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체 촉매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cent Developments and Challenging issues of Solid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바이오디젤 생산용 고체 촉매의 개발 동향 및 과제)

  • Lee, Jin-Suk;Park, Soon-Chu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8 no.1
    • /
    • pp.10-15
    • /
    • 2010
  • Intensive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o develop more efficient solid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various feedstocks including refined oils and waste fats. Among many catalysts, metal oxides and ion exchange resins are the most intensively studied ones. With regard to metal oxide catalysts, major research activit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and their immobilizing methods on the supports. As metal oxide catalysts have strong thermal stability, they may be used in simultaneous transesterification and esterification of waste fats. However, ion exchange resin catalysts were mainly applied in the esterification of the free fatty acids in waste fats because of their lower thermal stability. For both solid catalysts, further works are needed to make them to be used in commercial process. Especially fast deactivation of the solid catalyst would be the most challenging problem.

Transesterification of Vegetable oil and animail fat Using Solid Catalysts (고체촉매 이용 동.식물성 유지의 바이오디젤 전환)

  • Lee, Tae-Sung;Lee, Yong-Hwa;Kim, Kwang-Su;Cho, Hyun-Jun;Jang, Yong-Sek;Park, Kwang-G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09.2-109.2
    • /
    • 2011
  • 바이오디젤의 생산은 원료유의 순도와 촉매 종류, 알코올의 양, 반응시간, 반응 온도와 같은 다양한 조건을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곧 생산단가와 직결된다. 바이오디젤 전환 시 고체촉매를 이용하면 후처리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글리세린의 순도가 약 98%로 매우 높아져 고부가 물질 생산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생산 단가를 4~20% 가량 낮출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디젤의 경제적인 생산을 위하여 정제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3종의 고체촉매를 이용하여 동 식물성 유지의 바이오디젤로 전환 실험을 수행 하였다. 촉매 활성화를 위하여 고체촉매를 $700^{\circ}C$에서 3~5시간 소성하고 동 식물성 유지를 이용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실험을 수행하여 30분 간격으로 시료를 수집 하였다. 실험 결과, 동물성 폐유지로부터 반응 120분 후에 최대 90% 이상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로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식물성 유지인 팜유에서는 86%, 유채유에서는 64%의 전환율을 나타냈다. 동 식물성 유지의 초기 산가는 0.45~2mg KOH/g 사이로 나타났다.

  • PDF

Solid Superacid Catalyst and Its Application (고체초강산 촉매와 그 응용)

  • Sohn, Jong-Rac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 no.1
    • /
    • pp.7-17
    • /
    • 1992
  • The acid stronger than $H_0=-11.93$, which corresponds to the acid strength of 100% $H_2SO_4$, is known as superacid. However, solid superacid catalysts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an easy separation of products from catalyst, the repeated uses and regeneration of catalysts, as compared with liquid superacids. In this paper, the kinds of solid superacids, the prepar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s for chemical reactions are introduced.

  • PDF

Esterification of Free Fatty Acid in Biodiesel Feedstock by Sold Catalyst and Microwave Heating (고체촉매와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저품위 바이오디젤 원료의 자유지방산 제거)

  • Kim, Dae-Ho;Choi, Jin-Ju;Vijayan, M.T.;Jung, Sun-Shin;Park, Sung-Su;Lee, Kun-Dae;Kim, Bo-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12-512
    • /
    • 2009
  • 본 연구는 자유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는 저품위 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외부가열 방법 대신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내부 직접가열 방법으로 고체촉매 반응을 가속화한 연구에 관한 것이다. 대두유를 원료로 KOH 균일촉매를 이용한 전이에스테르화 실험에서는 섭씨 60도 상압조건에서 반응시간 3분에 95.4%의 전환율을 획득했다. 올레산과 고체산촉매를 이용한 자유지방산 제거 실험에서는 섭씨 60도 상압조건에서 solvent free 방식의 S-ZrO2는 반응시간 20분만에 93.7%의 제거율을 보였고 Rohm&Hass사의 Amberlyst-15dry 촉매는 반응시간 30분에 82.0%의 제거율을 보였다. 또한 바이오디젤 합성에 사용된 마이크로파의 총 에너지를 측정한 결과 외부가열 방법에 비해 약 1/3 수준임을 확인했다. 이것은 기존의 heat bath를 이용한 실험결과들과 비교할 때 반응속도가 약 10배 정도 향상되면서도 에너지효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로서, 저품위 유지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마이크로파가 매우 효율적인 가열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Recent Developed Solid Acid Catalysts (최근에 개발된 고체산 촉매)

  • Ko, Tae-Seog;Seo, G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 no.1
    • /
    • pp.18-23
    • /
    • 1992
  • Three solid acid catalysts developed recently are reviewed. Cloverite is a gallophosphate molecular sieve with very large pore, titanium silicate has a specific structu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olecular sieves, and Envirocat is prepared for the replacement of aluminium chloride catalyst.

