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용변동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Water Balance and Groundwater Head Variation in Watershed (유역물수지와 지하수위변동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 Chung, Il-Moon;Kim, Nam-W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93-697
    • /
    • 2007
  •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유역물수지 모형 또는 지하수위 변동곡선법등이 활용되어 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지역내의 지하수 관리계획을 위해서는 유역물수지 모형이 적합한 반면, 실제(actual) 함양량의 정확성 문제가 있으며, 지하수위 변동곡선법은 실제 지하수의 증감을 통해 실제 함양변화를 잘 표현하는 반면, 그 영향권이 관측공에 의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방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역유출모의와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문학적 과정으로 함양을 분석하기 위해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유동해석 모형인 MODFLOW의 결합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유출해석을 수행한다. 실제로 하천변에 위치한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위는 하천유출시계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상류 경사지에 위치한 관측공의 지하수위는 토양수의 지체와 감수현상을 나타내므로 이같이 시간적으로 상이한 지체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모형내의 비포화대를 통과하는 함양의 거동을 기존의 단일 저수지 모형에서 다단 저수지 모형으로 개선하고 지체함수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보정함으로써 모의 함양 시계열과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모의 및 관측 지하수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인 지하수 분포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함양량 산정 절차가 완성된다. 이같은 일련의 절차는 기존의 유역물수지 모형과 지하수위 변동법을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기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pm}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sim}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

  • PDF

Employment Structure and the Ratio of Downsized Workforce (고용구조와 정리해고·명예퇴직의 비율)

  • Lee, Kyuyong;Nho, Yongjin;Cheon, ByungYou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4 no.3
    • /
    • pp.39-6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firms' workforce reduction ratio in Korea, utilizing a dataset surveyed by Korea Labor Institute in 1999. We hypothesize that firms' employment structure has an effect on their workforce reduction ratio.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ratio of the layoffs and/or the buyouts is higher, as the average tenure of employees is longer.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unionization as a proxy variable for the intensity of the seniority-based pay moderates positively the effect of employees' tenure on the workforce reduction ratio, implying that the more seniority-based the pay system is, the higher positive effect the average tenure of employees has on the workforce reduction ratio.

  • PDF

한국기업(韓國企業)의 초과근로시간(超過勤勞時間)과 신규고용간(新規雇傭間)의 상대적(相對的) 노동비용(勞動費用)

  • Jang, Hyeon-J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2
    • /
    • pp.25-37
    • /
    • 1987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우리나라에 장시간근로가 행해지고 있는 데 원인을 규명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초과근로시간(超過勤勞時間)과 신규고용간(新規雇傭間)의 상대적(相對的) 노동비용(勞動費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이론모형(理論模型)의 활용(活用) 대신에 수식(數式)을 이용하여 비용을 직접 계측(計測)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근로자(勤勞者)는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업의 초과근로시간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통계자료는 노동부의 각종 공식 발표통계와 기업별(企業別) "서베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로 볼 때 초과근로시간(超過勤勞時間)에 따른 노동비용(勞動費用)이 신규고용(新規雇傭)의 경우에 따른 비용의 72%에 달하였다. 초과근로시간으로 인한 노동비용(勞動費用)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된 이유는 기업(企業)의 임금체계상(賃金體系上) 정규임금(正規賃金)의 비중(比重)이 낮고 비임금노동비용(非賃金勞動費用)이 높은 데 있었다. 한편 산업별(産業別)로는 섬유(纖維) 의류(衣類) 신발 등 비교적 노동집약적(勞動集約的)이며 저임금부문(低賃金部門)이 집중되어 있는 산업에서 신규고용(新規雇傭)에 대한 초과근로시간의 상대적(相對的) 노동비용(勞動費用) 비율(比率)이 낮게 나타났으며 기업별(企業別)로는 규모가 클수록 이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임금체계를 점차 기본급(基本給) 위주로 바꾸어 나가고 실업보험제(失業保險制)를 도입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근로시간(勤勞時間)보다는 고용수준(雇傭水準)을 경기변동에 맞추어 조절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경제위기(經濟危機) 이후(以後) 노동시장(勞動市場) 정책방향(政策方向)

  • Yu, Gyeong-J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105-146
    • /
    • 1999
  •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두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실업과 분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초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수십년 동안 경험을 축적한 OECD국가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OECD국가에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개별기업의 상황에 맞게 임금결정구조의 분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의 결정은 과거의 물가상승률이나 생산성 증가 등의 지수화에 의존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물가상승의 예측치만큼 설정한 후 그 변동분은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소득정책협약(income policy agreements)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성과를 기존의 취업자 외에 실업자와 신규근로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한 일자리의 창출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었다는 점이 유럽과 미국에서 발견된 경험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분배의 상충관계(trade-off)를 염두에 둘 필요는 있으나, 일자리의 창출은 일자리를 가짐으로써 불평등도를 개선하는 고용효과(employment effect)가 임금격차의 발생으로 불평등도를 확대시키는 임금효과(income effect)를 상쇄할 경우 오히려 분배구조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 PDF

