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상 성형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Investigation of the Formability of Thermoplastic Composite in Biaxial Stretch Forming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2축 인장성형시 성형성에 관한 연구)

  • 이중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4 no.10
    • /
    • pp.127-134
    • /
    • 1997
  •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고상 성형법에 의해 저렴한 가격으로 부피가 튼 제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될 수 있어 아주 좋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의 성형성에 대해선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첫번때 주안점은 2축 인장성형시 성형성에 대한 연구에 두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한 유리 섬유를 중량비로 20, 35, 40%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이다. 성형시험은 75 .deg. C 에서 150 .deg. C 사이의 온도에서 행했으며, 펀치 속도는 0.01cm/sec 와 1cm/sec 에서 행했다. 2축 인장성형에서 측정된 한계 변형률(Limiting Strain)은 Marciniak 불완전성 (Imperfection) 이론에 근거한 예견치외 비교되었다. 이론치와 실험치가 잘 일치함을 보였으며, 성형한계선도(Forming Limit Diagram) 로써 결과들을 요약하였다. 성형한계 변형률은 성형온도와 성형속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들은 적절한 성형조건이 선택된다면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인장성형은 실제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성형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Properties of Solid-phase Formed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 고상 성형품의 충격특성에 관한 연구)

  • 이중희;정광진;최창근
    • Composites Research
    • /
    • v.12 no.6
    • /
    • pp.8-14
    • /
    • 1999
  •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impact strength and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material behavior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in solid phase forming. The fiber weight per-centage of the composite materials was 20%, 30% and 40%. The solid-phase formed specimens were pre-strained to 10%,20%. and 30% strain levels. The forming temperatures of specimens were $100^{\circ}C$, $125^{\circ}C$ and $150^{\circ}C$. Izod impact test was performed with unnotched specimens. With increasing the glass fiber content ; the impact strength was increased.

  • PDF

Proces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Gas Atomized Spray Forming (고성형성 합금 제조를 위한 가스 분무성형 공정)

  • Baik, K. H.;Seok, H. K.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
    • v.14 no.7 s.79
    • /
    • pp.587-594
    • /
    • 2005
  • 분무성형공정은 급냉응고 및 결정입자 제어에 따른 고품위 소재 개발의 장점과 함께 고밀도 near-net-shape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합금제조기술이다 분무성형체의 미세조직은 적층표면에 도달하는 액적들의 평균 열용량, 즉 고상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는 액적의 비행과정에서의 분사가스-액적간의 열전달과 적층표면에서의 열유입과 열유출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실제 다양한 공정변수들이 복합적으로 미세조직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기 위하여서는 적층표면에서의 온도와 고상분율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하여야만 한다 즉, 적층표면 온도를 분무 성형공정중에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공정 제어 시스템에 feedback하여 원하는 적층표면온도를 유지하도록 공정변수를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무성형에 제조된 성형체는 합금원소의 편석이 없고 미세한 등방성의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특징적인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미세조직으로 인하여 분무성형체는 우수한 성형성과 기계가공성을 나타내며, 또한 분무성형-후속가공된 최종 제품은 잉곳주조에 의하여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크게 향상된 기계적 성질을 가진다.

An Investigation of the Bendability of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Sheet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 판재의 굽힘성에 관한 연구)

  • Joong-Hee Lee;K. Y. R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3
    • /
    • pp.119-126
    • /
    • 1998
  •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고상성형법에 의해 저렴한 가격으로 큰 부피의 제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될 수 있어 아주 좋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의 성형성이나 재료거동의 특성은 아직 잘 파악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주안점은 이러한 재료의 단순 굽힘에서의 굽힘성형성을 연구하는데 두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한 유리섬유를 중량비로 20 %, 35 %, 40 %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이다 굽힘시험은 75 $^{\circ}C$에서 150 $^{\circ}C$ 사이의 온도에서 25 $^{\circ}C$ 씩 증가하면서 행했고, 편치속도는 2.54 mm/sec와 0.0254 mm/sec에서 행했다. 단순 굽힘시험에서 측정된 굽힘성형성은 해석적 모델로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와 예측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였으며, 굽힘성 map으로써 성형 온도와 펀치반경의 좌굴에 대한 효과를 가시화 함은 물론 좋은 성형조건을 선정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써 나타내었다.

