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장모드 및 영향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초

현실적 공정 FMEA 평가기준 개발 (Practical Criteria for Process FMEA)

  • 김태혁;장중순;이은열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3-135
    • /
    • 2010
  •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technique to assess or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or processes at early stage of development. Traditionally, the prioritization of failures for corrective actions is performed by evaluating risk priority numbers (RPN). In practice, due to insufficient evaluation criteria specific to related products and processes, RPN is not always evaluated properly. This paper reestablishe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prioritization of failure modes in FMEA procedure. Revised evaluation criteria of RPN are devised and a refined FMEA sheet is introduc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applied to inspection processes of PCB products.

3중 비행제어시스템의 다중화 기법 설계 (Redundancy Management Design for Triplex Flight Control System)

  • 박성한;김재용;조인제;황병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9-179
    • /
    • 2010
  • 3중 비행제어시스템이 종래의 4중 비행제어시스템과 유사한 수준의 시스템 신뢰성과 이중 결함시의 안전한 운용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전적인 다중화 설계기법에 많은 변경과 수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고등훈련기급의 3중 비행제어시스템 다중화 설계기법은 4중 시스템과 동일한 수준의 생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3중 시스템의 핵심인 비행제어컴퓨터의 입출력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를 기능적으로 분리시켜 상호 고장에 대한 영향성을 최소화키고, 시스템의 치명적인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 특별한 고장 분석 기법과 격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비행제어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보장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중 시스템 구조와 고장관리 설계기법을 소개하고 설계된 3중 비행제어시스템의 손실율 분석을 통해서 기존 신뢰성 요구도가 만족됨을 해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또한 3중 비행제어시스템의 각종 고장모드에 대한 시스템 영향성 및 안정성 시험을 통해서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회전익 자동비행제어시스템 소프트웨어의 FMET 수행 및 검증 방안 (Method of Conducting and Verification for Failure Mode Effect Test of Rotary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Software)

  • 염우성;하석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5-62
    • /
    • 2020
  • 회전익 헬리콥터의 안정성, 조종성 향상 및 증대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제어기술에 의한 디지털 비행제어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헬리콥터 비행제어시스템 설계 및 개발 기술은 해외 선진 항공 개발사의 기술이전 기피 및 불가에 해당하는 핵심기술로써 헬리콥터 비행제어 시스템 운용소프트웨어인 OFP의 기능 요구조건 충족과 더불어 비행안전에 직결되는 시스템 신뢰도의 검증이 필요하며 비행제어 시스템 운용 소프트웨어의 검증 방안 연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익 자동비행제어시스템 소프트웨어의 FMET 수행 및 검증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소충전소용 수소 충전 노즐의 고장 유형 및 영향분석 (A Study o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of Hydrogen Fueling Nozzle Used in Hydrogen Station )

  • 김주현;조계용;지상원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82-688
    • /
    • 2023
  • In this paper, analyzes the type of failure and its effect on the hydrogen fueling nozzle used in hydrogen station. Failure of hydrogen fueling nozzle was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The failure data of hydrogen fueling nozzles installed in domestic hydrogen stations are collected, and the failure types are classified, checked the main components causing the failure. Criticality analysis was derived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depending on the failure mode performed. A quality function is developed by a performance test evaluation item of the hydrogen fueling nozzle, and the priority order of design characteristics is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elements to improve the main components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maintenance of the hydrogen fueling nozzle were confirmed.

주행 구동 유니트의 가속 수명 시험 및 분석 (Accelerated Life Test and Analysis of Track Drive Unit for an Excavator)

  • 이용범;박종호
    • 유공압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7
    • /
    • 2005
  • For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track drive unit(TDU), firstly, we analyzed the major failure modes through FMEA(failure mode & effects analysis), FTA(failure tree analysis), and 2-stage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and then quantitatively determined the priority order of test items. The Minitab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prediction of life distribution and parameters of TDU by use of field failure data collected from 430 excavators for two years. In addition, we converted the fluctuation load in field conditions into the equivalent load, and for evaluation of the accelerated lift by the cumulative fatigues, the equivalent load is again divided into the fluctuation load by reference of test time. And then, by use of the test method in this paper, the acceleration factor(AF) of needle bearing inside planetary gear which is the most weakly designed part of TDU is achieved as 5.3.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selection method of test items for reliability evaluation,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time, and the method of non-failure test time based on a few of samples. And, we proved the propriety of the proposed methods by experiments using a TDU for a 30 ton excavator.

  • PDF

헬기용 와이퍼 조립체의 가속모델 및 가속수명시험 설계 연구 (A Study on Accelerated Life Testing Model and Design)

  • 김대유;허장욱;전부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4-903
    • /
    • 2018
  • In the case of helicopters, the development of parts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and the complexity is rapidly increasing. Particularly, the surge of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systems is recognized as a problem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helicopter. 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liability evaluation in the face of the problem of confirming and certifying the reliability of parts in the development stage.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wiper system was carried out, and the priority and importance of each failure mode were checked by using the results, and major stress factors were derived and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model was selected. Also, the accelerated lifetime test tim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ife test time, acceleration status and acceleration level of the steady state by using the selected acceleration model and characteristic values.

