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온 황화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Behaviour of High Temperature Corrosion of Fe-22Cr-5Al-X(X=Zr,Y) (Fe-22Cr-5Al-X(X=Zr,Y)합금의 고온 부식거동에 관한 연구)

  • Lee, Byeong-U;Park, Heung-Il;Kim, Jung-Seon;Lee, Gwang-Hak;Kim, Heung-Si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0
    • /
    • pp.898-907
    • /
    • 1997
  • Fe-22Cr-5AI-X(X=Zr, Y)합금을 1143K, 고온 황화(P$s_{2}$=1.11x$10^{-7}$atm, P$O_{s}$ =3.11x$10^{-20atm}$) 및 황화/산화 (P$s_{2}$=8.31x$10^{-8}$atm, P$O_{s}$ =3.31x$10^{-18atm}$) 환경의 복합가스 분위기에서 1-30시간동안 노출하여 합금표면에 형성된 부식층을 관찰하여 SEM/EDS로 분석하였다. Fe-22Cr-5AI합금은 고온 부식환경에서 부식 생성물의 성장은 포물선법칙을 따르고 주요 성분은 결함이 많고 다공질인 철과 크롬의 황화물[(Fe, Cr)Sx]이므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Zr을 1wt%첨가한 Fe-22Cr-5AI합금의 고온 부식거동은 Y을 1wt%첨가한 합금과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황화환경에서는 Cr의 선택 황화에 의한 크롬 황화물(CrS)이 생성되고 노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Fe, Cr)Sx나 (Cr, Fe)Sx 등의 황화물의 성장으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황화/산화환경에서는 초기에는 알루미늄산화물(A $I_{2}$ $O_{3}$)및 지르코늄산화물(Zr $O_{2}$)등이 생성되어 보호적이었으나 15시간이후 부터 (Fe, Cr)Sx나 (Cr, Fe)Sx 의 황화물의 성장으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 PDF

Study on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Zn-based solid sorbents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0.3 bbl/d CTL(Coal-to-Liquid) process integrated with coal gasifier, F-T process and hot gas desulfurization process (석탄가스화기, F-T 공정, 건식탈황공정이 통합된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CTL) 공정에서 고온, 고압 연속운전에서 아연계 탈황제의 탈황 성능 파악)

  • Park, Young Cheol;Jo, Sung-Ho;Jin, Gyoung Tae;Lee, Seung-Yong;Yi, Chang-K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7.2-107.2
    • /
    • 2010
  • 고온건식탈황기술은 고온고압에서 석탄가스에 함유된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기술로 석탄가스화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석탄가스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이 높은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으로부터 합성원유를 생산하는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CTL)공정의 연계운전을 통하여 건식탈황공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공정은 석탄가스화기, 건식탈황공정, 액화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0 atm의 고압에서 운전된다. 건식탈황공정은 석탄가스화기와 액화공정 사이에 위치하여 석탄가스화로부터 생성된 석탄가스에 함유된 황화합물을 아연계 건식탈황제에 의해 제거한 후 액화반응기로 공급하여 황화합물에 의한 촉매의 피독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두 개의 기포유동층 반응기로 구성된 탈황장치를 30 atm에서 운전이 가능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실제 운전압력인 30 atm의 고압에서 연속운전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탈황효율은 99% 이상이며 탈황반응기 출구 황화합물의 농도는 1 ppmv 이하로 유지하였다.

  • PDF

Behavior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Coals (석탄의 고온열분해시 황화합물의 거동 연구)

  • 정봉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3
    • /
    • pp.269-275
    • /
    • 2002
  • Experimental studies are carried out to find the behavior of sulfur compounds which are evolved during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coals at the smelting reduction process for iron ore. Three kinds of bituminous coals, such as Hunter & Mt. Thorley (Australia), and Ensham (South Africa) are used. And forms of sulfur compound and their amounts are analyzed at the temperature ranges of 800~110$0^{\circ}C$. Then H$_2$S is the major gas, but CS$_2$ and COS are minor gases. Sulfur compounds in three coals are distributed into the volatiles (gas & tar) and coal char as the ratio of approximately 50%:50%, respectively.

