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도분포지수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Wind Velocity Profile for Calculation of Wind Pressure on Greenhouse (온실의 풍압력 산정을 위한 풍속의 수직분포 분석)

  • Jung, Seung-Hyeon;Lee, Jong-Won;Lee, Si-Young;Lee, Hyun-W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4 no.3
    • /
    • pp.135-146
    • /
    • 2015
  •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to determine the design wind speed for calculating the wind load acting on a greenhouse, we measured the wind speed below 10m height and analyzed the power law exponents at Buan and Gunwi. A wind speed greater than $5m{\cdot}s^{-1}$ is appropriate for calculating the power law exponent necessary to determine the wind spee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height. We observed that the wind speed increased according to a power law function with increased height at Buan, showing a similar trend to the RDC and JGHA standards. Therefore, this result should be applied when determining the power law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design wind speed of the greenhouse structure. The ordinary trend is that if terrain roughness increases the value of power law exponent also increases, but in the case of Gunwi the value of power law exponent was 0.06, which shows contrary value than that of the ordinary trend. This contrary trend was due to the elevations difference of 2m between tower installed and surrounding area, which cause contraction in streamline. The power law exponent started to decrease at 7 am, stopped decreasing and started to increase at 3 pm, and stopped increasing and remained constant at 12 pm at Buan. These changes correspond to the general change trends of the power law exponent.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hape parameter for Buan was 1.51, confirming that the wind characteristics at Buan, a reclaimed area near the coast, were similar to those of coastal areas in Jeju.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basin rain gauge by altitude through optimization technique (최적화 기법을 통한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분포특성 검토)

  • Tae Rim Kim;Hyeok Jin Lim;Chi 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2-35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공간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도별 강우관측소의 최근린지수(Nearest Neighbor Index, NNI)를 산정하고 현재 강우관측소 공간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주도권역을 고도에 따라 등면적으로 구분하고, 고도마다 상이한 지형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등면적으로 구분된 각 강우관측소의 최대 NNI를 최적화 기법의 하나인 화음탐색법(Harmony Search, HS)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와같이 현재 강우관측소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산정한 NNI와 HS를 이용하여 산정한 최대 NNI의 차이를 바탕으로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한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 분포를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우관측소의 개수가 낮은 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관측소 밀도가 작은 것으로 산정되었다. 향후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제주도권역 강우량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Rain Gaug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Altitude using Optimization Technique (최적화 기법을 통한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분포특성 검토)

  • Lee, Ji Ho;Kim, Jong Geun;Joo, Hong Jun;Jun, Hwan 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1
    • /
    • pp.103-111
    • /
    • 2017
  •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NNI(Nearest Neighbor Index) which is considered altitude of rain gauge network as a method for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urrent rain gauge network is evaluated. The altitude is divided by equal-area-ratio and optimal NNI within given basin condition is estimated using harmony search method for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s that vary from altitude to altitude. After calculating current state and optimal NNI for each altitude, the distribution of the rain gauge network is evalu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NIs. As a result, it founds that the density of rain gauge networks is relatively thin as the altitude increases.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an efficient rain gauge network i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ltitudes are considered when a new rain gauge network is newly constructed.

Wetness Index와 Profile Model을 이용한 암석의 화학적 풍화연구

  • 김성욱;한지영;윤운상;김상현;김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72-276
    • /
    • 2004
  • 화강암에 대한 화학적 풍화특성과 풍화 정도의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사지역의 지형자료에 기초한 습윤지수(wetness indes)를 산정하였으며, 중화속도 및 등급을 산정하였다. 습윤지수는 지형 고도를 이용하여 2-5m 크기의 격자로 구성 된 수치고도모형을 작성하여 계산하였으며 풍화속도와 등급은 Profile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마산지역과 서부산지역으로 집수지형을 지시하는 습윤지수의 분포는 마산지역에서 다소 높은 지수 값을 보인다. 임계부하량(critical loads)에 의한 풍화등급은 마산 가포동 지역과 서부산 견마도 지역은 각각 3등급과 4등급에 해당하여 견마도 일원에서 높은 풍화 정도를 지시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화강암 분포지의 경우에도 구성 광물의 비율과 기온과 강수량과 같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상이한 풍화 경향이 나타남을 지시한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the Parameters of Vertical Tidal Current Profile at Uldolmok, Jindo, Korea (진도 울돌목의 조류 연직 프로파일 매개변수 분포 특성)

  • Ko, Dong Hui;Park, Jin Soon;Cho, Hong Yeon;Park, Jun Seok;Lee, Gi Seop;Choi, Hyuk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9 no.6
    • /
    • pp.279-285
    • /
    • 2017
  • In general, the power law and logarithmic profile are commonly used as flow vertical velocity profile model. However, since the parameters of profile vary with characteristics of coast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se values from measured data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power law exponent (n), friction velocity ($u^*$) and roughness length ($z_0$) of logarithmic profile by analyzing measured tidal current data that are averaged at a interval of 30 min. In the results of analysis, power law exponent (n) was estimated to be about 10.75 during flood and about 9.3 during ebb. Meanwhile, $u^*$ of logarithmic profile was estimated to be about 0.084 m/s, 0.105 m/s during flood and ebb, respectively. Also, $z_0$ was estimated to be 0.004 m and 0.006 m, respectively.

