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유어종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저온 브라인 침지에 의한 생선횟감의 어종별 사후 물리적 변화의 차이

  • 박대찬;이기봉;김태진;한인근;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0-151
    • /
    • 2001
  • 생선회 맛은 법을 때에 이빨로 느끼는 촉감, 즉 육질의 단단함에 의하여 결정되며, 육질이 단단한 어종일수록 고급 횟감으로 취급한다. 육질의 단단함에는 어종에 따라서 결정되는 고유의 단단함(background toughness)과 근육의 수축에 의한 단단함(actomyosin toughness)으로 나누어진다. 생선회 고유의 단단함은 근육 중의 collagen의 함량 및 분포형태에 따라서 결정되고, 근육의 수축에 의한 단단함은 근육이 수축되면 myosin과 actin의 결합에 의한 actomyosin복합체 형성으로 근육에 장력이 발생하여, 근육의 수축에 의한 육질의 단단함이 상승한다. (중략)

  • PDF

Fishfauna of the Taebaeksan Area Streams (태백산 일대 계류의 어류상)

  • 심재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4
    • /
    • pp.401-407
    • /
    • 2002
  • Fishfauna were investigated in the Taebaeksan area streams. At the upper tributary of the Han River, 8 species of 4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Rynchocypris oxycephalus. The two species, Rynchocypris kumgangensis and Silurus microdorsalis were Korean endemic species.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and vulnerable species was confirmed at the Jeongam-sa area streams At the upper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collected fishes were identified as 14 species of 7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as R. oxycephalus and subdominant Zacco temmincki. Korean endemic species were 8species(51.7%),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Niwaella multifasciata,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were confirmed at the Hyundong-Chon Stream and Baek-chon stream.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Fish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HSI) 산정)

  • Lee, Jong Jin;Hur, Jun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5-48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수생태 건강성이 악화된 지점, 장기간 수질이 악화되거나 수위가 저하된 지점, 보호종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 서식지적합도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산정하였다. 현장조사는 하천유량이 감소하는 4월부터 6월 사이 총 4회 실시하였고, 투망과 족대를 이용해 어류 채집하였다. 어류의 서식지 특성 조사를 위해 채집 지점에서 수심, 유속, 하상재료를 조사하고 기록하여 엑셀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천 단면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WDFW(Washington Dept. of Fish and Wildlife) 방법을 이용하여 어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에서 실시한 어류 조사 결과는 전체 9과 35종 2,227개체이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의 대표어종을 선정하기 위해 법정보호종, 유영성종, 고유종, 기타 중요종을 검토한 다음 각 지점별 대표어종, 대리어종, 유사어종 등을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전반에 걸쳐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낙동강 상류지역에는 모래무지, 하류에는 수수미꾸리와 유사한 종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전역에 걸쳐 서식하고 있는 피라미는 가능한 대표어종에서 제외하고, 보호종과 고유종을 중심으로 대표어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상류 내성천 합류전 지점에서는 피라미, 내성천에서 참마자, 위천에서 참몰개, 갑천에서 돌고기, 황강에서 모래무지, 금호강에서 돌마자, 밀양강에서 쉬리. 남강에서 피라미, 형산강에서 참갈겨니, 태화강에서 피라미로 대표어종을 각각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지점별 대표어종에 대한 수심, 유속, 하상재료 조사 자료를 이용해 대표어종에 대한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최근 갈수기 유량 감소로 생태계가 위협받는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하천의 정상적인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유량이 필요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를 활용해 갈수기 어류 서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결정하거나,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목어 (Brachymystax lenok)의 생식선자극호르몬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연구

  • 최은주;진덕희;손영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48-249
    • /
    • 2003
  • 경골어류의 뇌하수체에서는 두 종류의 생식선자극호르몬 (GTHs; FSH와 LH)이 생산된다. 이들 호르몬들은 공통적인 $\alpha$ 쇄와 특이적인 $\beta$ 쇄를 가진다 (Querat, 1995). 연어과 어종들에서, FSH는 난황형성과 정자형성의 역할을 하며, LH는 배우자의 최종성숙을 유도한다 (Blazquez et al., 1997; Swanson and Dittman, 1997). 냉수성 고유어종인 열목어의 멸종을 방지하고 번식시키기 위한 생명공학적 연구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GTH$\alpha$, FSH$\beta$와 LH$\beta$ 쇄를 발현벡터에 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중략)

  • PDF

Ichthyofauna from Reservoirs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경상북도 경주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 Yoo, Dong-Jae;Han, Kyeong-Ho;Yim, Hu-Soon;Seo, Won-Il;Lee, Sung-Hoo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1 no.1
    • /
    • pp.38-46
    • /
    • 2009
  • The ichthyofauna in certain reservoirs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from August 17 to September 22,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22,747 individuals belonging to 25 species, 20 genera, 9 families and 4 orders were collected. Of these, 14 species were cyprinid fish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52.28%). There were six Korean endemic species (8.51%), including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mulimaculatus,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the dominant species wa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7.59%). There were six introduced species (25.00%), of which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fulvidraco and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stream systems (20.99%), and Cyprinus carpio (Israeli), Carassius cuvieri and Lepomis macrochirus were exotic species (4.01%).

