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압증기멸균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과 고압증기멸균이 근관치료용 니켈-타이타늄 파일의 주기적 피로 파절에 미치는 영향 (CYCLIC FATIGUE OF THE SODIUM HYPOCHLORITE TREATED AND /OR STEAM AUTOCLAVED NICKEL-TITANIUM ENDODONTIC FILES)

  • 조혜영;정일영;이찬영;김의성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54-6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및 고압증기멸균이 근관 치료용 Ni-Ti 파일의 주기적 피로 파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파일 첨단 크기가 #30이고 .06 taper를 가지는 Hero $642^{(R)}$$K3^{(R)}$파일 70개를 10개씩 7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6%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15분 (N15군), 30분 (N30군), 고압증기멸균은 $121\;^{\circ}C$의 온도, 0.12 MPa의 압력에서 20분간 시행하는 것을 일 회로 하여 5회 (H5군), 10회 (H10), 고압증기멸균 5회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15분(H5N15), 고압증기멸균 10회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30분 (H10N30) 처리 후 주기적 피로 파절 실험을 수행하여 파일이 파절될 때까지의 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전처리를 하지 않고 주기적 피로 파절을 시행하였다. 95%의 신뢰도로 one-way analysis of varienc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중 비교는 Tukey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파일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주기적 피로 파절에 소요된 시간은 Hero $642^{(R)}$는 각 군별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으며, $K3^{(R)}$는 N15, N30, H5N15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짧은 시간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주사전자 현미경에서 관찰했을 때 Hero $642^{(R)}$$K3^{(R)}$모두 N15, N30군에서 파일의 표면과 날이 부식이 되어 대조군에서 관찰된 일정 방향으로 배열된 정형화된 예리한 빗살무의가 부분적으로 파괴된 형태가 관찰되었으며, N15군에 비해 N30군에서 파일의 형태가 파괴된 양상이 뚜렷했으며, Hero $642^{(R)}$보다 $K3^{(R)}$가 심하게 부식된 양상이었다. H5군과 H10군에서는 $K3^{(R)}$ 파일은 날 부분이 무디어진 양상을 보였고, Hero $642^{(R)}$는 형태 파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H10군에서 표면의 빗살무늬가 약간 무디어진 양상을 보였다. H5N15군과 H10N30군에서는 그다지 뚜렷한 형태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K3^{(R)}$파일을 사용 시에는 가능한 한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적은 시간 노출시키는 것이 파일의 부식으로 인한 형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기적 피로 파절에 걸리는 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임플랜트 안정성을 위한 자기공명막대의 소독방법에 따른 수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artpeg^{TM}'s$ lifetime according to sterilization for implant stability)

