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밀도 장서 보존시스템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도서관의 공간문제 해결을 위한 고밀도 장서고에 관한 연구 -Rice University Library Service Center의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High-Density Library Storage as a Solution to the Space Shortage Problem - A Case Study of Rice University Library Service Center -)

  • 안준석
    • 교육시설
    • /
    • 제17권6호
    • /
    • pp.23-30
    • /
    • 2010
  • Because the effort to solve space shortage in academic libraries has never been successful,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being considered as a panacea to revolutionize analog libraries and to open a new era for digital libraries. However, this technology is yet to be perfected. Even wit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e are currently still looking for more space to accommodate newly printed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store valuable resources that are seldomly used. In 1985, Harvard adopted the industrial high-density shelving system into their library. No other retrieving system has proven to be more successful as the Harvard model. Presently, more than 50 colleges have built over 70 high-density library storage facilities. Rice University Library Service Center (RLSC) can be examined as an example of the Harvard-model. This paper will focus on assessing the operating system and architectural requirements of the RLSC which may allow for a more efficient, economical, and fundamental resolution to the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윤정옥;심경;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1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주요한 기능적 특성을 검토 및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다양한 사례와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물리적 시설, 부지의 확보와 건축, 운영 방안, 소장자료의 성격과 규모 자료의 소유권, 자료의 이용과 서비스 자료관리와 접근 시스템의 모형 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는 교내 공간의 최적의 활용성을 보장하고, "마지막 한 부"를 보존하며, 보존자료의 이용 효율을 보장하는 시설로 구축되어야 하며, 지역별, 권역별 단위 구축, 목적용 고밀도 저장시설의 신축, 인쇄자료 중심의 장서구성, 공동소유권의 인정 및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서관리 및 접근 시스템의 채택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