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추 수확기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olerance of Rice, Soybean, and Hot Pepper to Simulated Acid Rain at Different Growth Stages (벼, 콩, 고추의 생육시간별 인공 산성비에 대한 내성)

  • 이석순;김태주;김복진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9 no.6
    • /
    • pp.548-555
    • /
    • 1994
  • To compare the tolerance of crops to acid rain at different growth stages a simulated acid rain (SAR) of pH 2.7 was applied to rice, soybean, and hot pepper from vegetative growth stage to harvest (Veget.-Harvest) and from reproductive growth stage to harvest (Reprod.-Harvest). Visual damages of crops by SAR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rice < hot pepper < soybean and greater at Veget.-Harvest than at Reprod.-Harvest treatment. Chlorophyll content of all crops was greater in the order of Veget.-Harvest < Reprod.-Harvest treatment < control, but photosynthetic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SAR treatments. Nitrogen concentration and uptake of rice plants at harvest were similar among SAR treatments, but those of soybean and hot pepper were greater at Veget.-Harvest treatment than at Reprod.-Harvest treatment or control. Sulfur concentration of all crops was not affected by SAR treatments, but total sulfur uptake of soybean was greater in SAR treatments than untreated control. Grain yield of rice and soybean was not affected by SAR although grain fertility, percent ripened grains, and 1,000-grain weight of rice at Veget.-Harvest treatment were lower compared with Reprod.-Harvest treatment or control. Fruit dry weight of hot pepper was greater in the order of Veget.-Harvest < Reprod.-Harvest < control due to decreased fruit number per plant and average fruit weight. At one time application of SAR at flowering stage, brown spots were observed on the spikelets of rice at below pH 2.3. Petals of soybean and hot pepper were wilted at pH below 1. 7 and 2.0, respectively, but fruit setting was not affected by the pH of the SRA.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Once-Over Harvest Pepper Harvester(I) - A Fundamental Factor Test for Pepper Detachment - (일시수확형 고추수확기 개발에 관한 연구 (I) - 고추 탈과 기초요인시험 -)

  • Kim, Y. K.;Hong, J. T.;Choi, Y.;Jun, H. J.;Park, H. J.;Cho, Y.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4-59
    • /
    • 2002
  • 1. 일시수확형 고추의 기계수확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류의 탈과장치를 제작하여 공시고추로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이송(공급)속도는 0.1m/s, 탈과장치 간격은 3cm, 탈과장치 회전수는 180rpm에서 정상탈과율 77.3%, 손상률 7.6% 미탈과율 3.0%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타났다. 2. 방사대칭식(브러쉬형) 탈과장치를 이용하여 무지용 상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를 공시하여 고추별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추이송(공급)속도 0.1m/s, 원통사이간격 3cm, 탈과장치 회전수 180rpm에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왔으며,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가 정상탈과률 82.7%, 손상률 7.4%, 미탈과율 2.7%로 무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52.3%, 14.3%, 12.5%)와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77.3%, 7.6%. 3.0%)에 비해 기계수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의 고추 기계수확 요인시험의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종류로는 하향착과형 고추가 기계수확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 후 회수가 가능한 줄기부착고추를 포함한다면 고추기계수확률은 80% 이상, 꼭지가 떨어진 것이 대부분인 손상고추도 수확 후 즉시 기계건조하여 가공용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수확률은 90% 이상 가능하지만, 이것의 수용 여부는 좀 더 폭넓은 의견수렴 및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고추수확 기계화를 위해서는 실내요인 시험 결과를 토대로 포장에서 수확메커니즘 구명과 더불어 고추 과실이 크고 무지주용 하향착과형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5) 마늘 선별작업 -마늘선별기는 작업성능이 높고 5등급으로 균일 선별되었으며 손상도 없었으나, 기계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므로 선별등급을 3∼4단계로 줄이고 소형 농가보급형으로 개량제작이 요구됨. 나.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the annealing texture. Observations by TEM and EBSD revealed the formation of very fine grains of ∼1.0$\mu\textrm{m}$ after CCSS.he 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Self-propelled Chile harvester (IV) - Factorial Experiment of Drum Type Secondary Picking Part - (자주식 고추수확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V) - 드럼형 2차 탈실부 요인시험 -)

