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산지대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Deokha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South Korea (덕항산(삼척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Seo, Han-Na;Kim, Se-Chang;Park, Seong-Ho;Son, Yong-Hwan;Han, Gyu-Il;Ahn, Chi-Ho;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58-58
    • /
    • 2019
  •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337ha)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하며, 남한에서 유일하게 해발고도 1,000m에 가까운 고산지대에 발달한 카르스트지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석회암지대의 식생현황을 제공하여 석회석 광산 채굴 등 황폐화가 진행되고 있는 석회암지대의 식생을 복원하기위한 식생자료로 활용되고자 실시되었다. 2018년 4월 9일부터 10월 31일 까지 총 15회에 걸친 계절별 현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덕항산 지역에서 발견된 관속식물은 90과 302속 479종 4아종 51변종 3품종 총 53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국특산식물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 자생한다고 알려진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숲개별꽃)과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된다고 알려진 Saussurea calcicola Nakai(사창분취)와 Peucedanum insolens Kitag.(덕우기름나물)을 포함하여 18분류군이 발견되었고,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속하는 Astilboides tabularis (Hmsl.) Engl.(개병풍)과 Vioela websteri Hemsl.(왕제비꽃)을 포함하여 1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 3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113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식물은 특산식물 11분류군, 북방계식물 22분류군으로 총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대상지는 온대북부 석회암지대의 특성상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남방계식물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남방계 식물의 북상은 우려와는 달리 현재까지는 미비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북방계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원도의 지형.지질 및 지반공학적 문제

  • 유남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125-133
    • /
    • 2004
  • 강원도는 한반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산악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발고도 100m이하의 저지대는 강원도 총면적의 5.6%에 불과하고 100-500m까지의 저산지대가 43.1%, 500-1000m까지의 중산지대가 43.6%, 1000m이상의 고산지대가 7.7%로서 전반적으로 매우 험준한 산세를 이룬다. 동해안을 따라서 NNW-SSW방향으로 발달된 태백산맥과 그의 서쪽에서 서남쪽으로 발달된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은 중국방향(NE-SW)의 지질구조선을 형성하고 있다.(중략)

  • PDF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자원 관리 상황)

  • Bui, The-Hung;Nguyen, Quang-Dung;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209-216
    • /
    • 2004
  • 베트남은 국토의 3/4이 고산지대이며 1천만ha의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인 산림관리로 인해 산림의 규모와 질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대규모산림과 개인소유의 산림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는 반면,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고산지대의 산림은 제대로 관리되지 뭇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지역사회 산림관리의 실제와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에 의한 산림관리는 새로운 제도라기 보다는 이미 지역주민에 의해 개발되어진 전통적인 관리방식으로 1955년 토지개혁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역사회산림은 지역에 적합한 지식과 제도에 따라 관리됨으로 산림의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었음에도 여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리적, 제도적 여건의 많은 변화속에서 지역사회 산림의 회복과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국립공원은 우리모두가 주인

  • Lee, Hyeong-U
    • 공원문화
    • /
    • s.47.48
    • /
    • pp.48-50
    • /
    • 1990
  • '89년 한 해동안에 약 4천만명이 국립공원을 탐방하였고 이들에 의해 발생된 쓰레기는 2만톤 이상이었으며 이를 수거처리하는데 드는 비용은 14억이나 되었다. 고산지대에는 쓰레기가 될 물건을 일절 안갖고 가는 등반윤리가 하루속히 확립돼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Cs-137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opography and Nature of the Soil (지형 및 지질에 따른 Cs-137 분포 및 거동에 관한 연구)

  • 한상준;이경진;박응섭;이홍연;김희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99-40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전이 위치한 지역의 토양에서 $Cs^{137}$의 축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전이 위치한 영광군 관내의 평지와 고산지대인 금정산, 불갑산 및 영광원전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내장산 등을 대상으로 토양 중 $Cs^{137}$의 화학적인 특성과 고도에 따른 $Cs^{137}$의 축적 경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국내 토양 중 $Cs^{137}$의 농도는 불검출 - 2523q/kg-dry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수행한 평지부분과 고산지대인 원전으로부터 2km 떨어진 금정산, 약 20km 떨어진 불갑산 및 원거리에 위치한 내장산에서도 지금까지의 $Cs^{137}$ 농도 범위에 들었다. 그러나 고산지대는 평지에서와는 다르게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Cs^{137}$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정상 부분보다 $Cs^{137}$의 농도가 하부 부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영광원전 인근 일반평지부분보다는 $Cs^{137}$의 방사능 농도가 2~6배 정도의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Cs^{137}$의 분포는 지형적 요인(고도, 강수량 등)과 토양의 화학적 요인(양이온치환용량)과 상관성이 근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적 요인으로는 주로 고도를 들수가 있는데 높은 고도의 산의 경우 대기중 $Cs^{137}$이 토양에 침투되는 기회가 커짐으로 동일한 토질 조건의 평지 토양에 비해 높은 $Cs^{137}$ 준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화학적 요인으로는 양이온치환용량이 주요 인자임이 규명되었다. 양이온치환용량은 침적된 $Cs^{137}$을 토양에 고정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며 같은 지형조건에서 높은 양이온치환용량을 가진 시료가 낮은 양이온치환용량을 가진 토양에 비해 $Cs^{137}$ 농도가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 분포)

