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슴도치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수의학강좌 I: Hedgehog(고슴도치)

  • 박천식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7호
    • /
    • pp.628-637
    • /
    • 2010
  • exotic animal을 진료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먼저 진료자가 그 종류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하며, 행동학적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행동학적 특성은 치료 후 care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는 고슴도치의 행동학적 특성에 대해 먼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PDF

국내 고슴도치에서 발생한 기저세포암종 (Basal Cell Carcinoma in a Domestic Hedgehog)

  • 고규련;홍경화;김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48-550
    • /
    • 2015
  • 1세령 암컷 고슴도치의 앞다리 피하에서 종괴가 발견되어 내원하였다. 육안적으로 앞다리 피하종괴는 직경 약 4 cm 크기로 융기되어 있었다. 종괴의 단면상에서 중심 부위는 암적색이었으며, 그 주위에 유백색 결절이 무수히 매몰되어 있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진피층에는 다량의 종양세포들이 불규칙한 줄 또는 시트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대부분의 종양세포들은 기저막에 울타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종양세포무리의 중심부에서는 건락괴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종양세포들은 주변조직으로의 침습성을 보이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한 결과, 종양세포들은 vimentin에는 음성반응을 보인 반면, pancytokeratin에는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육안적인 특징, 병리조직학적 소견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본 증례는 기저세포암종으로 진단하였다.

고슴도치의 구강 편평상피암종의 세포학적 고찰 1증례 (Cytologic Aspect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a Captive African Hedgehog (Altelerix albiventris))

  • 조향미;최을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4-217
    • /
    • 2013
  • 3세령의 암컷 고슴도치(Atelerix albiventris)가 심하게 종대된 하악 병변의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세침흡인을 실시하였으며, 도말표본을 제작 후 로마노프스키식 염색으로 염색하였다. 세포학적 검사에서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편평상피세포가 주로 관찰되었으며, 일부 세포는 유사 방추 모양 또는 매우 길쭉한 모양을 띄고 있었다. 세포학적 소견은 편평상피암종이었으며, 조직검사를 위해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조직병리상 악성 편평상피암종세포들이 중등도의 콜라겐과 방추형 섬유모세포로 이루어진 간질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인접한 골격근과 골조직으로의 침습이 관찰되었다. 종양세포는 중등도의 세포 대소부동과 핵 대소부동을 보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각화상태를 보였다. 종양의 중심부에서는 극세포해리가 있었으며 림프형질세포 및 호중구성 염증소견이 동반되었다. 유사 분열상은 고배율에서 2-3개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소견에 기초해서 편평상피암종으로 진단하였으며, 보호자는 종괴의 수술적 제거 후 더이상의 치료를 원치 않아 바로 퇴원하였다. 환자는 추가 처치 없이 3개월 생존 후 폐사하였다.

애완동물시장, 패턴이 변하고 있다. - 뜨는동물

  • 김정연
    • 월간피드저널
    • /
    • 제4권2호통권30호
    • /
    • pp.73-77
    • /
    • 2006
  • 인터넷 포털 사이트 다음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지난 몇 년간 인기 애완동물 베스트 10위 중 1위 개, 2위 고양이, 3위 물고기, 4위 새, 5위 거북이, 6위 햄스터, 7위 원숭이, 8위 뱀, 9위 이구아나, 10위 전갈 등 이었으니, 최근에는 마니아들로부터 한때 인기를 누렸던 기니피그와 고슴도치 이구아나의 등의 감소세가 두드러지고 새롭게 타란툴라(Tarantula)와 같은 이탈리아 맹독성 거미와 같은 독특하고 특이한 동물들이 개성시대에 걸맞게 새롭게 인기군으로 부상하고 있는 추세이다.

  • PDF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Endocrine Cells in the Pyloric Region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us))

  • 이재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177-184
    • /
    • 1987
  •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EC, ECL, D1 및 G형 등의 4종류의 세포를 분류하였다. EC세포는 고전자밀도의 다형태성 과립을 가지며, 과립내에는 더 높은 전자밀도의 dense body가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60{\sim}530nm$였다. ECL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이들 과립내용물의 전자밀도는 높고, 편재하거나 공포상으로 출현하였다. 과립의 크기는 $200{\sim}560nm$였다. D1세포는 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과립의 전자밀도는 낮고, 때로 한계막과 과립내용물 사이에 좁은 halo를 나타내었다. 과립의 크기는 $130{\sim}400nm$였다. G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비교적 낮은 전자밀도의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에 좁은 halo를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40{\sim}370nm$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주름버섯목(目)에 대한 보고(報告) (III) (Notes on Korean Agaricales (III))

  • 석순자;김양섭;박동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1-426
    • /
    • 1994
  • 한국산 주름버섯목에 대한 종 분포상 및 종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성군 청평사(1990. 9.), 경기도 수원 진흥청구내(1990. 6.),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1994.\;8{\sim}9)$,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1994. 9.) 등 4개 지역에서 주름버섯류를 조사한 결과 그중 고슴도치버섯속 Cystoagaricus Sing. 1속과 한국미기록 이란성무명버섯 Hygrocybe firma(Berk, & Br.) Sing. var. firma Sing.; 꽃잎꼬막버섯 Hohenbuehelia petalodes (Bull.: Fr.) Schulzer; 고슴도치버섯 Cystoagaricus strobilomyces (Murr.) Singer; 받침대먹물버섯 Coprinus domesticus (Bolt.: Fr.) S. F. Gray; 흰꼭지땀버섯 Inocybe autata T. Kobayshi & E. Nagasawa 5종이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자실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현미경 그림을 작성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인용된 색명은 Kornerup과 Wascher(1978)의 Methuen Handbook of colour을 참조하여 기술 하였다. 종 분류에 이용된 버섯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와 농업유전공학연구소 표본실에 보관중이다.

  • PDF

고슴도치 위점막의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the stomach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 us))

  • 이재현;이형식;이남수;김종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6
    • /
    • 1991
  • 한국산 고슴도치의 위점막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바, gastrin, somatostatin, 5-HT, glucagon, BPP, motilin, GIP 등 7종의 면역반응세포들이 동정되었으며, 이들 세포들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Gastrin 면역반웅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아주 다수로 출현하였으며,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다수, 분문부와 위저부에서는 중등도의 출현올 볼 수 있었다. 5-HT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유문부에서 다수, 위저부에서는 중등도로 출현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소수로 그리고 유문부에서 극히 소수로 출현하였고, BP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 다수로, 위저부에 중등도로 분문부에 소수로 분포하였다. motil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위저부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로 출현하였으며, GI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소수의 분포를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