  • Kim, Su Bin;Byun, Jun Hee;Park, Seung Jae;Kang, Young Sun;Kim, Dae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10
    • /
    • 2017
  • 우리나라 고추 재배는 ha당 총 노동투하시간 2,436 hr 중 수확작업시간은 954 hr으로 총 노동투하시간의 39.2%를 점유하고 있어 수확작업의 생력화를 위해 고추수확작업의 기계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고추 수확의 기계화를 위해 국내 T사에서 자주식 고추 수확기를 개발 중에 있다. 현재 고추를 기계로 채취하게 되면 많은 양의 줄기달린 고추가 유입되므로 수확 후 분리하는 작업에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럼 회전 타입의 2차 탈실부 요인시험 장치를 제작하여 드럼의 회전속도, 드럼과 급치 사이 간격에 대해 요인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식 고추수확기 2차 탈실부의 적정 작업조건을 파악함에 목적을 두었다. 탈실부 요인시험 장치는 급치가 부착된 3개의 드럼 형태의 탈실부와 이송벨트로 구성된다. 공시재료인 고추는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소재의 개인농가에서 Plastic 온실로 재배된 '천상' 품종을 사용하였다. 본 요인시험은 드럼의 회전속도(40, 70, 100, 130 rpm)와 드럼과 급치 사이 간격(2, 5, 10 mm)으로 요인을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각 요인 당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투입되는 시료는 줄기달린 고추를 3가지의 형태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각 요인에 따라 고추의 탈실률, 손상률에 대해 통계프로그램인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요인시험결과, 손상 대비 탈실률로 비교했을 때 회전속도 40 rpm에서 탈실률 47.69%, 손상률 8.33%로 성능이 가장 낮았으며, 회전속도 70 rpm에서 탈실률 63.89%, 손상률 12.96%로 성능이 가장 높았다. 드럼과 급치 사이의 간격에 따른 요인시험결과, 간격이 클수록 탈실률 및 손상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5 mm일 때 성능이 가장 높았다. 반복이 있는 이원배치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고추 탈실률과 손상률은 드럼의 회전속도와 드럼과 급치 사이 간격 모두에서 유의차가 발생한다고 나타났다. 요인시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드럼 회전속도 70 rpm, 드럼과 급치 사이 간격 5 mm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고추 탈실률이 낮고, 손상률이 높아 탈실장치로서의 기능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이므로 추후 급치 타입의 변경 등 탈실장치의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imulation Study on the Dynamics Characteristics of Hot Pepper Harvester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추 수확기의 동적 특성 연구)

  • Kang, Seokho;Kim, Junhee;Kim, Yeongsu;Woo, Seungmin;Daniel, Dooyum Uyeh;Ha, Yush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9 no.3
    • /
    • pp.19-25
    • /
    • 2020
  • The field farming machine is difficult to develop due to its heavy slopes, tough roads and unformatted cultivation by growing crops. In particular, harvesting is a major problem in rural areas in Republic of Korea where aging is accelerated with work requiring a lot of time and manpower.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hot pepper harvester developed to replace manpower, reduce working hours and mechanize harvesting operations.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hot pepper harvester, the dynamic program Recurdyn was used and all analysis were performed as case of an empty vehic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an suggest dynamic safety range of multi-purpose driving platform with hot pepper harvester.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Harvest Date for Once-Over Harvest of Red Pepper by the Direct Sowing in the Field (노지에 직파한 고추의 일시수확을 위한 적정 시기 구명)

  • 황재문;오세명;심장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29-135
    • /
    • 2001
  • 농가에서 건초용 고추를 재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온상 육묘한 다음, 서리 피해가 없는 때에 노지에 멀칭 또는 터널을 설치하여 이식재배하고, 서리가 올 때까지의 재배기간 중에 6-8차례에 걸쳐 적과를 수확하여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재배방법은 육묘와 수확에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므로 고추의 생산비를 낮추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고온성 작물인 고추를 저온기에 육묘하려면 난방 등 에너지의 비용이 높고 여러 가지의 육묘 자재가 필요하다. (중략)

  • PDF

Study on mechanization of red pepper cultivation (고추재배 일관기계화 실태조사)

  • 이채식;조광환;김충길;김학진;강태경;이중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8-53
    • /
    • 2002
  • 가. 작업단계 별 작업수단 및 노동투하시간 -고추재배는 포장준비 등 일부작업을 제외하고는 인력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육묘에서 수확 및 수확후 포장처리가지의 총 노동투하시간은 266.7시간/10a로 수확작업이 44.5%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육묘, 지주세우기 및 제거, 정식, 방제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력 및 생산비절감을 위해서는 고추재배 기계화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 일관기계화방안 -고추재배시 기계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경지규모의 협소함, 재배지의 필지의 분산, 협소한 조간간격, 비닐멀칭 및 지주유인재배, 수확기간의 길이가 길고 횟수가 많음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계화가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추재배일관기계화를 위하여는 공동 또는 공정육묘, 트랙터 등 대형기계중심의 포장준비, 정식은 자동정식기보급, 관수·시비자동화와 붐방제기 또는 방제장치시설화, 기계수확이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Pepper for Particle Behavior analysis of sorting system for Pepper Harvester (고추수확기용 선별장치의 입자 거동 해석을 위한 고추 물성측정)

