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동굴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f geographical environment around Ocdong-cave area in Yong-Wol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42
    • /
    • pp.69-82
    • /
    • 1995
  • 옥 동굴은 자연동굴에 속하는 석회동굴이다. 글자 그대로 땅속 깊이 고이 묻혀 있었던 지하 복마응전인 셈이다. 이 동굴은 태백산지 서쪽 기슭 분지에 있는 동굴로 개인 사유지땅에 간직 되어온 지하 궁전이다. 이 옥 동굴에 관한 각 분야에 걸친 조사 발표는 이미 끝났고 또한 이 동굴의 학술적 가치판단과 개발타당성 그리고 개발계획은 학교법인 "유신학원"(수원소재)의 주관 아래 모든 학술조사가 본 학회의 주도 아래 실시되었던 것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실제로 "유신학원"은 그 유명한 천연기념물 256호의 "고수동굴"의 개발운영 법인체이며 청소년 자연 관찰의 학습현장으로 매우 타당성 있는 동굴지역이므로 이미 발표되었던 필자의 연구 논문을 보완, 재정리하여 여기에 수록하는 바이다.(중략)문을 보완, 재정리하여 여기에 수록하는 바이다.(중략)

  • PDF

동굴 지형지물의 훼손과 파괴

  • 홍현철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79-80
    • /
    • 1996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동굴자원을 개발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예가 많다 화산동굴의 만장굴과 협재동굴, 석회동굴의 고수굴, 고씨굴, 천곡동굴 등을 비롯한 7개의 동굴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 동굴들은 국가 또는 개인의 소유에 의해서 관리 보존되고 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훼손되기도 하고 일부는 파손의 정도가 지극히 심한 정도에 이르기도 하고 있다.(중략)

  • PDF

천곡동굴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104-108
    • /
    • 1993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양당리굴 생물의 분포 및 서식지 특성

  • 김병우;오영주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1-38
    • /
    • 2002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굴,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임, 1985).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충청북도와 강원도일대에 분포하는 동굴의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중략)

  • PDF

천곡동굴의 생물상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78-79
    • /
    • 1994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4-95
    • /
    • 1994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릉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An Ecological Property and Distribution of Cave in Cheju Island (제주도의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19-26
    • /
    • 1997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즉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판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8-69
    • /
    • 1997
  • o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o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동굴 생물의 특성과 보전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75-76
    • /
    • 1996
  • $\textbullet$ 동굴 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 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textbullet$ 동굴 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굴, 용담굴을 시작으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 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 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동굴미지형학적으로 본 한국적 특례

  • 서무송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12-16
    • /
    • 1975
  • 본동굴미지형은 북한 37도 03분 40초와 동경 128도 29분 14초의 교선에 개구한 용담굴 및 지역내의 고저굴, 고수굴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