화력발전소 CWD(Cooling Water Discharge)를 활용한 해양소수력 개발의 기술적인 고찰(화력발전소 CWD와 조위특성과의 Harmony)

  • 엄복진
    • 열병합발전
    • /
    • 통권69호
    • /
    • pp.15-20
    • /
    • 2009
  • 소수력 계획 시 개발지점에 대하여 수많은 자료와 정보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특히 해당지역내의 유량분포에 대한 유황자료는 개발의 판단여부를 결정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수력발전소의 설비용량에 직접 관계되는 설계유량의 결정과 재해방지를 위한 유출의 예측을 가능케 하고 발전소운영 시 가동률 및 경제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용한 요소이나 여기서 논하는 소수력개발은 하천이나 댐과 같은 유형이 아니라 일정한 유량을 확보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계절별 부하에 따른 냉각수량의 변화 및 소수력 발전유량의 변동, 조위(해수면)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을 위한 수문은 이들의 변화에 따라 자동운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운전시 발전정격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수문을 조절한 다음 Turbine Governor에 의해 유량 및 수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냉각수 순환수 계통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언제나 적정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축하는 것이 안정이라 볼 수 있다. 소수력발전설비 및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때 수위가 상승하여 냉각계통에 손실수두 증가, 취수펌프의 양정고 증가와 Surge 발생 등으로 발전소의 정상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어야 하므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폐쇄시간과 수압상승 값 등 요인 분석후 설계하여야 한다. Figure A와 같이 국내 화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발전소에 따라 ca.70~150 CMS로 ca.2,000~5000 kW 이상의 수력에너지(H=4m 형성 기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어 이 수력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오래전부터 검토하여 왔다.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발전 방식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고온 환경 조건에 대한 모니터링용 피에조 센서의 수명 평가 (Life assessment of monitoring piezoelectric sensor under high temperature at high-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 박창희;황현중;홍창호;김진섭;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09-523
    • /
    • 2023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은 고온, 다습, 방사선의 복합적인 환경 조건에 노출되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열화가 가속된다. 따라서 처분장에 대한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균열 탐지, 강도 추정 등을 위해 피에조 센서가 활용된다. 다만 처분 터널 및 처분 용기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센서는 교체 및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센서의 정량적인 수명을 평가하고 적합성을 판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속수명시험을 활용하여 모니터링용 피에조 센서에 대한 수명을 평가하였다. 고온 조건에서 나타나는 피에조 센서의 고장 모드와 고장 메커니즘을 도출하였으며 온도 스트레스가 피에조 센서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온도 스트레스에 대한 가속수명시험을 수행하여 와이블 수명 확률 분포 및 아레니우스 가속모형을 통해 온도 스트레스와 피에조 센서 수명 간의 관계식을 제시하고 수명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온도 스트레스와 수명 간의 관계를 통해 보다 정확한 수명 평가를 위한 복합스트레스 가속수명시험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상태기반정비에 의한 증기터빈 저널베어링의 정비주기 최적화 (Maintenance Frequency Optimization of the Steam Turbine Journal Bearings by Condition-based Maintenance)

  • 이혁순;정혁진;송우석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7-13
    • /
    • 2011
  • Turbine journal bearings are designe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rotors on a hydrodynamic oil film and to provide dynamic stability to the rotor system. The life time of journal bearings is infinite theoretically because the journal bearings are separated from the shaft journal by oil film. But poor design, assembly, operation and maintenance can cause problems to the journal bearings. The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results of the journal bearings show that frequent maintenance of the journal bearings can cause failures and reduction of the bearing life. Therefore, the maintenance periods and history of the journal bearings with the bearing FMEA results are review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ized maintenance period of the journal bearing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best condition of lubrication system, reject time-based maintenance and perform the condition-based maintenance of journal bearings in order to maintain optimum condition of the journal bearing.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열차제어시스템 RAMS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MS Analysis of Urban Maglev Train Control System)

  • 윤학선;이기서;류승균;양동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15-525
    • /
    • 2011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에 적용된 유도무선루프방식 열차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최상위 레벨에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분류, 기능 분석을 시행하고 차상신호설비, 지상신호설비로 나누어 신뢰도, 가용도, 유지보수도 및 안전도를 수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RAM 분석은 신뢰도 블록도(RBD)를 각 장치별로 적용하여 시스템 서비스 가용도를 산출하였고, 안전도 분석은 PHA(예비위험원 분석), FMEA (고장모드영향분석), HAZOP을 통한 각각의 정상사상(Top Event)의 FTA(고장트리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여 RAMS 목표 값에 도달함을 수식을 통하여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