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막체온의 변화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복합형 체온계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 한영환;박승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95-197
    • /
    • 2010
  • 체온은 가장 기본적인 진단 정보로써 여러 가지 생리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이므로 거의 모든 질환에 대해 반드시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체온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복합형 체온측정 시스템의 개발에 목적이 있다. 즉, 하나의 복합 시스템으로 고막과 이마에서의 체온을 측정하려고 한다. 개발 결과, 이 시스템은 IR 센서를 사용한 비접촉식 방식이며 빠른 응답시간과 $0.2^{\circ}C$의 정밀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체온 측정을 위한 주변온도 보상을 고려하여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 PDF

수술전과 수술중 피부가온요법 적응이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주기 고막체온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 and Intra-Operative Warming Therapy on Tympanic Temperature Changes during Perioperative Phase in Receiving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 권영숙;김은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6-96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rming Therapy used with patients consistantly before and during surgery to on changes in their body temperatu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Taegu between December 1, 1998 and May 31, 1999.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Thirty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 experimental(Warming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5 pati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repeated measurement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Warming Therapy, using a forced-air warming blanket, that is a, 'Bair Hugger' was applied to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in the group were treated with the 'Bair Hugger' to warm up the whole body for 40 minutes before surgery and upper body and face during the operation. The core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a tympanic thermometer.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13 times every 15 minutes during the surgery. After the operatio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4 times every 15 minutes, from the time of arrivial in the recovery room to the time of leaving the recovery room. The SPSS Win 9.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Specific methods tested were done using ${\chi}^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level of tympanic temperatu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arming Therapy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operation', was supported (F=32.16, p=.000). 2. The second hypothesis, 'The level of tympanic temperatu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arming Therapy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operation', was supported.(F=33.36, p=.000) 3. During recovery, shivering was observed one pati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ve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Warming Therapy' applied before and during the surgery was a very effective treatment for surgical patients in maintaining the core temperature during surgery

  • PDF

한랭환경하에서 인체의 국소가온 자극이 온열생리.감각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rmal Responses to Local Heating of the Human Body in a Cold Environment)

  • Shin, Jounghw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45-1753
    • /
    • 2001
  • 본 연구는 한랭 환경 하에서의 인체의 국소 가온 자극이 생리, 감각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건강한 성인여자 7명을 대상으로, 기온 $25^{\circ}C$, 습도50%의 환경 하에서 균일한 국소 가온을 부하 했을 때 피부온, 고막온, 손가락, 발가락 혈류량, 온냉감, 쾌적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소가온에 의해 가온 부위 피부온은 유의하게 상승하고 가온 부위에 따라 상승도에는 유의한 차가 보였다. 2) 국소가온에 의해 고막온은 머리의 가온 시에 높은 상승, 전완의 가온 시에 상승하고, 다른 가온 부위에서는 하강의 경향이 보였다. 3) 국소가온에 의해 혈류량의 변화는 3개의 군으로 분류된다. 가온과 함께 손가락 혈류량이 증가하는 군, 발가락 혈류량이 변화하는 군, 양쪽의 혈류량이 적게 변화하는 군으로 나누어진다. 이것을 각 피험자의 평균 피부온 수준 즉 체온조절 수준과 관계 있는 것으로 논할 수 있다 4)국소 가온에 의해 각 부 위 피부온으로의 파급효과는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 크지만 대퇴, 하퇴 다리의 가온 시에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영향이 보이지는 않았다. 5) 이와 같이 국소 가온에 의 한 생리, 감각반응은 가온 부위에 따라 다르고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는 생리반응이 크고 하퇴, 다리의 가온시에는 국소의 감각변화가 컸다.

  • PDF

순환제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근무 적응에 대한 광치료 효과 (Effect of Bright Light Exposure on Adaptation to Rapid Night Shift : A Field Study of Shift Work Nurses in Psychiatric Ward)

  • 고영훈;조숙행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2
  • 목 적 : 여러 모의 연구(simulated study)에서 순환제 교대근무자의 야간 근무에 따른 수면장애와 작업수행의 어려움에 대해 광치료가 치료적 도구로 제안되고 있어 실제 순환제 교대 근무 환경에서의 야간 근무 동안 광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인 5명의 병동 근무 간호사들은 기초평가단계 동안 연속적인 3일간의 낮 근무 후 650 lux의 실내 조명 하에서 연속적인 3일간의 야간근무를 하도록 계획되었으며, 2주 후의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동일한 순환주기로 근무하는 동안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 2500 lux의 광박스를 이용한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야간근무 후의 낮수면은 actiwatch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야간 근무 동안은 스탠포드 졸리움 척도를 이용한 각성상태, 고막체온, STIM을 이용한 수행능력 및 visual analogue를 이용한 우울감, 불안감, 신체적 불편감, 피로감을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시행단계 각각에서 야간근무 첫째날과 셋째날을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야간근무 후의 낮 수면은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 시행단계 모두 야간 근무 1일째와 3일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주기리듬의 위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고막 온도는 야간근무 3일째에 기초평가단계에서는 위상전진을 나타낸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위상변화가 없었다. 또한, 각성상태, 우울감, 불안감, 피로감, 신체적 불편감, 졸리움 등의 변화도 기초평가단계에서 야간근무 3일째에 유의하게 악화된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주의력에서는 광치료시행단계에서만 야간근무 3일째가 1일째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위약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실제근무 환경에서 단기간의 광치료가 순환제 교대근무자들의 주간 수면의 질을 뚜렷하게 변화시키진 않았으나, 야간 근무동안 졸리움 감소와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야간 업무 수행능력의 호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