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정 클러스터링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Clustering Algorithms for Fixed-Grid Spatial Index (고정 그리드 공간 색인을 위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 유진영;김진덕;김동현;홍봉희;김장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32-134
    • /
    • 1998
  • 공간 색인의 하나인 그리드 파일은 공간 데이터 영역을 격자 형태의 셀로 분할하여 구성하는데 특히, 셀들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값으로 고정되어진 것을 고정 그리드(fixed grid)라고 한다. 셀들의 크기가 고정된으로 인해 샐 분할선 상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객체들은 하나 이상의 셀에 의해 중복으로 참조된다. 중복 참조 객체는 1/10 시간을 증가시켜 질의 처리 시 성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중복 객체를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고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중복 참조 객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 클러스터링(Object clustering)과 셀 단위로 클러스터하기 위한 셀 클러스터링(Cell clustering)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그리고 공간 질의 수행 시에 각 클러스터기법들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Object and Cell Clustering Algorithms of the Fixed Grid File (고정 그리드 파일의 객체 및 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Jo, Dae-Su;Yu, Jin-Yeong;Hong, Bong-Hui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1
    • /
    • pp.69-85
    • /
    • 2001
  •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으로 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이스크 접근 비용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공간 지역성에 기반을 둔 여러 가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객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나뉜다. 객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정규 준할 공간 색인 구조에서 영역 분할 선과 겹치는 객체들의 저장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만들기 위해 정규 분할된 영역들을 그룹화하는데 사용된다. 실험결과 객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서는 객체간의 거리를 이용한 경우에 대체로 좋은 성능을 보였지만, 버퍼 크기가 커지거나 데이터가 희박한 영역의 질의에 있어서는 알고리즘 별로 성능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에서는 이 논문에서 제안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N-순서화 기법에 의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특히 중복 참조도를 이용한 경우와 셀의 무게 중심간 거리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i-LEACH : Head-node Constrained Clustering Algorithm for Randomly-Deployed WSN (i-LEACH : 랜덤배치 고정형 WSN에서 헤더수 고정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Kim, Chang-Joon;Lee, Doo-Wan;Jang, Kyung-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
    • /
    • pp.198-204
    • /
    • 2012
  • Generally, the clustering of sensor nodes in WSN is a useful mechanism that helps to cope with scalability problem and, if combined with network data aggregation, may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network. The Hierarchical clustering routing algorithm is a typical algorithm for enhancing overall energy efficiency of network, which selects cluster-head in order to send the aggregated data arriving from the node in cluster to a base s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mproved-LEACH that uses comparably simple and light-weighted policy to select cluster-head nodes, which results in reduction of the clustering overhead and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By using fine-grained power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LEACH can reduce clustering overhead compared with the well-known previous works such as LEACH. As result, i-LEACH algorithm and LEACH algorithm was compared, network power-consumption of i-LEACH algorithm was improved than LEACH algorithm with 25%, and network-traffic was improved 16%.

Fixed Partitioning Methods for Extending lifetime of sensor nod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SN환경에서 센서노드의 생명주기 연장을 위한 고정 분할 기법)

  • Han, Chang-Su;Cho, Young-Bok;Woo, Sung-Hee;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5
    • /
    • pp.942-948
    • /
    • 2016
  • WSN based on wireless sensor nodes, Sensor nodes can not be reassigned and recharged if they once placed. Each sensor node comes into being involv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its limited energy. But the existing proposed clustering techniques, being applied to WSN environment with irregular dispersion of sensor nodes, have the network reliability issues which bring about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with the local node feature of unbalanced distribution in WSN. Therefore, the communications participation of the sensor nodes in the suggested algorithm is extended by 25% as the sensor field divided in the light of the non-uniformed distribution of sensor nodes and a static or a dynamic clustering algorithm adopted according to its partition of sensor node density in WSN. And the entire network life cycle was extended by 14%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network.