II. 잠업경영의 개선방향

  • 이질현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21 no.2
    • /
    • pp.26-30
    • /
    • 1979
  • 우리나라의 잠사업은 1960년대초부터 외화획득을 위한 전략산업으로서 급진적 성장을 이룩하여 1965년에는 생사수출이 총농산물 수출액의 44%를 점유한 때도 있었다.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국제적 여건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잠사업부문은 \circled1 농가의 현금소득 기회의 증대 \circled2공업화초기의 외화습득수단 \circled3 계촌유휴노동력의 고용증대 \circled4 유휴국토 이용율의 증대 \circled5농촌공업화의 촉진등 그 역할은 지대하였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the employment ratio by industry using constrainted forecast combination (제약하의 예측조합 방법을 활용한 산업별 고용비중 예측)

  • Kim, Jeong-W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257-267
    • /
    • 2020
  •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employment ratio by the export industry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methods and verified whether the predi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y applying the constrained forecast combination method to these predicted values. In particular, the constrained forecast combination method is known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and stability by imposing the sum of predicted values' weights up to one.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io of each industry, and so we adopted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method that allows efficient use of machine learning methods. As a result, the constrained forecast combination showed more accurate prediction performance than the predicted values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and in particular, the stability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constrained forecast combin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machine learning methods.

A study on the change of total fertility rate in regional level : An analysis using the panel data

  • Kim, Dok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5
    • /
    • pp.77-86
    • /
    • 2021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hange of the total fertility rate(TFR) in regional level and analysing what different effects the local labor market and housing market have on the change of TFR.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 job and housing issues of the youth are structural factors on the decline of TFR. However, considering that youth problem is variant in local level, the relationship of job and housing issues with TFR could be different in local level. This study analyses what effects the situation of local labor market and housing market have on the TFR from 2012 to 2018 in regional level. The result is that the employment and housing factors have different effects on capital areas and non-capital areas. While the high cost of housing has negative effects on TFR in capital areas, it has rather positive effects in non-capital areas. However, labor market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on TFR.

Estimating the Structure of the Short and the Long Run Variations in the Domestic Youth Unemployment (국내 청년실업의 단.장기 변동구조 추정)

  • Kim, Tae-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2
    • /
    • pp.201-210
    • /
    • 2008
  • The government employment statistics show the close comovement of the whole domestic unemployment rate with the youth unemployment rate for the past 10 years, implying the dominant influence of the unemployment of the youth 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the short-run variation and the process of the long-run adjustment in the unemployment rates of the youth and middle ages by formulating the dynamic equation system. The estimation result consistently reflects the vulnerability of the youth class in the aggravation of the employment condition. The effect of exogenous changes is found to be persistent in the unemployment rates of both ages, which appear to have similar structures of the long-run time path. However, the youth unemployment rate turns out to have a relatively long adjustment process to the long-run equilibrium.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of GDP Gap by a Decomposition Method (GDP갭 분해기법을 이용한 변동요인 분석)

  • Chang, You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3
    • /
    • pp.387-396
    • /
    • 2014
  • The GDP gap (also called the output gap) is the difference between potential GDP and actual GDP. Potential GDP is the maximum sustainable output that is achieved when the resources (labor and capital) are used to capacity. Central banks pursuing price and employment stability consider the output gap as an informative variable for monetary policy since the output gap could be regarded as a proxy of demand-supply imbalances. In this paper, the GDP gap of Korea is decomposed following the filtering metho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variation of GDP gap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decomposed series. The analysis results by the Super Smoother algorithm used in Fox et al. (2003)and Fox and Zurlinden (2006) are found consistent with theory. Much of the variation of nominal GDP gap is explained by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ap, which is the change of productivity due to 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It is also found that variation of terms of trade significantly affects the GDP gap of Korea due to its high dependency on international trade; however, the effect of the domestic price is not negligible like other countrie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Pandemic Recession and Resilience: Focusing on the Urban Employment Crisis and Recovery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와 회복력의 지역적 특성: 도시 고용위기와 회복을 중심으로)

  • Yim, Seokhoi;Song, Juyo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281-298
    • /
    • 2022
  • The COVID-19 pandemic has so far given the world a great shock and fear that cannot be compared to other infectious diseases, and local economies are experiencing a serious economic crisis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conomic recession and resili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employment fluctuations in 85 cities nationwide. Although the overall trend is in line with national employment indicator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hock response and the recovery of employment in individual cities. The difference between cities is somewhat greater in the resilience of the recovery stage than the resistance, which is the shock-response stage. In terms of resilience, cities in the capital area have relatively good condition compared to cities in the non-capital area. The weak resilience of large cities such as Seoul, which has a high population density, can be explained to be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Regarding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city, the ratio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wholesalers and retailers, and food and lodging businesses are analyzed as valid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resilience of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