  • PDF

Middle distillate production by the hydrocracking of FT wax over solid acid catalysts (고체산 촉매상에서 FT WAX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생산)

  • Jeong, Heondo;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4.2-114.2
    • /
    • 2010
  • Fisher-Tropsch 반응을 통하여 생성되는 왁스는 황 또는 질소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방향족 및 중금속 성분이 없기 때문에 청정 수송유로써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Fisher-Tropsch 왁스는 그 분자량이 매우 큰 사슬형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수소첨가 분해반응을 통하여 중질유 range의 탄소수를 갖는 탄화수소로의 전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강한 산점을 지니고 있는 양이온 교환 지르코니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강한 산점과 높은 산밀도, 그리고 기공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특정 반응이 제어되거나 활성화되는 형상선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반응에 촉매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에 Pt 등의 귀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전환율 및 중질유분의 선택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제올라이트 촉매에 귀금속을 담지하여 촉매를 제조하고 1L 급 고압 배치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제조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 PDF

Effect of Reaction Factors on Reducing Sugar Production from Enteromorpha intestinalis Using Solid Acid Catalyst (고체 산촉매를 이용한 창자파래로부터 환원당 생산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

  • Jeong, Gwi-Taek;Park, Don-H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3 no.4
    • /
    • pp.478-481
    • /
    • 2015
  • In this study, the hydrolysis of green macro-algae Enteromorpha intestinalis using solid acid catalyst was conducted to obtain total reducing sugar. The hydrolysis was optimized with four reaction parameters of liquid-to-solid (L/S) ratio, catalyst amount,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As a optimized result, the highest TRS of 7.74 g/L was obtained under condition of 7.5 L/S ratio, $140^{\circ}C$, 15% catalyst amount and 2 hr. By the way, at this condition, only 0.13 g/L 5-HMF was detected. The solid acid-catalyzed hydrolysis of marine resources had the potential in the field of bioenergy.

The Etherification of 2-Naphthol over Mesoporous Solid Acid Catalysts (메조 세공의 고체산 촉매를 이용한 2-나프톨의 에테르화 반응)

  • Kim, Young Jin;Bhatt, Sharad Durgashanker;Yoon, Songhun;Kim, Hee Young;Lee, Yongtaek;Lee, Chul W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2
    • /
    • pp.279-285
    • /
    • 2008
  • The etherification of 2-naphthol with ethanol has been carried out over various solid acid catalysts. CNS, CNSWS, SCMS, MCF, and SBA-15 with and without sulfonic acid were used in this study as solid acid catalysts. The conversion of 2-naphthol and the selectivity of 2-naphthyl ethyl ether were obtained at reaction temperature = $180^{\circ}C$, $LHSV=1h^{-1}$, ethanol/2-naphthol molar ratio = 20 using a fixed-bed down flow reactor. The conversion of 2-naphthol and the selectivity of 2-naphthyl ethyl ether over silica group catalysts were higher than them over carbon group catalysts. The conversion of 2-naphthol was 70-90% and the selectivity of 2-naphthyl ethyl ether was more than 90% over silica group solid acid catalysts. It was performed XRD, SEM, TEM, and $NH_3-TPD$ to characterize solid acid catalysts.

Study on Effect of gas superficial velocity on particle behavior in three phased Slurry Bubble Column Reactor (3상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 기체유속에 따른 고체입자의 거동에 대한 연구)

  • Yang, Jung-Hoon;Yang, Jung-Il;Lee, Ho-Tae;Kim, Hak-Joo;Chun, Dong-Hyun;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76-879
    • /
    • 2009
  • Fischer-Tropsch 합성 반응과 같은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는 반응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물질 전달을 원활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Fischer-Tropsch 합성 반응에서는 반응물인 기체가 촉매로서 기능하는 고체 표면으로의 external mass transfer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응기 내의 기체의 거동뿐만 아니라 고체인 촉매의 분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응기 내에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를 변화시키면서 기체의 hold up 뿐만 아니라 고체 입자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gas hold up의 경우,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6 cm/sec 이상에서 그 증가폭이 감소하였다. 즉 6 cm/sec이상에서 turbulent flow regime을 형성하였다. 또한 고체입자의 분포 역시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보다 균일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SOFC stack module (SOFC 모듈평가장치 기술개발)

  • Choi, YoungJae;Lee, InSung;Jun, Jo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81.2-81.2
    • /
    • 2010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은 스택과 기계적 주변 장치인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그리고 전기적 주변장치인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되어있다. SOFC는 일반적으로 $7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열 이용 및 열 관리가 중요하다. SOFC 시스템의 MBOP에는 상온의 연료가스들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스택에 유입 시기키 위한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 등의 장치들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열관리를 위해서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치들을 한곳에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SOFC 시스템의 MBOP(Mechanical Balance of Pant) 중 고온부에 해당하는 촉매연소기, 열교환기 및 스택이 통합된 스택 모듈을 제작에 앞서 개념 검증을 위해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로 이루어진 프로토타입(prototype)의 SOFC 모듈평가 장치를 제작하였다. 열교환기는 Plate형으로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극과 공기극 가스라인에 각각 3개씩 배치하여 스택에 유입되는 연료 및 공기가 촉매연소기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가스와 열교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하였다. 촉매연소기는 honeycomb 타입의 촉매를 사용하였고, 촉매연소기로 유입되는 연료극 배가스와 공기의 균일혼합과 hot spot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SOFC 모듈평가장치는 시운전을 통해 각 장치의 성능 확인 후 반응면적이 $20{\times}20cm^2$ 인 단전지를 적층하여 연계 운전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