고형분량(固形分量)을 분석(分析)하고 이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외관색도(外觀色度)를 명도단위(明度單位) Y값으로 표현(表現)할 때 볶은 통보리의 Y값과 이를 분쇄(粉碎)한 분말(粉末)의 Y값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0.957{\sim}0.994%$에 달(達)하여 표면(表面)의 Y값의 측정(測定)으로 내부(內部)의 색(色)을 예측(豫測) 및 대변(代辯)할 수 있었다. 보리의 볶음정도(程度)는 볶음에 사용된 열량(熱量)의 합계 보다는 볶음 온도(溫度)에 의하여 크게 좌우(左右)되었다. 볶음보리의 수용성(水溶性) 성분(成分)의 함량(含量)은 $232^{\circ}C$에서 25분(分)간(間)의 볶음에서 최대(最大)값을 보였으며 그 함량(含量)은 68%이었다. 볶음통보리의 Y값과 볶음 온도(溫度), 갈변색소(褐變色素) 및 가용성(佳容性) 고형분(固形分)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이용하여 볶음정도(程度)를 판정(判定)하고 볶음공정(工程)을 조절(調節)하는 기준(基準)으로 활용(活用)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