A Physioclimatic Study on the Thermal Sensation in Korea (한국의 열감분포에 관한 생리 기후학적 연구 - 신유효온도를 중심으로 -)

  • 강철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2
    • /
    • pp.129-14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rmal sensation which is measured bv human physioclimatic reactions in Korea. Human physiological reactions to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re analyzed to produce a nomogram from which average human reactions to the climatic factors can be deduced. Thermal - indices for each regular stations in both South (1961-1990) and North Korea(1973-1994) are calculated based on monthly meteorological data. A generalized annual physioclimatic maps for each Annual Cumulative Thermal Index for the 52 stations are constructed to show how men tend to feel in various areas. Resu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in our daily activities, and for searching relevant sports training-sites.

  • PDF

경남 상북면 양산단층 서부지역에 대한 습윤지수 특성 연구

  • 한지영;김성욱;강문기;김상현;김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447-453
    • /
    • 2003
  • 연구지역은 경남 양산시 상북면 삼삼리 일원으로 양산단층과 인접하며 급한 경사의 자연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고도값을 갖는 자료층을 추출한 후 10m$\times$10m 크기의 격자별로 DEM으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단위 격자의 경사도, 경사방향도, 음영도를 작성하고 흐름분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정된 격자별로 상부사면의 기여면적과 습윤지수를 산정하였다. 높은 습윤지수를 보이는 지역은 북서-남동 방향의 선형구조로 나타나며, 국소지역의 전단단열 특성과 일치한다. 한편 연구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여 높은 습윤지수를 나타내는 지역과 저비저항 이상대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 습윤지수가 높은 지역은 모두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로 관찰된다. 즉 습윤지수는 암석의 화학적 풍화를 수반하는 파쇄대의 분포와 일치하며 이를 토대로 국소지역에서 파쇄대의 예측과 암석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Improved Algorithm for Topographic Index Calculation (개선된 지형지수 산정 알고리즘의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Sang-Hyeon;Lee, Ji-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4
    • /
    • pp.489-499
    • /
    • 199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applicapability of an improved algorithm to calculate the topographic index, ln($\alpha$/tan B), for the topography of Korea employing channel initiation threshold area(CIT) and an exponent for the gradient(H). hanjaechun subwatershed in Cheongdochun and Dongok subwatershed in Wichun test watershed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The digital elevation models(DEM) of study areas have been made with the resolution from 10m to 100m. Application of CIT to the traditional algorithm provide reasonable computation method in considering channel pixel impact. Introduction of the gradient exponent(H) made it possible to obtain better flow convergence effect in concave topography comparing with the traditional multiple flow direction algorithm. The improved algorithm shows the capability to relax the overestimation problem of rising limb of hydrograph through reducing overestimated high value of topographic index.

  • PDF

Prospects for Extreme Drought Frequency Changes in the Future Using the Modified SPI Index (수정SPI지수를 이용한 미래 극한 가뭄빈도변화 전망)

  • Jeung, Se Jin;Choo, Kyung Su;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8
    • /
    • 2020
  • SPI지수는 강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필요한 물수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물부족을 유발하게 되고, 가뭄발생의 발단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지수이다. 하지만 다른 가뭄지수와 마찬가지로 강수량 또는 유출량 시계열을 상대적인 표준정규분포로 산정하였기 때문에 인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가뭄이 발생한다고 분석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정된 가뭄분석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Jeung et. al(2019)은 이런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SPI지수 계산과정에서 해당지점의 시계열을 대상으로 계산되는 Gamma 분포를 전국으로 확장 시켜 산정 후 표준정규분포에 적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제한급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대상으로 극한가뭄과 가뭄지속기간을 이용하여 M-SPI지수의 효용성을 확인한 결과, 제한급수 실시년도와 SPI, M-SPI 결과와의 비교결과 과거 가뭄을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M-SPI는 전국을 하나의 지역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고, 증발산량과, 고도 등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의 가뭄사상을 재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를 고려하여 지역화를 하고, 각 지역별로 대표 확률분포를 산정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M-SPI에 적용하여 미래 극한 가뭄빈도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한다.

  • PDF

Leaf Area of Korean Local Soybean Collection (재래종 수집대두계통의 엽면적)

  • Shin-Han Kwon;Kun-Hyuk Im;Jae-Ri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19
    • /
    • pp.47-51
    • /
    • 1975
  • Leaf area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important agronomic traits were investigated with 727 lines of Korean local soybeans. Distributions of the leaf area, length, leaf width and LAI of the lines were shown in normal curves. Leaf area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f length, and width, plant height, and seed size. Leaf form is rather affected by leaf width than leaf leng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