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압

검색결과 3,307건 처리시간 0.027초

재난 시 대응자원으로서 고압산소치료 능력 고찰 : 재난고압산소지수 (Hyperbaric Oxygen Therapy Capability as a Disaster Response Resource : Disaster Hyperbaric Oxygen Index)

  • 왕순주;김은;황지원;한민섭;안은애;이동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3-354
    • /
    • 2023
  • 과거와 달리 유독가스가 생성되는 화재, 폭발, 화학사고 및 급격한 기압차를 경험하게 되는 선박 침몰 구조 등 다양한 재난 혹은 사고 상황에서 고압산소치료가 욕구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고압산소치료챔버는 재난에 대응하는 핵심 자원으로 그 수량과 배치가 적절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피해자에게 고압산소치료는 필수적이나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에는 고압산소치료챔버의 숫자와 동시에 고압산소치료로 수용할 수 있는 환자수에도 한계가 있고 그 분포의 불균형도 존재하고 있어 재난 시 인명 피해 감소의 기반 장비, 시설로서 고압산소챔버의 균형있는 확산,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는 가칭 재난고압산소지수로 객관화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인구밀집지역인 수도권이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한 재난에 대한 대응 기반이 부족하다가 향상되고 있으며 부산, 경남 권역에 고압산소치료 자원이 편중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압산소치료 필요한 대량의 중환자 발생 시는 국내 전체의 고압산소치료기 활용 여부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필요 시 원거리 피해자 전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므로 이는 향후 구축해야 할 사항으로 이를 위한 전국적 고압산소치료기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 PDF

유독가스 발생 재난을 대비한 국내 고압산소기의 배치 (Distribution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for Noxious Gas Disaster in Korea)

  • 왕순주;강푸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2
    • /
    • 2022
  • 국내에서 1980년대까지 연탄을 에너지로 많이 사용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이 빈번하여 고압산소치료가 활용되다가 이후 연탄 사용의 감소로 고압산소치료기가 대부분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후 세월호 사고에서의 잠수사들에 대한 고압산소치료 적용, 가스누출이나 번개탄을 활용한 자살시도가 빈번해지며 고압산소치료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 부족해 적절한 치료를 제 때 받지 못하여 고압산소치료기의 필요성이 되두되었다. 국내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한해 36,266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2020년에 365명이 화재로 사망하며, 화재로 인한 손상은 1,917건이었는데. 화재 시 여러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압산소치료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규모 오염, 다양한 교통수단에서의 대형 사고, 건축물 붕괴 사고 및 대규모 지진, 화산폭발 같은 자연재해 시에도 가스 중독이 발생하며, 이는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피해자에게 고압산소치료는 필수적이나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에는 고압산소치료챔버의 숫자와 동시에 고압산소치료로 수용할 수 있는 환자수에도 한계가 있고 그 분포의 불균형도 존재하고 있어 재난 시 인명 피해 감소의 기반 장비, 시설로서 고압산소챔버의 균형있는 확산,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 전국적으로 고압산소챔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그 현황과 배치 상황을 조사하여 이를 통하여 고압산소챔버가 필요한 유독가스 발행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 PDF

재난 대비 고압산소기의 압력손상 해결 (Solution for Brotrauma in Hyperbaric Oxygen Chamber for Disaster Response)

  • 왕순주;강푸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6
    • /
    • 2022
  • 재난 시 피해자를 위해 사용되는 고압산소치료 시 흔한 부작용으로 높아진 압력에 적응하지 못하고 귀의 통증을 비롯한 압력 손상의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가 종종 존재하여 이는 고압산소치료 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본 본 연구에서는 고압산소치료기에 개발된 압력손상방지장치를 연결하여 적용하였을 때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이 조기 감지되고 이를 통해 고압산소치료를 받는 피해자가 압력손상이 진행되지 않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압력손상방지장치를 활용하면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이 조기 감지되고 이를 통해 고압산소치료를 받는 피해자가 압력손상이 심하게 진행되지 않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단 이는 피해자 본인이 체내압력 조절이 가능한 상태여야 하며 의식이 없거나 협조가 어려운 대상에 대한 압력손상방지는 또 다른 도전으로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저산성 식품에 유용한 고압처리 공정 (HPP, High-Pressure Process)