Cu/ZnO sorbents for the hydrogen station (수소스테이션을 위한 Cu/ZnO 계 탈황제)

  • Jun, ki-Won;Bae, Jong-Wook;Kang, Suk-Hwan;Yoon, Young-Seek;Kim, Myung-J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44-347
    • /
    • 2006
  • 탄화수소 연료(LNG, LPG)를 개질하여 수소를 제조하는 연료 처리 공정 중, 탈황 기술은 촉매의 활성저하 및 전극의 피독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스 및 액화석유 가스용 부취제로 사용되는 유기 황화합물(,DMS, THT, TBM)을 제거하기 위한 탈황제로서 Cu/ZnO계 흡착제를 개발하였다. 공침법을 이용하여 흡착제를 제조하여 각 부취제별로 상온 및 고온에서의 흡착탈황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이의 특성분석을 행하였다. $Cu/ZnO/Al_2O_3$ 탈황제는 메탄으로부터 고온에서 TH, DMS, TBM+THT 등의 황화합물들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특히, TBM+THT의 혼합가스에서 TBM에 대해 선택적인 흡착을 보였다. THT 흡착에서 흡착온도가 $300^{\circ}C$ 이상에서는, 흡착과정 동안 황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금속황화물이 생성되었다.

  • PDF

Desulfurization of hot syngas using zinc oxide sorbent (산화아연을 이용한 고온 탈황 실험)

  • Jung, Kijin;Yoo, Youngdon;Kim, Narang;Kim, Mun-Hyeon;Kim, Jeongheon;Kim, Byu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77.2-177.2
    • /
    • 2011
  • 폐기물 합성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중 황화합물($H_2S$, COS)이 존재할 경우, 다른 연계 공정을 구성하는 설비의 부식, 합성가스 이용 공정의 촉매 피독 문제, 대기 배출시 환경오염 문제 등을 야기 시키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고온 정제 공정을 적용하여 황화합물을 제거하기위해 산화아연을 이용한 고온 탈황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정층 반응기에 탈황제로 선정한 산화아연을 충진하고, 공간속도 $3,000h^{-1}$, 입구 황화합물의 농도 $H_2S$ 1,000ppm, COS 300ppm일 때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탈황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스 내부에 $H_2S$가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에는 $400^{\circ}C$ 이상에서 모두 제거되었으나, $H_2S$와 COS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에는 $450^{\circ}C$ 이상에서 모두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온도 $500^{\circ}C$에서 산화아연 탈황제를 이용한 실험결과 $H_2S$, COS의 파과시간은 각각 1,217, 1,063 min, 흡착능력은 269.9 mg-$H_2S$/g-sorbent, 124.7 mg-COS/g-sorbent으로 파악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Porous Sorbents for Removal of Hydrogen Sulfide from Hot Coal Gases III. Study on Ferrite-type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 Kim, Jong-Saeng;Lee, Young-Soo;Lee, Bok-Jae;Yoo, Kyong-Ok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7 no.1
    • /
    • pp.39-49
    • /
    • 1991
  • 고온에서 황화수소(H$_{2}$S)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ZnO에 $Fe_{2}O_{3}$를 5~50 atomic %까지 첨가시켜 제조한 다공성 흡착제와 황화수소와의 반응(sulfidation)을 thermogravimetric analyzer (Shimadzu DT-30)로 수행하였으며, 고정층세서 zinc ferrite 흡착제의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반응온도는723$^{\circ}$K~973$^{\circ}$K범위이며, 반응기체는 황화수소(2vol.%)와 질소와 혼합기체로서 total gas flow rate는 200ml/min으로 고정시켰다. Grain Model을 사용하여 실험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화율이 낮을 때 zinc ferrite와 황화수소 반응의 율속단계는 화학반응이었고 황화수소 농도에 대해 1차 반응이었다. 실험한 흡착제 중 10 atomic %의 $Fe_{2}O_{3}$를 첨가하여 제조한 zinc ferrite형 흡착제가 반응속도, 흡착능, 그리고 재생성면에서 우수한 흡착제로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 of Porous Sorbents for Removal of Hydrogen Sulfide from Hot Coal Gas -I. Additive Effect of Sorbents for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고온석탄 가스에서 황화물의 제거하기 위한 다공성 흡착제의 개발-1. 황화수소가스 흡착제의 첨가물 효과-)

