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온 초전도체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5초

고온 초전도체 $Hg_{1-x}\;Tl_{x}\;Ba_{2}(Ca_{0.86}\;Sr_{0.14})_{2}\;Cu_{3}\;O_{8+\delta}$의 고분해능 TEM에 의한 구조 관찰 (High Resolution TEM Observations in $Hg_{1-x}\;Tl_{x}\;Ba_{2}(Ca_{0.86}\;Sr_{0.14})_{2}\;Cu_{3}\;O_{8+\delta}$ Superconductors)

  • 이확주;류현;허남회;박용기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124-131
    • /
    • 1995
  •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를 다음과 같은 요약할 수 있다. 1) $Hg_{1-x}\;Tl_{x}\;Ba_{2}(Ca_{0.86}\;Sr_{0.14})_{2}\;Cu_{3}\;O_{8+\delta}$의 구조는 Hg-1223과 같은 구조를 이루며 Hg 위치에 T1이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격자상수는 탈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x=0.25 시료에서는 현저히 감소됨을 보였다. 3) x=0.25 시료에서는 적층 결함 1234구조가 1223구조와 intergrowth함을 보였고 불순물 상이 다소 나타났다. 4) 탈륨이 증가할 수록 보다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안정된 조직을 보였다. 5) 모든 시료가 관찰 도중 전자빔에 대하여 손상되었으나 탈륨의 양이 증가할 수록 손상에 대한 저항이 커져 보다 안정된 상을 보였다.

  • PDF

(Glycine+Urea) 혼합연료를 이요한 자발착화 연소반응법에 의한 우수한 소결성의 초미분체 LaAlO$_3$ 분말 합성 (Synthesis of Ultrafine LaAlO$_3$ Powders with Good Sinterability by Self-Sustaining Combustion Method Using (Glycine+Urea) Fuel)

  • 남희동;최우성;이병하;박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3-209
    • /
    • 1999
  • Si 기판위에 Ba2YCu3O7-$\delta$ 고온초전도체를 응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buffer층으로 유망한 재료인 LaAlO3 단일상 분말을 고상반응법과 자발착한 연소반응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LaAlO3 분말의 입자형태와 결정상태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X-ray diffractometer (XR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말의 비표면적과 소결특성은 각각 Brunauer-Emmett-Teller(BET) 방법과 dilatometer를 측정하였다. 고상반응법으로 LaAlO3 분말을 제조할 때에는 하소온도를 150$0^{\circ}C$까지 높게 하여도 단일상을 얻는 것이 어려웠으나 자발착한 연소반응법에 의한 분말제조는 $650^{\circ}C$의 저온에서 하소하여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Dilatometer 측정을 통하여 분석해 보면, 고상반응법에 의한 분말보다 자발착한 연소반응법에 의한 분말로 제조된 소결체가 고상반응법에 의한 소결체에 비해 1.4배나 큰 소멸밀도(98.87%)를 가졌다. 이렇게 소결밀도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자발착한 연소방법에 의한 분말의 평균 입자크기가 nano crystal size이고 비표면적 값(56.54 $m^2$/g)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이용, LaAlO3 layer를 스크린 프린팅과 소결법으로 Si 기판상에 제조하였으며 자발착한 연소합성법으로 제조된 분말은 110$0^{\circ}C$에서 우수한 소결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