  • 이부용
    • 식품기술
    • /
    • 제15권2호
    • /
    • pp.93-99
    • /
    • 2002
  • 고압처리로 멸균된(high-pressure- sterilized) 저산성 식품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고압처리로 살균시켜(high-pressure-pasteurized)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인 상품들은 일부 시판되고 있다. 미국시장에는 구아카몰(guacamole),굴 등이 있고, 일본과 유럽에는 잼, 젤리, 생선제품, 육제품, 슬라이스 햄, 샐러드 드레싱, 쌀떡, 주스, 요구르트 등이 판매되고 있다. 기술이 발전되어 처리비용이 떨어짐에따라 우유나 오렌지 주스 같은 저부가가치의 제품(high-volume commodity products)에도 고압처리 기술이 적용되는 예를 보게 될 것이다.미국 FDA의 "열처리된 저산성식품은 용접밀봉된 용기(캔,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에 포장되어야 한다." 는 규정(Title 21, Part 113 of the Code Federal Regulations)은 고압처리 식품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규정은 아니지만, 저산성식품의 고압처리 공정(high-pressure processing)은 강력한 살균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위의 FDA 규정(21 CFR 113)의 모든 조항은 고압처리 저산성 식품이 상업적인 생산에 들어가기 전에 시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 규정의 주요 조항중의 하나는 고압처리 공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나 위원회 등에 의하여 세부적인 고압처리공정 절차를 확립하는 것이다. 공정의 전문가들은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적합한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고압처리 공정을 확립해야만 한다. 저산성 식품에 대한 고압처리 공정은 주의깊게 설정된 공정조건하에서 재현성 있게 안전한 식품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살균에 대한 안전성과 재현성이 입증되면 고압에 의한 살균처리공정 설계는 일반적인 대량생산 공정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PP(고압처리공정)의 유효성이 보다 확실하게 입증되고 널리 활용되려면, 공정의 살균력과 일관성(uniformity)을 증명하는 미생물적, 물리적, 화학적, 공학적인 여러 분야가 통합된 검증방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열처리 공정은 스팀열의 가열시간으로 설명이 충분하다. 물론 HPP살균에서도 시간과 온도는 주요 변수이지만, 압력에 의한 미생물살균도 고려되어야만 한다. 또한 점도, 밀도, 구성성분, pH, 수분활성도 같은 해당제품의 특성도 제품의 고압처리 살균공정, 특히 미생물의 사멸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 PDF

고압 Fuse의 차단시험

  • 신대승
    • 전기의세계
    • /
    • 제31권9호
    • /
    • pp.613-624
    • /
    • 1982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고압 Fuse의 종류 2. 고압 Fuse의 차단현상 3. 고압 Fuse의 차단시험

  • PDF

과일에 대한 고압처리 효과

  • 이부용
    • 식품기술
    • /
    • 제15권1호
    • /
    • pp.52-54
    • /
    • 2002
  • 식품에 대한 고압의 영향은 이미 19C말이나 20C초부터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의 보존기간(shelf-life)에 미치는 고압의 영향과 고압(HHP, High Hydrostatic Pressure)하에서 단백질의 3차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보통 식품가공에 적용되는 고압은 몇 초 내지 몇 분 동안에 50∼1000MPa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말한다. 소비자들이 식품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민감하게 느끼는 점은 식품의 색이다. 그러나 색은 가공과정이나 유통기간중에 변색이 쉽다. 따라서 색이나 풍미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식품의 보존기간을 늘리기 위해서 고압처리 기술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식품의 색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그 식품의 품질을 미리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과일의 경우는 당도까지도 예측하게 한다. 그러므로 식품의 색이 소비자에게 주는 정보를 과소 평가해서는 안된다.