  • PDF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f the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of Ti-Al mixture (Ti-Al의 고온 자전 반응 합성과정의 열시차 분석)

  • Mun, Jong-Tae;Lee, Yong-Ho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3
    • /
    • pp.345-35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TiAl 금속간 화합물을 자전 고온 반응법을 이용하여 제조시 반응과정을 열시차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합금 조성은 Ti-45at% Al, 53at%Al, 알루미늄 분말 크기, 승온 속도, 성형 밀도 등을 변화시켜 이들이 반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분말이 미세할수록, 승온속도가 느릴수록, 성형 밀도가 낮을수록 반응 점화 온도 및 연소 온도가 감소하였으며, 고상 Ti와 고상 Al간의 반응정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고상 Ti와 고상 Al간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것은 XRD 분석 결과 Ti$Al_{3}$상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하여 반응 점화 온도가 알루미늄의 용융 온도보가 높을 경우에는 생성되는 상이 $Ti_{3}$Al, TiAl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의 생성 원인에 대하여 확산 계수 및 알루미늄의 용해도등의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Pre-strai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lid-Phase Formed Thermoplastic Composite (고상성형된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성형 변형률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ung-Hui;Jo, Hyeon-Cheol;Lee, Gyeong-Yeo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5 no.8
    • /
    • pp.1220-1226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pre-strain level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lid-phase formed thermoplastic composite. A uniaxial solid-phase forming was performed at the temperature of 125$\^{C}$ and at the constant cross-head speed of 3mm/sec. The composite sheet was formed to various pre-strain levels of 10%, 20%, and 30%. Tension, flexural, and impact tests were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material properties of a solid-phase formed part.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re-strain level, while impact strength increased. Various microstructures of the formed part explained the above material behavior.

Microstructural refinement of hypereutectic Al-Si alloys for semi-solid state processing (반고상 성형을 위한 과공정 Al-Si 합금의 조직 미세화)

  • 김인준;김도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1997.03a
    • /
    • pp.94-97
    • /
    • 1997
  • 금속을 반고상 상태에서 성형하기 위하여 미세조직학적 거동을 밝히기 위해, 본 연 구에서는 높은 비강도, 내마모성을 가진 과공정 Al-Si 합금을 반응고 가공하였을 때의 미세 조직과 상온 가공 후 반고상 온도로 일정시간 유지하였을 때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일 반주조시의 개량 원소 P과 Sr을 첨가하였으며 쐐기형 주조재, 압연재, Si 입자강화 Alrl 복 합재료를 반고상 상태로 가열한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초정 Si입자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 다. 반응고 교반시 초기에는 P과 Sr의 첨가에 의해 초정 Si입자가 미세화 되었으나 교반이 지속되어 가면서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였으며 구상에 가까운 형태로 변화 하였는데, 이는 교반이 지속되면서 첨가 원소의 효과보다 교반 자체의 미세조직 변화 기구에의 의존도가 높 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냉각속도를 달리한 쐐기 형상에서의 금형에서 주조된 미세 조직을 관찰한 결과 냉각속도가 느릴 때에만 첨가원소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반고상 온도 유지 후 초정 크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alpha$-halo가 형성되고 미세한 Si입자가 생성되었 다. 이는 입자 크기의 성장에 따른 주위의 농도구배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압연시 첨가원소는 핵생성과 재결정을 촉진시켜 초정 Si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반용융 처리시 초정 Si입자는 약간 성장하였으며, $\alpha$-halo도 생성되었다. 압출한 시료를 반용융 처리한 경 우 Si입자의 형상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Si입자에 형성되어 있던 산화막이 기지와 초정 Si 압자간의 확산장벽으로 작용하여 $\alpha$-halo가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반응고 교반시 미세조직 변화 기구로는 취성파괴, 합체, 마모를 제안하였으며, 각 공정에서의 초정 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 PDF

The Spring-back Phenomena in Soild Phase Bending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유리섬유 강화 Polypropylene의 고상굽힘성형시 Spring-back 현상)

  • 남궁천;김성일;이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646-649
    • /
    • 1995
  • An experimental and analyical investigations were undertake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spring-back phenomena of chopped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sheet. The materials tested contained 20, 35, 40 percent by weight of readomly oriented glass fiber in a prolypropylene matrix. The simple bending tests were performed at temperatures ranging form 75 .deg. c to 150 .deg. c with 25 .deg. c increment and at punch speed of 1mm/sec and 0.01mm/sec. The spring-back angel measured in pure bending is compared with the prediction base on the analytical model. Good agreement between experimental and predicted results was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