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분자재료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0.5M NaCl 용액내에서 일어나는 고분자재료로 피복된 강의 퇴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of Polymer-Coated Stesl in 0.5M NaCl Solution)

  • 변수일;정인조;문성모;안상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10호
    • /
    • pp.1025-103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0.5M NaCI 용액내에서 일어나는 고분자재료로 피복된 강의 퇴화현상을 광학현미경 관찰 및 A.C. impeda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강의 부식은 고분자재료로 피복된 강의 경우 국부부식(localized corrosion)의 형태로 나타난 반면, 피복되지 않은 강의 경우에는 전면부식(uniform corrosion)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고분자재료로 피복된 강의 부식이 국부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피복층내에 존재하는 기공이나 크랙과 같은 결함 등에서 부식이 선택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피복층의 박리(delamination) 현상은 고분자재료로 피복된 강/구리 갈바닉쌍(galvanic couple)의 경우 구리표면 위의 피복층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는 캐소드(cathode)로 작용하는 구리의표면에서 산소의 환원반응에 의해서 형성된 수산화이온(OH-)이 피복층의 박리를 조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고분자재료 피복층의 파손 현상은 고분자재료/강의계면에서 석출된 부식생성물에 의해서 크게 조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기계적응력하에서의 고분자재료의 절연강도특성

  • 박정후
    • 전기의세계
    • /
    • 제34권4호
    • /
    • pp.205-212
    • /
    • 1985
  • 기계적응력하에서의 고분자재료의 절연강도특성은 시료의 종류, 시료의 기계적 특성 및 기계적응력의 조건등의 주변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만, 고분자내부구조의 변화에 기인한 절연파환계조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어느정도 이방면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분자재료의 피로과정에서의 비선형 동적 점탄특성 평가법 (Evaluation Technique of Nonlinear dynamic Viscoelasticity During Fatigue Process for Polymeric materials)

  • 조남주
    • 유변학
    • /
    • 제9권3호
    • /
    • pp.97-102
    • /
    • 1997
  • 내피로성은 기계적 구조물로 사용되는 고분자재료에는 반드시 필요한 성질이며, 피 로거동은 재료특유의 비선형 동적 점탄특성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 로과정에서의 비선형 동적 점탄특성을 정량적, 연속적으로 측정할수 있는 시험 기기와 가해 준 변형에 대한 응답 응력파의 기본 응력파(선형적 응답)로부터의 차이를 직접 측정하여 이 를 규격화한 비선형 점탄성파라미터, NVP(Nonlinear Viscoelastic Parameter)라 명명한 새 로운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배향물을 사용하여 그 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피로과정에서의 비선형동적 점탄특성을 나타내는 NVP가 증 가함에 따라 재료의 피로수명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NVP가 고분자재료의 내피로성을 평가 하는 척도로서 사용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또한 각 고조파 성분에대해 조사한 결과 인장형 피로시험양식에서는 고체입자 분산계의 전단변형에서 나타난 비선형 점탄성의 결과 와는 달리 2차 성분의 크기가 가장컸으며 NVP에의 기여도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변 형양식의 차이에 따른 결과를 볼수 있다.

  • PDF

생체의료용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개발 (Functional Polymeric Materials for Biomedical Application)

  • 성용길;송대경;성정석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06
  • 생체의료용 기능성 고분자재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고분자의 기능성,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토대로 다루었다. 본 연구실에서 합성한 기능성 생분해 고분자들을 비롯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생체재료, 온도 감응성 고분자재료, 양이온성 고분자재료, 비축합성 고분자 생체재료, 조직공학을 위한 생체고분자 DNA 매트릭스 및 RNAi 기법을 위한 고분자 등의 기능성 고분자 생체재료에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하고, 가까운 장래에 의료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능성 생체고분자에 대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