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중력 천체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국내 망원경을 이용한 변광 천체 연구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1-111
    • /
    • 2010
  • 변광 천체 중에서도 특히 수 일 만에 몇 등급 이상씩 증가하는 격변광 현상을 보이는 고에너지, 고중력 천체들의 연구는 다른 천체들의 연구는 별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고중력 변광 천체들의 연구에 있어서 선진국들에서는 지난 수 십 년간 관측기기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고에너지 천체들에서의 다양한 복사 및 산란 과정의 규명에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최근 들어 지상 광학 및 적외선 망원경은 점점 대형화 하는 추세에 있지만, 소형 망원경을 이용한 변광 천체의 연구 역시 점점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형 망원경을 이용한 격변광 천체의 관측은 국내외에 우리나라가 보유한 소형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관측 연구 및 교육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원격 관측이 가능한 미국 레몬산의 1미터 및 보현산의 1.8미터 망원경을 이용한 격변광 천체들의 최근의 관측 연구 활동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GT0236+610의 궤도에 따른 밝기 변화 연구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2-112
    • /
    • 2010
  • GT0236+618은 고중력 천체와 B0형별이 짝을 이루는 근접 쌍성계이다. 약 한 달을 주기로 공전함에 따라 그 밝기가 변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두 별의 근일점 근처에서 많이 밝아지지만, 그 변화는 아주 규칙적이지는 않다. 예상외로 갑자기 더 많이 밝아지는 때가 각각 다른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고중력 천체의 정체도 동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이용한 GT0236+618의 최근 관측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1ES2030+407의 적외선 파장 연구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5-115
    • /
    • 2010
  • 고중력 천체들의 광폭발 현상은 보통 적어도 수년에서 수십 년을 단위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한 번의 광폭발은 길게는 1-2년을 지속한다. 1ES2030+407는 이러한 전형적인 고중력 천체들의 광폭발과는 매우 다르게, 연간 길고 짧은 다양한 시간척도로 수차례의 광폭발 현상들이 일어나기도 한다. 1ES2030+407의 적외선 관측은 세계적으로도 비교적 아주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도 관측 자료가 많은 편이 아니다. 보현산 1.8미터에 장착된 적외선 카메라를 써서 최근에 수행한 관측을 소개한다.

  • PDF

VERA J2032+4057의 초장기선 간섭계 관측 연구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6-116
    • /
    • 2010
  • 마이크로퀘이사들은 고중력 천체와 보통의 별이 공전하며 서로의 물질도 이동하는 근접 쌍성계로서, 불규칙하고 간헐적으로 플레어와 그에 수반하는 상대론적인 속도로 분출되는 물질을 분출하는 현상, 즉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을 보인다. 두 천체사이의 거리는 수백만 킬로미터이고, 특히 물질을 분출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고중력 천체 주변의 크기는 수천 킬로미터 정도인데 반하여, 우리로 부터의 거리는 보통 10 킬로 kpc 이상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의 영상을 얻으려면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를 이용해야 한다. 우리는 일본의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VERA를 이용하여 VERA J2032+4057의 플레어 상태에서의 물질 분출 현상을 영상화 하였다. VERA J2032+4057의 플레어와 불질분출은 매우 복잡하여 여러 가지 모델들을 써서 영상을 해석해 보았다.

  • PDF

The analysis of the tide and drift correction models for precise gravity surveying (정밀 중력측정을 위한 조석 및 계기 보정 모델 분석)

  • Lee, Ji-Sun;Kwon, Jay-Hyo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5
    • /
    • pp.523-530
    • /
    • 2010
  • Recently more gravity data is being obtained due to the increased demands from the fields of geodesy, geophysics, and military. In general, the observed gravity values are corrected for the effect of tide, instrument drift, and instrument height to generate the absolute gravity values at a point. Until yet, the models for tide and drift corrections and those procedures are not determined in Korea which led to the inconsistent data processing for different data se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odels for tide and drift are analyzed to select the appropriate models.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Longman and Tamura tide models for celestial objects. Earth tide, however, should be considered in tide correction procedure. In drift correc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considering only the common points and that considering all points appears significantly large up to 0.04mGal. In this case, the model with all points should be used as it the correct on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theory and it generates estimates with better pr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