  • 원호연;조인호;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2-52
    • /
    • 2008
  • 임플랜트가 개발된 이후 임플랜트 안정성을 아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고 여러 측정 장치들이 고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공명주파수분석법(Resonance 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한 방법이 요즘 각광을 받고 있다. 가장 최근에 공명주파수분석법을 이용한 측정 장치의 하나인 $Osstell^{TM}$ 보다 간편한 $Osstell^{TM}$ mentor의 출시로 임상적으로 더 편하게 임플랜트의 안정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Osstell^{TM}$ mentor 의 자기공명막대인 $Smartpeg^{TM}$을 사용할 때 임상에서 측정 가능한 측정횟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소독 후에도 측정값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하였다. 실험 목적은 5가지로 나누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1. 자기공명막대의 반복측정의 영향: 자기 공명막대와 $Osstell^{TM}$ mentor를 고정시키고 반복적인 측정을 하여 몇 회까지 측정값이 안정한가? 2. 자기공명막대의 탈부착 반복의 영향: 자기공명막대를 탁부착을 반복하면서 몇회까지 측정값이 안정한가? 3. 자기공명막대의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 진료실내의 소독방법 후에도 자기 공명막대 측정값이 안정한가? 4. 자기 공명막대의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 소독 후의 영향: 고압증기 멸균법 10회 반복적인 소독 후에도 측정값이 안정한가? 5. 자기 공명막대의 자성소실온도 확인: 자기공명막대의 자성을 잃는 온도는 몇 도인가? 실험방법은 각 실험별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준비하고 각각의 구별을 위해 컬러펜으로 표식을 했으며 실험전 측정값을 재고, 실험후 측정값을 재어 비교하였다. 자기공명막대 반복측정의 영향을 알아본 실험은 최초의 측정값과 변화가 있는 횟수를 알아보려 했으며 측정값에 변화가 없을 경우 400회까지 측정하여, 1-100회, 101-200회, 201-300회, 301-400회 4군으로 나누어 유의수준을 살펴보았다. 자기공명막대 탈부착 반복의 영향을 알아본 실험은 자기 공명막대 8개를 각각 400회씩 탈부착하여 측정값의 변화를 1-100회, 101-200회, 201-300회, 301-400회 4군으로 나누어 군간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막대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한 실험은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소독 전 측정값과 소독 후 측정값을 비교확인하였다. 자기 공명막대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 소독 후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10회 반복 소독하면서 소독 전 측정값을 0군, 1-10회까지 소독 후를 10군으로 나누어 군간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막대 자성 소실 온도 확인실험은 8개의 자기 공명막대를 $138^{\circ}C$/10분, $150^{\circ}C$/5분, $150^{\circ}C$/10분으로 나누어 자기공명막대가 자성을 잃는 온도가 몇 도인지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1. 자기공명막대 반복측정의 영향 실험에서는 각 군간 유의성이 없었다(p>0.05). 2. 자기공명막대 탈부착측정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각 군간 유의 확률이 0.123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자기공명막대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한 실험은 소독 전 측정값과 소독 후 측정값의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자기공명막대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소독 후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각 군간 유의성이 없었다.(p>0.05). 5. 자기공명막대 자성 소실온도확인 실험은 $138^{\circ}C$/10분에서는 소독 전, 후간 측정값에 유의성이 없었고(p>0.05), $150^{\circ}C$/5분에서는 2개가 측정 불가였으며, $150^{\circ}C$/10분에서는 8개 모두 ISQ값을 측정할 수가 없었다. 결론으로 말하면, 자기 공명막대가 나사산이 손상되지 않고 자성을 잃지 않으면 측정값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자기공명막대를 $150^{\circ}C$/10분에서 진공건열멸균 소독 후에 자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로 추론해 보건데, 진료실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보이는 고압증기멸균 소독이 $132^{\circ}C$/15분 이므로 진료실내의 소독방법들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몇 번 사용할 수 있는지의 문제는 400번 측정 시 수치에 변화가 없으므로 측정되지 않을 때까지 사용해도 무방하리라 사료된다.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혼합배양시 유기산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by Fermentation with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1
    • /
    • 2007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성장곡선 및 5%와 10% 유청 배지를 고압증기멸균 및 저온살균하여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혼합배양시 생성되는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 양을 측정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의 대수기는 $6\sim21$시간,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대수기는 $36\sim108$시간으로 나타났다. 혼합배양시 propionic acid의 생성량은 5% 유청 배지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고압증기 멸균보다는 저온살균에서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Propionic acid의 최대 생산량은 10% 유청 배지를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120시간에 7.88 mg/mL이었다. Acetic acid도 5%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냈고 그 생성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pionic acid 생성량의 $2:1\sim3:1$이었다.

  • PDF

키토산 분자량 변화에 따른 수중의 $Pb^{2+}$ 제거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이승원;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7-302
    • /
    • 2003
  • 고압증기멸균을 통해서 변형된 키토산을 FT-IR로 분석해 봤을 때, 기존의 키토산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수가 있었고 분자량을 변화 시킨 키토산을 기존의 키토산과 납 흡착실험을 통해서 제거능 비교해 볼 때 15 min > 30 min > 10 min > 5min > 60 min > 0 min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시간별로 autoclaving처리하여 분자량을 변화시킨 키토산의 제거율이 높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15 min 동안 autoclaving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알 수가 있었다. 중금속 제거 전후의 키토산을 SAM과 TEM을 통해서 관찰해 보았다. SAM의 경우 autoclaving처리하지 않은 키토산의 표면보다는 autoclaving처리한 키토산의 표면에 보다 많은 기공이 생겨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로 인해서 납 중금속이 보다 많이 흡착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EM의 결과로 봤을 때 높은 고압과 온도에 의해서 키토산 고유의 물결무늬가 사라졌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납 중금속이 내부에는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외부에 흡착이 이루어 진 것을 볼 수가 있었다.

