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 양극화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zing employment trends in response to AI exposure: K-shaped labor polarization in Korea (인공지능 노출 정도에 따른 고용 추세 분석: K자형 고용 양극화)

  • Lee, Yeseul;Hwang, Hyeonj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30 no.3
    • /
    • pp.69-91
    • /
    • 2023
  • The impac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on employment is a matter of ongoing debate, with discussions on the effects of AI technology development on employment being particularly scarce. This study employs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SBERT) and patents to calculate an occupation-based AI exposure score and to analyze employment trends by group. It proposes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AI exposure score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Korean patent information and US job descriptions and linking SOC(U.S.) and KSCO(Korea). The analysis of domestic AI patent applications and regional employment data in the KOSIS Database since 2013 reveals a K-shaped polarization pattern in Korean employment trends among groups with above and below average levels of AI exposure.

The Hollowing-Out of Middle-Skill Jobs and Its Impact on Jobless Recoveries in Korea (중숙련(middle-skill) 일자리의 감소가 고용 없는 경기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Nam Ju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8 no.3
    • /
    • pp.53-95
    • /
    • 2015
  • This paper first constructs an occupation code-skill match for the Korean labor market by following Autor-Dorn classification on the tasks framework. Over the last 34 years, middle-skill jobs have vanished enormously, while high-skill and low-skill jobs have both increased. Also, jobs have polarized more rapidly in recessions and changed uniquely by pushing old workers into middle and low-skilled jobs and the inter-sector reallocation of workers. Furthermore, jobless recoveries in the recent business cycle could have been alleviated considerably if job polarization had been mitigated.

  • PDF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 social integrative law & institutions and labour market policy (노동시장양극화와 사회통합방안 - 사회통합적 법·제도와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 Lee, Ho-Geun
    • 한국사회정책
    • /
    • v.20 no.2
    • /
    • pp.261-304
    • /
    • 2013
  • This article is aiming intensively to analyze the polariz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s being regarded as one of the hottest issues not less important than those problems of economic growth, employment, income distribution and national security etc. in the national policy.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follow up the important phenomena of labour market polarization and the background as well as its consequence. Especially, it asks if the present labour policy in the new government which is now being concentrated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from the present 63% to the 70% in the future) could deserve to diminish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n korea. At one side, this article makes the special attention on the diversify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the various phenomena of fragment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labour market according to the forms and types of employment and according to the employee's status as much as the company's size. At the other side, it emphasizes that to overcome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should require the wide reform from the legal measure to the improvement of the wage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social investment as well as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approach between the active market policy and the social policy instead of choosing each policy option, seperatively.

극미세 공정조직 양극화 Ti-, Mg-합금의 개발 및 변형거동 연구

  • Song, Gi-An;Pi, Dong-Hyeok;Kim, Gi-Beom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0.2-40.2
    • /
    • 2009
  • 일반적으로, 극미세 공정조직은 높은 강도를 나타내지만 낮은 연성을 가지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극미세 공정합금의 연성을 증대시키고자, 상대적으로 연한 고용체 또는 경한 금속간 화합물을 마이크로 크기의 초정상으로 형성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크기의 초정상은 극미세 공정합금의 연성을 증가시키기에는 효과적이지만, 강도가 큰 폭으로 낮아지는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공정조직 만으로 이루어진 극미세 공정합금의 연성을 증대시키고자, 공정조직의 형상 및 구성상을 조절하는 등의 연구가 발표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 Mg-계 합금에 양극화 공정조직을 유도하여 극미세 공정조직 양극화 Ti-, Mg-합금을 개발, 이러한 불균일성을 내포한 양극화 공정조직이 극미세 공정조직 양극화 Ti-, Mg-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 PDF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 서울의 사례)

  • Yim, Seok-Hoi;Lee, Y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70-279
    • /
    • 2002
  •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뚜렷한 변화의 하나는 빈부격차의 확대와 함께 사회계층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사회적 양극화가 공간적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서울을 사례로 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서구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이미 1990년대 초 세계화 또는 세계도시가 주요한 연구주제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선진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계에 도달한 포드주의 축적체계가 포스트 포드주의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사회적 양극화가 자본의 유연화 및 세계화 전략과 맞물리는 현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서구 선진국과 유사하다.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지식기반경계의 대두로 고소득 전문직이 등장하는 반면, 중산층의 몰락과 더불어 임시적 고용이 확대되고 실업이 만성화되는 등 자본의 세계화와 유연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극화 양상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IMF 경제위기는 단지 그러한 사회적 양극화를 급속히 진행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의 격차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특성을 갖는다. 왜곡된 시장구조에서 무엇보다도 부동산과 같은 자산소득의 격차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서울은 이와 같은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가 한 도시 내에서 전형적으로 전개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내 어떤 도시보다도 세계화되어 있고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사회적 양극화는 공간적으로도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서울은 크게 주거지로서는 공동화되고 있는 중구 종로구 용산구 등 사대문안의 구도심지역,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이후 계획적으로 계발된 이른바 강남의 신흥주택 및 신산업 지역,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 제조업 중심의 구 산업 및 저소득층 주거지역 그리고 그 나머지 강북 강서 강동 등의 전형적인 주거지역 등 4개 유형으로 지역이 구분된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이후에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하는 고소득증의 주거지와 그 나머지 주거지로 공간적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 양극화의 이와 같은 공간화 과정에는 자산소득의 격차를 확대하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높은 지가 및 아파트 가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높은 부동산 가격이 이 지역에 대한 일종의 진입장벽을 참음으로써 고소득층에 의한 공간독점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공간적 양극화를 촉진하는데는 지하철 및 문화복지시설의 집중 둥 불균형적인 공공투자와 강북에서 이전한 명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8학군 등 양호한 교육환경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에서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이라는 일반적인 요인 외에도 부동산 가격 및 소득 그리고 생활인프라의 격차를 통해 공간적 양극화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내 다른도시에서도 전개되고 있는지, 공간적 양극화로 인한 도시문제는 무엇이고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Computerization, Occupational Choice and Job Polarization in the Korea Labor Market (컴퓨터화, 직업선택, 그리고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고용의 양극화)