Fluctuation of Introduced Fish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sh Community in Lake Soyang (소양호의 도입어종 변동과 어류 군집 특성)

  • Byeon, Hwa-K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9 no.3
    • /
    • pp.401-409
    • /
    • 2015
  • The fish community and introduced fish were surveyed at eight stations of Lake Soyang from March to October, 2013. A total of 41 species of twelve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stations and among them, two species: Hemibarbus mylodon and Siniperca scherzeri (albino type) were identified as natural monument. There were fifteen Korean endemic species (36.6 %) includ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When compared with previous data (2003), A. yamatsutae, Pseudorasbora parva,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Orthrias nudus, Leiocassisuss ussuriensis, Oncorhynchus mykiss, and Micropterus salmoides appeared new in the lake. Dominant species were Hypomesus olidus (St. 1, 3, 6, 7, 8), Lepomis macrochirus (St. 2, 4) and Zacco platypus (St. 5). Of the 12 introduced species fishes in Lake Soyang, Anguilla japonica, Hemiculter eigenmanni, H. nipponensis, Rhinogobius giurinus and Tridentiger brevispinis were introduced and released from other native river water zones in Korea but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Carassius cuvieri, O. mykiss, Ictalurus puntatus, L. macrochirus, and M. salmoides originated from foreign countries.

제주도 연안에서 채집된 한국미기록어종 5종

  • 김병직;고유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7-338
    • /
    • 2003
  • 제주도의 어류상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 Kim and Lee (1994)는 4미기록종을 포함하여 총 140과 470종을 보고하였고, 유 등 (1995)은 수중사진에 근거한 46종의 미기록종을 소개하면서 제주연안에 출현하는 148과 501종의 목록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 출현하는 어종의 절반에 가까운 종수로, 그 이후에도 제주연안에서는 많은 미기록어종이 출현 보고가 있는 등 제주도는 어류분류학 연구의 요지로 일컬어지고 있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the Benefits from the Water Ecosystem Improvement through Environmental Flow (환경생태유량 공급 편익 산정)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0-90
    • /
    • 2018
  • 환경의 가치, 특히 물의 가치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하천관리는 환경적 측면보다는 이수와 치수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하천 고유의 수생태계 서비스기능 유지에 필요한 용수의 확보에 정책적인 배려가 부족하였다. 그러나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환경개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물관리에 있어 이용뿐만 아니라 환경측면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하천 수생태에 대한 정책 역시 과거보다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물환경보전법 공포를 통해 수생태건강성 유지를 위한 환경생태유량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바 있다. 실질적인 환경생태유량 공급 정책방안 마련을 위해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하천 수생태에 주는 효과에 대한 편익 정보를 산정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편익을 산정해 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비시장재화 가치평가법인 선택실험법을 적용하였다. 한편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를 하천의 주요 어종 관련 지표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환경생태유량 공급에 대한 편익산정시 하천고유어종 변화, 하천 어종 수 변화, 외래어종 변화의 3가지 속성에 대한 한계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수행, 특히 수생태계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결정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 and Assessment of Ascending Capability for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소상 실험 및 평가)

  • Kang, Joon-Gu;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265-278
    • /
    • 2016
  • In this study, an ascending capability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which are exotic fish species inhabiting (the freshwaters) in Korea.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subject fish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at four flow rates for each group. The number of fish passing through a reference line was analyzed by recording videos, and their swimming and ascending capabilities were observed by the naked eye. The number of fish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line did not include those returning downstream within five minutes due to the high flow rate. The flow rate used for the analysis was the mean of the flow rate values measured at the left bank, the right bank, and in the middle of the stre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exotic fish migrating upstream decreased as the flow rat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species and size of the fish.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sh species showed that the ascending capability of bass was higher than that of bluegill,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fish. In addition, the upper limit flow velocity allowing the ascending of the exotic fish species was 1.11 m/s, when considering the fish returning to the downstream after the upstream migration and experimental err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may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blocking of fish and the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by means of a high flow rate current. Further experiments, verification, and monitoring may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to determine whether the fish are able to pass through the reference line at a high flow rate, when they attain a high or cruising velocity. Additionally, the reaction of the fish species should be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 response to external forces as well as pressure differences due to the flow rate.

Fishfauna of the Baekdudaegan (Manbokdae-Siribong) Mountain Area Streams (백두대간(만복대~시리봉) 일대 계류의 어류상)

  • 심재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403-408
    • /
    • 2003
  • Fishfauna were investigated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area (Manbokdae-siribong) streams. At the uppertributary of Seomjin River, 17 species of 5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ki. Korean endemic species were six (35.3%) species, Acheiognathus kore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u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Iksookimia longicorp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Only Lampetra reissneri designated as a vulnerable species, was confirmed at the stream. At the upper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collected fishes were identified as 11 species of 3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cki, and two species (18.2%), Squalidus gracilis. majiimae and Ikosokimia longicorpus were Korean en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