  • PDF

소독멸균 방법에 따른 초음파 스케일링 팁에 부착된 세균의 양상 (Morphological aspect of the attached bacteria by th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ultrasonic scaling tip)

  • 남설희;김유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13-71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morphology attached on ultrasonic scaler tips using no cleansing solution, alcohol cotton, liquid chemical disinfecting agent, and autoclave method. Methods: Scaling tip was applied to the mouth and the ultrasonic scaler tip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Group 1 was control group with no cleansing solution. Group 2 was treated with alcohol cotton. Group 3 was treated with 2% green Y-Na solution in liquid chemical disinfecting agent, and Group 4 was sterilized by autoclave method. Live bacteria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reveal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aler surface. The type of attached bacteri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Tukey's post-hoc test. Results: The types of sterilization methods had influences on the bacterial viability. The numbers of cocci, bacilli, spiral form bacteria, and filamentous bacteria was observed in $89.00{\pm}3.60%$, $29.67{\pm}3.51%$, $3.33{\pm}0.57%$ and $1.67{\pm}0.57%$ in control group, $31.67{\pm}3.51%$, $63.33{\pm}4.04%$, $2.00{\pm}1.00%$ and $1.67{\pm}0.57%$ in alcohol cotton group, $69.67{\pm}4.50%$, $12.33{\pm}2.51%$, 0% and 0% in liquid chemical disinfecting agent group, and 0.0%, 0.0%, 0.0% and 0.0% in autoclave method group. The clean surface of ultrasonic scaler tip was shown on SEM by autoclave method. Conclusions: The most effective sterilization method of ultrasonic scaler tip was the autoclave method. Autoclave method is the most effective sterilization method and can reduce the cross-infection in the dental clinic.

스프링형과 마찰형 기계식 임플란트 토크 렌치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spring-style and friction-style mechanical implant torque wrench)

  • 차동희;오상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13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스프링형, 마찰형) 종류의 기계식 임플란트 토크 렌치를 2000회의 반복 사용과 100회의 멸균과정 후 그들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각기 다른 5개 제조사의 스프링형, 마찰형 기계식 임플란트 토크 렌치가 각 15개씩, 총 30개 사용되었다. 디지털 토크 측정기(MGT-12, Mark-10 Corp, USA)를 이용하여 토크값을 실험 전 최초 측정 후 각 토크 렌치를 같은 조건(목표 토크 값까지 20회씩 반복 사용 후 멸균봉투에 포장하여 고압증기 멸균 시행)으로 100회 반복 시행하였다. 그 후 다시 토크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오차율을 계산하였다. Mann-Whitney-U test를 이용하여 실험군 사이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P<.05). 결과: 스프링형 토크 렌치는 실험 전후로 토크값의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반면에 마찰형 토크 렌치는 실험 전후로 토크값의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5), 10% 이상의 오차율이 모두 마찰형 토크 렌치에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된 실험 조건하에서 스프링형 토크 렌치가 마찰형 토크 렌치보다 사용횟수와 멸균과정을 고려했을 때 더욱 신뢰성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현미의 저장조건에 따른 aflatoxin $B_1$ 생성의 변화 (Variation of Aflatoxin $B_1$ Production in Brown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parasiticu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7-52
    • /
    • 1998
  • 쌀에대하여 afltoxin 생성을 위한 기질로서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미 (청청벼) 시료에 Aspergillus parasiticus를 접종하고 조건을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Aflatoxin $B_1$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시료중의 Aflatoxin $B_1$의 분석은 ELI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현미 시료에서 Aflatoxin $B_1$ 생성에 가장 좋은 온도는 $28^{\circ}C$였으며, 시료의 수분함량을 15.8%로 증가시킨 경우 Aflatoxin $B_1$ 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5), 고압증기멸균시킨 시료는 Aflatoxin $B_1$ 생성에 보다 효과적인 기질이 되었다. 실온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한 현미에서는 15일 동안 저장 한 경우에 비해 Aflatoxin $B_1$ 생성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따라서 저장 온도 및 수분함량이 쌀에서도 Aflatoxin $B_1$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를 나타내었으며, 또 시료의 상태 및 저장기간도 쌀에서 Aflatoxin 생성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쌀이 aflatoxin 생성에 좋은 기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Whey 배지의 살균방법 및 yeast extract 첨가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Broth's Sterilization Method and Yeast Extra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 이정훈;윤미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6-11
    • /
    • 2007
  •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whey 배지에서 배양시 whey 배지의 살균방법 즉, 고압증기멸균(121$^{\circ}C$, 15분), 저온살균(60$^{\circ}C$, 30분) 방법과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0.5, 1% 첨가하였을 때 생균수와 총산도를 측정하여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6% whey 배지보다는 12% whey 배지에서, yeast extract 0.5% 보다는 1.0% 첨가 시 생균수가 높았고,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고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72시간에 7.5${\times}10^7$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총산도는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여 저온살균하였을 때 5.2로 가장 높았다. 배양 72시간 동안 생균수와 총산도의 증가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고온살균보다 저온살균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신개발 레진 계열 봉함제의 생체친화성에 관한 연구 (In Vivo Study on the Biocompatibility of New Resin-based Root Canal Sealers)