Noise resistant density based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노이즈에 강한 밀도를 이용한 Fuzzy C-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Go, Jeong-Won;Choe, Byeong-In;Lee,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11-214
    • /
    • 2006
  • Fuzzy C-Means(FCM) 알고리즘은 probabilitic 멤버쉽을 사용하는 클러스터링 방법으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노이즈에 대하여 민감한 성질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이즈에 민감한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밀도추정을 이용하여 새로운 FCM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FCM과 비슷한 성능의 클러스터링 수행이 가능하며, 노이즈가 포함된 데이터에서는 FCM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

  • PDF

Optimal k-search and Its Application in k-medoid Clustering Algorithm based on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K-medoid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서의 최적의 k-탐색과 적용)

  • Ahn Sun-Young;Yoon Hye-Sung;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55-57
    • /
    • 2006
  • k-medoid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고정된 클러스터 수(k)를 가지고 실험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으면 올바른 분석이 어렵고, 클러스터 수를 변경하면서 여러 번 반복 실험하여 실험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시간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k-medoid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분석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적절한 클러스터 수 k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매개중심 값을 이용하여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마이크로 어레이 데이터에 적용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k-medoid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클러스터링 결과를 보인다.

  • PDF

Dynamic-size Multi-hop Clustering Mechanism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동적 크기 다중홉 클러스터링 방법)

  • Lim, Yu-Jin;Ahn, Sang-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6 s.102
    • /
    • pp.875-880
    • /
    • 2005
  •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sensor network with resource-constrained sensor nodes is prolonging the network lifetime by efficiently utilizing the given energy of nodes. The most representative mechanism to achieve a long-lived network is the clustering mechanis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ynamic-size multi-hop clustering mechanism in which the burden of a node acting as a cluster head(CH) is balanced regardless of the density of nodes in a sensor network by adjusting the size of a clust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load and the residual energy of the node and its neighboring nodes. We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outperforms other single-hop or fixed-size multi-hop clustering mechanisms by carrying out simulations.

Mobile Agent based Dynamic Clustering scheme in MANET (MANET 환경에서의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동적 클러스터링 기법)

  • Lim Won-tack;Kim Gu Su;Sun Seung Sa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13-315
    • /
    • 2005
  • 본 논문은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클러스터링을 구성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제안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클러스터링 기법은 클러스터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상태나 노드들의 이동성에 따라 클러스터 재구성의 오버헤드가 발생하였다. 본 제안 기법에서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클러스터 크기의 최대 임계치와 최소 임계치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를 병합 흑은 분할하면서 클러스터의 크기를 임계치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클러스터 재구성의 오버헤드라 클러스터 내부의 경로 탐색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PDF

Anomaly Intrusion Detection by Clustering Transactional Audit Streams in a Host Computer (사용자 로그 스트림 클러스터링에 의한 실시간 침입탐지 기법)

  • Park, Nam-Hun;Oh, Sang-Hyun;Lee, Won-Su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94-599
    • /
    • 2008
  • 침입탐지에 있어서 사용자 로그 분석은 중요한 주제로서, 기존의 연구들에서 클러스터링 기법들을 사용하여 저장된 사용자 로그들을 분석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정된 사용자 패턴 분석에는 효율적이지만, 로그 스트림과 같이 무한히 생성되어 사용자 패턴이 변화하는 경우 변화하는 패턴을 분석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히 생성되는 사용자 로그 스트림을 대상으로 실시간 침입탐지 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로그의 정보는 사용자 행동에 대한 특성값으로 표현되어, 이러한 특성값들에 대해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이들을 클러스터로 분류한다. 각 클러스터는 사용자의 정상로그에 대한 특성값을 반영하게 되며, 그 결과 과거 사용자 로그에 대한 저장없이 새로운 로그 스트림을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비정상행동을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 PDF

Abrupt Shot Change Detection using an Unsupervised Clustering of Multiple Features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급격한 장면 전환 검출 기법)

  • Lee, Hun-Cheol;Go, Yun-Ho;Yun, Byeong-Ju;Kim, Seong-Dae;Yu, Sang-J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6
    • /
    • pp.712-720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detect abrupt shot changes in a video sequence using an unsupervised clustering. Conventional clustering-based shot change detection algorithms use multiple features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a single feature. In such methods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initial cluster centers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k-means clustering algorithm which estimates the initial cluster center adaptivel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