  • PDF

가스시공 실무-소형저장탱크용 고압호스의 성능인증 기준 해설

  • 김완진
    • 월간 기계설비
    • /
    • 5호통권202호
    • /
    • pp.64-69
    • /
    • 2007
  • 소형저장탱크의 보급으로 벌크로리 공급시스템이 확대되고 체계적인 수요관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LP가스산업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500kg미만 소형저장탱크의 고압배관시공에 고압호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2006년 11월 소형저장탱크용 고압호스 성능인증기준이 제정되게 되었다. 새로 제정된 소형저장탱크용 고압호스의 성능인증 기준을 기술하여 고압호스제조업체, 소형저장탱크 시공업체 등의 관련업체에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PDF

ESS 제어기용 고압 SMP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 Voltage SMPS for Controller of the ESS)

  • 김교;김수연;박성준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28-429
    • /
    • 2019
  • 본 논문은 ESS나, 고압 DC 전압을 입력으로 받아 주변 제어기 제어보드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고압 SMPS 토포로지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고압 SMPS의 사양은 최근 고압화 추세인 ESS 전압을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입력전압이 1800[V]이며 출력전압이 24[V]이다. 제안된 토포로지는 단일 고압 전력 소자 사용의 경제성을 극복하기 위해 분활 콘덴서를 이용한 전압 분배 형태로 구성하고, 전압의 동일한 분배를 위해 포워드 컨버터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토포로지를 PSIM에서 시뮬레이션 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자가용 파급사고 방지를 위한 고압구분개폐기의 선정방법과 시공상의 유의사항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3호통권111호
    • /
    • pp.97-101
    • /
    • 1986
  • 고압자가용 수전설비의 사고가 전력회사 배전선에 파급되어 정전을 야기시킨다. 이른바 파급사고방지의 구체적인 수단의 하나로서 자가용 설비에서의 고압구분개폐기의 시설을 들 수 있다. 어떤 고압구분개폐기를 선정하고 시공상 어떤 점에 유의해야 되는지 해설한다.

  • PDF

Electron Beam Gun 구동을 위한 고전압 펄스 전원장치 개발 (Development of High Voltage Pulse Power Supply for Electron Beam Gun)

  • 박재안;이용운;박성태;이경수;정병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309-131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입력부, 특고압 발생부 및 고압 정류부, IGBT Pulse Switch로 구성된 Gyro-klystron용 대전력, 고전압, 전류 펄스 전원장치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대전력, 고전압, 전류 펄스 전원장치를 위한 각 구성부분의 제어 및 설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입력부인 IGBT Inverter는 펄스 전원장치의 전압 제어를 위하여 출력 고전압을 Feedback System 제어에 의해 Pulse 설정 전압을 갖도록 제어하며, 또한 Pulse 출력중에 직류 고전압부의 전압강하, 즉 Pulse 전압의 Drop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Fast Dynamics를 갖도록 Feedback System을 구성하였다. 3대의 단상 특고압 승압변압기가 직렬로 구성된 특고압 발생부는 PWM된 전압을 입력받아 특고압으로 승압시킨다. 특고압 변압기는 고압 Pulse성 전압과 매우 높은 dV/dt 전압이 인가되므로 Stray Capacitance가 최소가 되어야 하며 절연파괴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야 한다. 고압 정류부는 Inverter와 특고압변압기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므로 교류전압의 교번순간에 매우 높은 전압 변동률을 가지는 Fast Recovery High Voltage Rectifier로 설계, 제작되어졌다. Pulse Switch인 IGBT Switch는 Gate Driver에 의해 구동되어 진다. 주어진 Pulse 사양을 만족시키며 특히 소자의 전압 특성을 고려하여 120KV의 전압값을 갖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압 펄스 전원장치 각 부분의 설계에 대하여 기본적인 사항들을 제시하며,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방식의 우수한 특성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