  • 김용범;백승호;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122-134
    • /
    • 2002
  • 목적 : 근관 치료의 최종 목적인 근관계의 영구적인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근관 봉함제는 많은 연구와 개선을 거쳐서 현재는 다양한 성분의 봉함제가 시판되고 있다. 이중에서 레진이 주성분인 봉함제는 조작이 편리하고 흐름성이 좋으며 근관의 벽에 높은 밀폐성을 보이고 충분한 작업시간과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높은 초기 생체 독성을 나타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 중 레진이 주성분인 두 종류의 봉함제(AH 26, AH plus)와 산화아연이 주성분인 봉함제(Pulp Canal Sealer EWT)와 국내에서 새로이 개발한 제품으로서 레진이 주성분인 두 종류의 봉함제(Adseal-1,2)를 생체조직에 매식하여 국소적인 반응을 비교하여 생체친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수종 봉함제의 생체 친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64마리의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였다. 봉함제의 피하조직 매식을 위해 길이와 직경이 각각 5와 1.5mm인 폴리에틸렌 테프론 관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 한 후 고압증기멸균을 시행하였다. Rat에 대하여 케타민으로 복강내 마취를 시행한 후 배부를 면도하고 iodine으로 소독한 다음 네 곳에 절개를 시행하였으며 blunt dissection을 통해 깊이 10mm이상의 피하조직 pocket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봉함제를 제조사의 지시 에 따라 혼합 후 즉시 멸균된 테프론 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담은 다음에 봉함제가 흐르지 않게 유의하며 pocket내로 삽입하였으며 이때 16개의 관을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해 봉함제를 넣지 않은 상태로 삽입하였다. 이 후 절개 부위를 surgical gut suture로 봉합하였으며 1주일 후에 발사하였다. Rat을 1, 2, 4, 12주 후에 각 군 당 세 마리 씩 에테르 흡입을 통해 희생하였으며 이 때 한 마리씩의 대조군도 포함시켰다. 이 후 매식된 관을 주위 조직과 함께 제거하고 포르말린에서 48시간 고정시킨 후 파라핀에 포매한 다음에 micro-tome을 사용하여 6$\mu\textrm{m}$로 serial section을 시행하였다. 정중선 부위의 시편에 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시행한 후 Olsson, Orstavik 그리고 Mjor 등의 방법에 따라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후 slight(1), moderate(2), severe inflammation(3)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Jandel사의 Sigmastat을 이용하여 Kruskal Wallis Test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과 : (Table omitted) 결론 : 1)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성 있게 염증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p<0.05). 2) Pulp Canal Sealer는 1주, 2주, 1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다. 3) AH 26과 AH Plus에서는 1주, 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으나 12주에서는 염증반응이 감소하였다. 4) 새로 개발된 봉함제 Adseal-1,2는 1주, 2주에서는 가장 약한 염증반응을 보이나 4주, 12주 후에는 AH Plus와 비슷한 수준의 염증 반응을 보였다. 5)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인정할 만한 생체친화성을 보였다. 6) Adseal-2가 Adseal-1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염증반응을 보였다. 7) 각 군간 결과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