  • Byun, Jun Hee;Kim, Su Bin;Kim, Myoung Ho;Kim, Dae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9
    • /
    • 2017
  • 입자거동해석소프트웨어(EDEM)은 DEM(Discrete Element Method)기법을 이용한 입자 거동 전용 해석툴로 입자 유입량, 위치 등을 조절하여 입자거동과 관련된 제품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비용 및 시간 절감에 활용도가 뛰어난 소프트웨어이다. EDEM을 활용하기 위해선 적용대상에 대한 물성치를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DEM를 이용하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카드클리너 방식의 고추 선별기의 성능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고추 물성측정 실험을 수행 하였다. EDEM을 이용한 입자거동해석에 필요한 개인 물성치에는 포아송비, 전단탄성계수, 밀도가 있다. 또한 입자-입자, 입자-Geometry 간의 상호관계를 위한 물성치인 반발계수, 정지마찰계수, 구름마찰계수가 필요하다. 공시 시료인 고추는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소재의 개인농가 Plastic 온실로 재배된 '천상'품종을 사용하였다. 푸아송 비와, 전단 탄성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인장시험기기로는 만능인장시험기(TA-XT2, Stable Micro, 영국)를 이용하였으며, 인장에 의한 고추의 변형량 축정은 초고속카메라(NX4-SI, IDT, 미국)을 이용하였다. 밀도는 비중병법에 기초하여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하였다. 반발계수는 고추의 충돌 실험을 통해 변화한 높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충동 실험을 통해 변화한 높이는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지마찰계수와 구름마찰계수는 고추의 미끄러짐이 시작하는 각도와 등속도 운동으로 구르는 각도를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후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을 통해 평균값을 시험 결과 값으로 이용하였다. 고추의 대한 물성치 실험결과 고추의 푸아송 비는 0.294(std : 0.2), 전단탄성계수 4.624E+06 Pa, 밀도 $600kg/m^3$로 나타났다. 또한 입자-입자 간의 물성치인 반발계수는 0.383, 정지마찰계수는 0.455, 구름마찰 계수는 0.043로 나타났다. 추후 본 연구에서 측정한 고추의 물성치를 적용한 EDEM 입자거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카드클리너 방식의 고추 선별기의 성능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

농업기술 - 건강한 채소재배 관리 노하우

  • Go, In-Bae
    • 농업기술회보
    • /
    • v.47 no.4
    • /
    • pp.38-40
    • /
    • 2010
  • 파종, 정식, 잡초 뽑기, 물주기, 비료주기, 온도관리, 병해충 방제 수확 등 작물을 파종하고 수확하기까지는 수백 번의 손길과 정성이 필요하다. 정식이 끝난 고추, 오이, 수박 등 주요 과채류의 장마철 농작물 관리요령 등 중점적으로 실천해야 할 재배기술에 대해서 알아보자.

  • PDF

Studies on the Change of Composition of Sweet Potato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고구마 고추장의 숙성기간중(熟成期間中) 성분변화(成分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H.Y.;Park, K.H.;Min, B.Y.;Kim, J.P.;Chung, D.H.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0 no.3
    • /
    • pp.331-336
    • /
    • 1978
  • In an attempt to study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sweet potato for cereals as raw materials for Kochujang, three kinds of Kochujang were made from barley, sweet potato or 50% barley and 50% sweet potato, The results of component variation during the ripening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aging in the harvesting season of sweet potato were as follows: 1) Kochujang is, usually, manufactured in May,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aging condition when it was manufactured in September, the season of sweet potato harvest, since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product was around $20^{\circ}C$. 2) The total reducing sugar content and maturity reached maximum after $40{\sim}50\;days$ of fermentation in the three treatments and crude fat content tended to be slight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3) Lightness in color of the three kinds of Kochujang decreased by exposure to sunlight. Sweetpotato Kochujang showed a stronger tendency to increase the redness as compared with the rest. 4)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weet potato Kochujang was less acceptable than barley Kochujang due to disagreeable flavor of sweet potato but mixed Kochujang showed little difference, as compared with barley Kochujang.

  • PDF

Pesticide residues in chili pepper seeds and their transfer into the seed oil (고추씨 중 농약 잔류와 고추씨 기름으로 농약의 이행)

  • Lee, Mi-Gyung;Kim, Jong Se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4
    • /
    • pp.317-322
    • /
    • 2016
  • A pesticide mix solution containing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and lufenuron was applied 3 times on field grown chili pepper at a fivefold overdose dilution concentration of the spray solution at a pre-harvest interval of 7 day.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and lufenuron were detected at 4.43, 0.334, and 1.56 mg/kg, respectively, in raw chili pepper. Washing with water reduced the residue levels to 91.4, 94.3, and 85.3%, respectively. In dried chili pepper, the residues of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and lufenuron were 22.2 mg/kg (processing factor, Pf =5.01), 1.65 mg/kg (Pf =4.94), and 6.54 mg/kg (Pf =4.19). In the seeds, difenoconazole and lambda-cyhalothrin were not detected, and lufenuron was detected at 0.0075 mg/kg (n=1) and <0.005 mg/kg (n=2). Thus the pesticide residues in the seeds was negligible. In the seed oil, difenoconazole and lufenuron residues were 0.0263 and 0.0295 mg/kg, respectively (concentration factors=5.26 and 4.72). These concentration factors supported the theoretical concentration factor of 6.8, assuming that all of compound present in the seed are transferred into the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