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해상도 DEM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Accuracy Estimation by Number of Control Points in High Resolution Images (고해상도 영상에서 기준점 개수에 따른 정확도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Hyun;Kim, Gihong;Park, Hong-G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21 no.6
    • /
    • pp.309-316
    • /
    • 2018
  •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provided by Kompsat-3A, a multipurpose satellite,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map generation, 3D image generation, and DEM generation. In order to utiliz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e user must create an orthoimage in order to use the image in a suitable manner.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ground reference points affect the accuracy of the orthoimage. In particular, the Kompsat-3A satellite image has a high resolution of about 0.5m, so the difficulty in selecting the ground control points and the accuracy of the selected point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ubsequent applicat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ground reference points on the accuracy of the terrestrial satellite images.

Urban Area Building Reconstruction Using High Resolution SAR Image (고해상도 SAR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 건물 재구성)

  • Kang, Ah-Reum;Lee, Seung-Kuk;Kim, Sang-W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9 no.4
    • /
    • pp.361-373
    • /
    • 2013
  • The monitoring of urban area, target detection and building reconstruction have been actively studied and investigated since high resolution X-band SAR images could be acquired by airborne and/or satellite SAR systems. This paper describes an efficient approach to reconstruct artificial structures (e.g. apartment, building and house) in urban area using high resolution X-band SAR images. Building footprint was first extracted from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and then a corner line of building was detected by an automatic detecting algorithm. With SAR amplitude images, an initial building height was calculated by the length of layover estimated using KS-test (Kolmogorov-Smirnov test) from the corner line. The interferometric SAR phases were simulated depending on SAR geometry and changable building heights ranging from -10 m to +10 m of the initial building height. With an interferogram from real SAR data set,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method of the phase consistency. One of results can be finally defined as the reconstructed building height. The developed algorithm was applied to repeat-pass TerraSAR-X spotlight mode data set over an apartment complex in Daejeon city, Korea. The final building heights were validated against reference heights extracted from LiDAR DSM, with an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about 1~2m.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단기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연구)

  • Shin, Dae Seob;Seo, Jong Cheo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283-296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ort-term changes of beach and dune morphology at Hwajin beach, Korea using by terrestrial LIDAR. Based on ArcInfo as point cloud obtained through precise analyzing studying area twice (1st : Sep 1. 2010, 2nd : Oct 2nd. 2010) by terrestrial LIDAR, alteration of beach and dune was analyzed at DEM, of which cell size is about 10cm. Consequently, during the studying period, coastlines at studying area moved backward and reduced the area of coastal zone. In a section change, the north beach moved backward with more eroded beach face and the middle section of south beach moved forward with more deposited beach face. Considering all the section changes of beach at studying area, beach section during the 1st measurement period can be defined as a summer profile, and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temporary storm profile was formed by the strong wave created during studying peri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lteration of beach area by terrestrial LIDAR, alteration of narrow area was able to be analyzed in detail by class of 'centimeter' and the time was able to be shorten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hypothetic sewer network generation technique for urban inundation simulation (도시침수 모의를 위한 가상관망 생성 기술 개발 및 적용성 평가)

  • Seung S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0-340
    • /
    • 2023
  • 최근 전 세계가 극단적 집중호우로 인한 대규모 홍수로 인해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그 특성상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도시유역 침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는 대상 유역의 현재 대비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 증설 효과 파악, 빗물저류조의 침수저감 효과 분석, 빗물배수펌프장의 적정용량 파악 등에 매우 효율적이다. 정확도 높은 도시침수 해석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DEM 또는 DSM 지형자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도 및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망(하수관로, 맨홀, 배수펌프장 등) 자료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저개발 국가나 미계측유역의 경우에는 신뢰도 높은 하수관망 자료를 얻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해 도시침수 해석이 곤란한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형태로 제공되는 Open Street Map(OSM)의 도로망 정보를 이용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서울시 사당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해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하수관망 자료의 획득이 곤란한 지역의 도시침수 예측이나 효과적인 하수관망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vergence of Remote Sensing and Digital Geospatial Information for Monitoring Unmeasured Reservoirs (미계측 저수지 수체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및 디지털 공간정보 융합)

  • Hee-Jin Lee;Chanyang Sur;Jeongho Cho;Won-Ho Na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4
    • /
    • pp.1135-1144
    • /
    • 2023
  •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in South Korea, constructed before 1970, have become aging facilities. The majority of small-scale reservoirs lack measurement systems to ascertain basic specifications and water levels, classifying them as unmeasured reservoirs. Furthermore, continuous sedimentation within the reservoirs and industrial development-induced water quality deterioration lead to reduced water supply capacity and changes in reservoir morphology. This study utiliz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s, which provide elevation information and allow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urface features, to construct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l (D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ata of reservoir facilities. Additionally, bathymetric measurements based on multibeam echosounders were conducted to propose an updated approach for determining reservoir capacity. Drone-based LiDAR was employed to generate DSM and DEM data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50 cm, enabling the display of elevations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embankments, spillways, and intake channels. Furthermore, using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er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were calculated to detect water bodies and verify differences from existing reservoir boundaries. The constructed high-resolution DEM data were integrated with bathymetric measurements to create underwater contour maps, which were used to generate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The TIN was utilized to calculate the inundation area and volume of the reservoir, yielding results highly consistent with basic specifications. Considering areas that were not surveyed due to underwater veget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data will be valuable for future updates of reservoir capacity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Navigation Parameter Extraction from the Aerial Image Sequence Using TMS320C80 MVP (TMS320C80 MVP 상에서의 연속항공영상으리 이용한 통합 항법 변수 추출 시스템 구현)