  • Kim, Sung-mi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5 no.1
    • /
    • pp.21-54
    • /
    • 2012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consequential occupational choices do influence the recent Korea labor market. Following Autor, Levy and Murnane (2003) and Autor, Katz and Kearney (2006), it shows that decreasing price of computer assets raises relative wages for nonroutine tasks and the self-selected occupational choices with increasing demands for computerization in routine tasks would be a main cause for the job polarization in the labor market.

  • PDF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고용문제와 노동조합 대응: 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 Kim, Seong-Hui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377-413
    • /
    • 2008
  • 세계 경제의 환경 변화로 제조업 부문은 경쟁 압력과 함께 구조조정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 산업은 대표적인 장치산업이란 특징으로 인해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신규 설비투자가 한국 석유화학 산업에 커다란 구조조정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정책대안의 1순위로 꼽는 인수합병 계획으로 인해 대규모 고용조정과 함께 비정규직 증가가 초래될 가능성이 크다. 석유화학산업의 고용형태는 '핵심-주변'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구조조정 = 비정규직 증가'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구조조정 대응 사례를 통해 정부의 능동적 개입과 노조의 적극적 대안 추구 노력이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문제의 해결책을 마련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석유화학산업의 당면 과제인 산업 내 양극화를 극복하고 산업연관체계를 재구축하기 위한 능동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지역차원의 고용안정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지방정부의 능동적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도급구조로 이원화된 노동력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건설플랜트노동자를 비롯해 하청구조 하의 다양한 비정규직의 이해를 반영하는 교섭틀 구축이 중요하다. 노동조합은 전체 노동자를 포괄하는 위치에서만 산업정책에 대한 개입력을 높여나갈 수 있다. 사회연대적,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라는 새로운 정체성 하에서만 적극적인 산업재편 개입전략의 토대를 형성할 수 있다.

Promoting Employment i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Secto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지역사회기반 사회서비스 분야 고용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 Lee, Hyoung-Ha;Chung, Su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238-248
    • /
    • 2009
  • This paper searches for programs for creating increased employment in local society in important occupation sector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insur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culture and arts, housing and environmental service fields. As part of an improvement plan, while strengthening investment in education training infrastructure for the suppliers of social service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necessary. Also necessary are identifying model social enterprises that are based upon joint efforts for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publicity efforts necessary.

비정규직 문제와 노동계급 계급균열: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비정규직 의식 비교

  • Jo, Don-Mu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169-200
    • /
    • 2008
  • 노동계급은 다양한 형태의 내적 이질성을 지니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이질성은 계급균열로 발달하며 노동계급 내적 이질성 논의의 핵심을 구성하게 되었다. 국내의 선행 연구들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존재조건의 양극화 추세와 사회적 관계의 위계적 배제적 성격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계급균열이 극복되고 노동계급의 내적 통합과 계급형성 과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계급균열의 극복과 노동계급 통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계급균열의 핵심인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 비정규직의 의식 수준의 비교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는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노동조합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연구를 통해 계급균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원인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를 보임으로써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균열은 존재하며, 경제위기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내적 균열이 비정규직 문제 인식과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의식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 유의미한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이해관계의 차이 때문이다. 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성과 노동조건의 개선을 허용하더라도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위협받지 않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동질성을 보이지만 구체적 대안에서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정규직 노동자들의 의식의 양면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물질적 이해관계에 기초한 개인적 수준의 합리성과 계급적 원칙에 기초한 계급적 수준의 합리성이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정규직 노동자들의 주관성 속에서 개인적 합리성과 계급적 합리성이 갈등하는 정도는 노동조합 가입 여부 및 소속 노동조합의 정체성, 즉 이익집단 정체성 혹은 계급조직 정체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계급조직 정체성을 지닌 민주노조들이 노동계급 계급균열을 극복하고 계급형성을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가 있다.

Task-Biased Technological Change, Occupational Structural Change, and Wage Premium in Local Labor Market Areas, Korea (업무편향적 기술변화에 따른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임금 프리미엄 영향요인)

  • Changhyun Song;Up Lim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4
    • /
    • pp.33-5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occupational groups by job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wage premiums in local labor markets from 2010 to 2020. This study's analysis involves three primary steps. First,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data from the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 are subjected to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a non-routine task intensity index is calculated by each occupations. Then, we conduct an exploratory analysis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employment by occupation from 2010 to 2020 by combining data from the Population Census with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o construct individual-level and regional-level data. Thirdly, we emplo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examine the individual-level and regional-level factors influencing wage premiums. Since 2010,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in occupations requiring non-routine task has continued to rise and now dominates the metropolitan labor market. Moreover, agglomeration effects resulting from urbanization produce a substantial wage premium for wage workers in occupations requiring non-routine task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mitigat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local labor marke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occupational structure and wage inequality in relation to the local labor market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