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려요인

Search Result 6,08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nvergence study to detect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y gender difference (성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 탐색을 위한 융복합 연구)

  • Lee, So-Eun;Rhee, Hyun-Sil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477-486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gender difference in adults. 18,616 cases of adults are collected by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tudy from 2016 to 2019. Using 4 types of machine Learning(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Naïve Bayes, Random Forest) to predict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dom Forest was superior to other methods in men and women. In both of participants, BMI, diet(fat, vitamin C, vitamin A, protein, energy intake), number of underlying chronic disease and age were the upper importance. In women, education level, menarche age, menopause was additional upper importance and age, number of underlying chronic disease were more powerful importance than men. Future study have to verify various strategy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Route Planning Considering Risk Factors Based on GIS (GIS 기반의 리스크 요인을 고려한 노선 계획)

  • Roh Tae-Ho;Jang H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3 s.29
    • /
    • pp.1-19
    • /
    • 2006
  • Researches on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applied with decision-making in consideration of variation in risk factors based o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by way of decision-making in consideration of variation in risk factors, quantitative analysis performed for the existing route was applied to the new route, which would bring about reliable criteria in route planning and basic design stage. Secondly,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 were easily available out of GIS for relatively speedy design and analysis with three dimensional alignment by decision-making in route planning. Thirdly, automation of route alignment is possible by utilizing quantitative evaluation system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so that a risk analysis can be carried out in a relatively short time. Therefore it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further development of road design technology.

  • PDF

Bayesian spatial analysis of obesity proportion data (비만율 자료에 대한 베이지안 공간 분석)

  • Choi, J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1203-1214
    • /
    • 2016
  •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various diseases as well as itself a disease and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The obesity propor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over about 15 years so that investigation of the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with obesity is important in terms of preventation of obesity. In particular,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ocioeconomic status varies with gender and has spatial dependency. In the paper, we estimate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obesity proportion by gender,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Here, a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under the Bayesian framework is us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spatial dependency. For the real applicaiton, we use the obestiy proportion dataset at 25 districts of Seoul in 2010. We compare the proposed spatial model with a non-spatial model in terms of the goodness-of-fit and prediction measures so the spatial model performs well.

Study on Factors of Vacant Houses's Occurrence using Spatio-Temporal Model (시공간 종속성을 고려한 빈집발생 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 You-Hyun KIM;Dongh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20-41
    • /
    • 2023
  • Recently, urban shrinkage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the decline of local cities are causing a new urban problem of empty houses.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vacant homes using spatial panel data collected from 2015 to 2019 at local administraitve districts and estimates the factors of vacant house occurrence using a spatial panel model considering spatio-temporal dependency. As a result, the spatio-temporal dependence of vacant houses was identified and it was estimated using spatial panel model not OLS model. Based on the spatial pane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was the housing-related factor. This result shows that policy considerations for housing supply are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vacant housing as well as population movement and poor infrastructure.

A Study on Game Character Personality Model Considering the Interaction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모델 연구)

  • Nam, KiTeok;Kihl, Taesu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27-34
    • /
    • 2020
  • Game characters provide a path to connect and interact between game designers and players through the personality. We need to study the personality design of game characters considering the interaction. The character's personality is formed through 'design elements' and 'personality factor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game designers. It is formed to the ultimate character's personality by interacting with the player's personality factor. 14 design elements and 40 personality factors were extracted. This study suggests a 'game character personality model' considering the interaction.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정보기술서비스의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ASP 이용 소기업에서의 정보기술 수용을 중심으로

  • 최완일;김은홍;김종욱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3.09a
    • /
    • pp.294-299
    • /
    • 2003
  • ㆍ 목적 최근 정보화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그 영역과 도입이 확산되어가고 있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이하 ASP) 형태의 정보기술 서비스 도입을 중심으로 정보기술서비스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도출하고,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에 있어서의 수용요인, 특히 정보기술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기존 이론의 검증과 보완을 시도(중략)

  • PDF

A Case Study on the Factors of Effective Intra-Firm Technology Transfer in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업에 있어서 사내기술이전 영향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 김성운;윤세종;정종남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1996.12a
    • /
    • pp.99-117
    • /
    • 1996
  • 본 논문은 기업내의 수직적 기술이전 문제를 다룬 사례연구로서 한 건설업체의 연구소에서 이루어진 기술개발 결과가 사업부문의 현장에 이전 활용되는 과정에서 기술이전 정도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D건설의 경우 기술이전팀 및 프로젝트 추진자(Project Champion)의 존재여부가 기술이전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도 성공적인 기술이전에 강한 긍정적인 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당초 사례분석의 틀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기술인지도나 기술수용자의 시장평가가 기술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내기술이전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기술이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eb Analytics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Park, Jae-Seong;Kim, Jae-Jeon;Go, J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305-311
    • /
    • 2008
  •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Web Analytics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기업간의 거래를 전제로 하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사의 입장에서는 웹분석 분야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거래적 특징들을 바탕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Web analytics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사의 지속적 이용의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회사들의 지속적 이용의 도는 동기적 요인인 만족도와 이탈억제 요인인 의존도가 동시에 고려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Web Analytics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사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품질 요인으로는 정보품질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거래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이탈이 고려될 때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의존도 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관계가치, 전환비용, 서비스 이용기간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기적 측면에서는 전환경험의 유무에 따라 시스템 품질과 공감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났고, 이탈억제 측면에서는 전환경험의 유무에 따라 전환비용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다.

  • PDF

KOSPI 200 Futures, Stock Market Volatility and Market frictions (KOSPI 200 선물거래, 주식시장의 변동성 그리고 시장마찰요인)

  • Kwon, Taek-Ho;Park,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143-1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기업특성변수를 고려하여 KOSPI 200을 구성하는 포함종목에 대응되는 대응 종목을 선정하고 두 집단간의 변동성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KOSPI 200 선물거래가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개별기업의 체계적 위험, 시장가치, 회전율, 주가수준 등의 특성변수들을 통제하였으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환노출의 영향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는 KOSPI 200 선물거래는 현물거래의 제약요인을 줄여주어 현물시장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단기변동성의 증가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선물거래 도입 이후 현물시장의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환위기 이후에 들어서야 변동성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선물거래 도입 이후에 현물시장의 변동성과 자기상관에 나타난 변화는 시장마찰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규제완화가 상당히 이루어진 외환위기 이후에는 포함종목의 변동성이 이전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시장마찰요인에 의한 영향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