  • 이재복;류경옥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4 no.1
    • /
    • pp.1-9
    • /
    • 1988
  • 석탄유도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시킬 흡착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칼리 토금속, 천이원소 및 아연의 이온반경보다 이온반경이 작은 금속산화물을 산화아연에 첨가시켜 다공성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600$\circ$C에서 이들 첨가시료를 2.09vol.% 황화수소와 질소가스 혼합기체로 반응시켜 초기속도를 측정하고, 같은 온도에서 사용된 흡착제를 공기로 재생시켰다. 사용된 금속산화물 첨가 흡착제중에서 CaO, TiO$_2$, $Fe_2O_3$, CuO, $Ga_2O_3$ 및 Si$_2$O가 ZnO 흡착제의 초기속도를 증가시켜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Zinc Based Sorbents for IGCC (석탄가스용 아연계 탈황제의 특성)

  • 위영호;이중범;류청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33-38
    • /
    • 1999
  • CCT(Clean Coal Technology)의 응용분야인 IGCC, PFBC 및 MCFC 등 석탄을 이용한 새로운 발전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예견되는 고온건식 탈황기술은 고온(35$0^{\circ}C$~$650^{\circ}C$)과 고압(약 20기압)상태에서 금속 산화물로 된 고체흡수제(고온건식 탈황제)를 이용하여 반응기(유동층, 고속유동층 및 고정층과 이동층 반응기 등)에서 흡수와 재생반응을 통하여 석탄가스중에 있는 H$_2$S 등 황화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중략)

  • PDF

The Roles of Ingredients in Fade Resistance of Brake Friction Materials (자동차용 마찰재 원료가 열화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 Jang, Ho;Cho, Keun-Hyung;Han, Jae-Min;Park, Sung-Bin;Shin, Min-Wook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25 no.1
    • /
    • pp.31-37
    • /
    • 2009
  • 상용화 마찰재를 사용하여 고온 열화에 대한 원료들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제한된 영역에서의 실험계획법에 의해 25개의 마찰재가 제작되었으며, 축소 마찰 시험기로 마찰, 마모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라미드 섬유, 흑연, 구리섬유는 열화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켰으며, 반면 삼황화 안티몬, 지르콘은 열화현상을 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원료들이 계면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라미드 섬유, 흑연, 구리섬유등은 계면을 안정화 시켰으며, 삼황화 안티몬, 지르콘등은 고온에서 불안정한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the Advanced Manganese-Based Sorbent for Hot Coal Gas Desulfurization (고온 석탄 가스 탈황을 위한 개선된 망간계 탈황제 개발)

  • Shon, Byung-Hyun;Choi, Eun-Hwa;Cho, Ki-Chul;Jeon, Dae-Young;Oh, Kwang-J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2
    • /
    • pp.291-302
    • /
    • 2000
  • This experiments have been made to develop of manganese-based sorbent for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from hot coal gases. Manganese-based sorbent were tested in an ambient-pressure fixed-bed reactor to determine steady state $H_2S$ concentrations, breakthrough times and feasibility of the sorbent when subjected to cycle sulfidation and regeneration testing. Effects of particle size of sorbent, temperature of sulfidation, regeneration temperature and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n the $H_2S$ removal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H_2S$ removal efficiency was optimal when the temperature was about $800^{\circ}C$ and the smaller particle size, the better $H_2S$ removal efficiency but in the range of 0.214~0.631mm didn't influence it much. The equilibrium constant(K) is represented as a log(K)=3.396/T-1.1105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sorbents was about 92% at $800^{\circ}C$. Regeneration in air produced $SO_2$ concentration as high as 8.5% at $800^{\circ}C$, 8.4% at $850^{\circ}C$, and 8.8% at $900^{\circ}C$ and may be used in sulfuric acid pro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