  • Sin, Sang-Yun;Park, In-Jun;Lee, Yeong-Sam;Lee, Min-Gyu;Kim, Gwan-Seok;Jeong, Dong-Uk;Kim, In-Cheol;Park, Rae-Hong;Lee, Sang-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9 no.3
    • /
    • pp.49-57
    • /
    • 2002
  • In this paper, we deal with a real tim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image-based navigation parameter extraction system using the TMS320C80 MVP(multimedia video processor). Our system consists of relative position estimation and absolute position compensation,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high-resolution aerial image matching, DEM(Digital elevation model) matching, and IRS (Indian remote sensing) satellite image matching. Those algorithms are implemented in real time using the MVP. To achieve a real-time operation, an attempt is made to partition the aerial image and process the partitioned images in parallel using the four parallel processors in the MVP. We als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integrated system in terms of the estimation accuracy, confirming a proper operation of the our system.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ㆍ지물의 경계추출

  • 박운용;차성렬;이동락;김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33-437
    • /
    • 2003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 및 정사영상을 제작해서 수치지도의 갱신 및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추출을 행한 후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벡터자료와 기존수치지도와의 중첩을 통해서 건물, 도로, 임야의 평균위치오차를 분석해 보았다. 평균위치오차가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대한 1 : 5,000 수치지도 제작의 허용오차범위에는 들지 못하였지만, 특정 부분의 지형·지물의 경우에는 수정, 보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악지역 보다는 도심지에서의 경계추출이 뚜렷하기 때문에 위치정밀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f the Plan regarding DSM Generation for Production of Orthophoto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정밀 DSM 생성 방안)

  • Lee, Hyun-Jik;Ru, Ji-Ho;Yoo, Kang-Mi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69-374
    • /
    • 2007
  • 최근 사진측량기술과 IT의 발달로 인해 고품질의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면서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의 제작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사영상은 DEM을 이용하여 편위수정이 수행하기 때문에 건물, 교량과 같은 비고를 가지고 있는 인공지형지물에 대한 기복변위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기복변위를 제거한 실감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수치사진 측량기법과 LiDAR데이터를 이용한 네가지 실험 CASE별로 DSM을 생성하였고, 각 DSM별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여, 실감정사영상제작에 적합한 DSM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lash Flood Guidance(FFG) on Han River Basin (한강유역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FFG) 개발)

  • Bae Deg-Hyo;Kim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4-1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유역의 토양수분 상태, 한계유출량(threshold runoff) 및 단기 기상예보 자료 등으로부터 돌발홍수능(Flash Flood Guidance, FFG)을 계산할 수 있는 실시간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DEM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 소유역을 구분하고 하도단면 특성을 고려한 제방 월류 유량 개념을 기초로 고해상도 소유역 단위의 한계유출량을 산정하고, 중규모 TOPMODEL의 토양수분 모델을 통해 임의 상태의 토양수분을 추정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FFG 시스템의 기상학적 구성요소 개발을 위해 레이더 강우 추정을 편차보정 기법을 통해 계산하였다. 상술된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2003년 7월의 호우사상에 대한 유역 및 격자기반의 FFG를 산정하였고, 이들 결과는 기상청의 RDAF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단기 수치예보 자료의 지속시간별 예측강수량을 활용하여 돌발홍수 발생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Korea Flash Flood Guidance(KoFFG) System (한국형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KoFFG) 개발)

  • Bae, Deg-Hyo;Kim, Jin-Hoon;Cho, Che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21-22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계유출량(threshold runoff), 특정 유역의 토양수분 상태 및 단기 기상예보 자료 등으로부터 한강유역의 돌발홍수능(Flash Flood Guidance, FFG)을 계산할 수 있는 한국형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한강유역의 DEM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 소유역을 구분하고 하도단면 특성을 고려한 제방 월류유량 개념을 기초로 고해상도 미세 소유역 단위의 지속시간별 한계유출량을 산정하였고, Sacramento 토양수분 모델을 통해 임의 시간의 토양수분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는 돌발홍수 모델의 수문학적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FFG 시스템의 기상학적 구성요소로 레이더 강우 추정을 추계 동역학적 편차보정 기법을 통해 계산하였다. 상술된 수문 및 기상학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2003년 7월 및 2004년 8월의 호우사상에 대한 유역기반의 FFG를 산정하였고, 기상청의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단기 수치예보 자료의 지속시간별 예측강수량을 활용하여 돌발홍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