  • 추갑철;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3
    • /
    • pp.181-186
    • /
    • 2003
  •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monitoring and the conserv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Jongseogdae in Jirisan (Mt.).40 plots(5m${\times}$5m) set up by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native shrub and her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as surveyed. Leading shru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were Tripterygium regelii with IP value of 23.45% : followed by Lespedeza maximowiczii,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Lespedeza tomentella. Domin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ere Lysimachia clethroides,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ynurus deltoides,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Hemerocallis fulva and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Rhododendron tschonoskii recorded from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list of the Korea Forest Service distributed among the rocks on the top of Jongseogdae. The long-term sustainable habitat monitoring might be required to conserve this subalpine zone.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고산지대초지의 사향지별 및 표고별 차이에 따른 수량과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

  • 김동암;김희경;권찬호;조무환;이종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1 no.4
    • /
    • pp.236-243
    • /
    • 1991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1985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north and south facing exposures and three different altitudes, 800, 1,000 and 1,200m a.s.1. on the dry matter yield, forage qual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1. Total dry matter yield of alpine pasture was influenced by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An average forage yield of both exposures at 1,000m a.s.1. was 9,301kg/ha compared with 10,274kg/ha at 800m a.s.1. and the productivity express in relative percentage decreased by 9.5% per 200m attitudinal increase. 2. An average forage yield of both altitudes, 800 and 1,000m a.s.1. on the south facing exposure was 21.5% higher than that on the north exposure. 3. Crude protein concentration of forage grown on both exposures was lowest at 800m a.s.1. increasing gradually as the altitude increased, but crude fiber concentration decreaced in a manner opposite to that of crude protein. 4. Forage grown on the north facing exposure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crude protein than that grown on the south facing exposure at the same altitude, but lower concentraion of crude fiber. 5. Orchardgrass and timothy were two main species on both exposures at 800m a.s.1. but timothy was only dominant species at 1,000 and 1,200m a.s.1. and performed well up to 1,200m a.s.1. in alpine area. The economic production limit of orchardgrass would be about 800m a.s.1. in the alpine pasture. 6. No soil property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facing exposures as well as three different altitudes in the alpine pasture. It seemed that the previous pasture fertilization of the experimental field completely overshadowed any soil property differences from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 PDF

사막

  • Heo, Ju-Hui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3 s.406
    • /
    • pp.12-17
    • /
    • 2003
  • 모래 위에 펼쳐진 세계. 사막은 극히 건조하다. 연평균 강수량이 250mm 혹은 그 이하이며, 생물은 좀처럼 생존을 버티지 못한다. 지구 지표면의 5% 가량이 사막처럼 극히 제한된 강우량을 가지고 있다고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에는 씌어있다. 공기가 희박한 히말라야의 고산지대나 물을 구하기 힘든 사막에서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행동이 구속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 PDF

A formation Time of the Nocg Jae Cave in Bakoo Mt. (백두산녹제동형성시기에 관한 연구)

  • 유충걸;이광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0
    • /
    • pp.4-9
    • /
    • 1994
  • 녹제동굴은 백두산천지의 서북쪽에 있는데 백운봉의 북쪽, 관일봉의 서남쪽, 지반봉의 북쪽산사면에 자리잡고 있다. 지반봉의 해발고도는 2603M이고 녹제동의 해발고도는 1900M이다. 그러므로 아고산사스레림대로부터 고산황막으로 과도되는 지대이다.(중략)

  • PDF

Plant Ecological Studies of Burned Field at the High Mountain Region - Especially at Cheisuk-bong (1,806m) Area in Mt. Chiri - (고산지대(高山地帶)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식물생태(植物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 지리산(智異山)의 제석봉(1,806m)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Kwang-Woo;Chung, S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9 no.1
    • /
    • pp.33-4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communit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floristic composition, life form etcectra in burned site, and the structure of forest stand before forest fire occurrence was estimated by the method of anatomical wood identification for dead trees in burned site, Cheisuk-bong in Mt. Chiri of Korea. Plant community before forest fire occurrence was estimated the high mountain conifer stand of the last successional stage to consist of Pinus koraiensis(75%), Abies koreana(15%) and Picea jezoensis(10%), and Betula costata was survived only one species after forest fire occurrence.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in the investigated area was 19 families and 23 species that was identified. The dominate species in burned site were Festuca ovina and Arrhenatherum elatius, Carex humilis, Ligularia fischeri etcectra in the investigated area flora. The life form of plant in burned site was the erect from 47.8%, the tufted from 30.4%, the branched and the prostrate from was both 8.7%, It was assumed that dominant species in the burned sites were Gramineae (Festuca ovina, Arrhenatherum elatius), Carex humilis ${\rightarrow}$Sorbus commixta, Rhododendron schrippenbachii,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Tripterygium regelii ${\rightarrow}$Acer pseudo-sieboldianum var. koreanum, Betula costata, Quercus mongolica${\rightarrow}$Pinaceae forest(Pinus koraiensis, Abies koreana, Picea jezozn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