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농도

Search Result 4,27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연구

  • 박종길;정우식;김재석;이대근;백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2-36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인구와 산업체가 급증하고 있는 김해시를 대상으로 김해시.군을 통합한 1996년 이후부터 2002년까지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김해시 대기오염농도의 시계열변화는 증가추세가 뚜렷하였으며, 최근 대기환경기준이 강화되면서 환경지정기준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계절별 오존농도의 일변화는 사계절 가운데 봄철이 가장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매년 증가하는 농도폭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의 경우 태양고도가 높고 단위시간당 일사량은 많으나, 장마와 같은 운량 증가로 인한 일사량의 감소되거나, 기온이 상승할 경우 해안으로부터 해풍이 증가하여 여름보다는 봄철에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며, 인구와 자동차 등의 증가로 인한 배출량이 증가한 것도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기간동안 60 ppb 이상의 고농도 오존일의 총 발생빈도는 237일로 나타났으며, 매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환경기준 100 ppb/hr를 초과한 날도 8일이나 되었는데, 1999년이 4일 발생하여 오존에 의한 대기오염규제지역으로 선정되었는데, 고농도 오존일은 지난 1997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겨울을 제외한 전 월에 발생하는 특징을 나타내어 오존의 저감을 위한 실천 계획 수립뿐 아니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빠른 시간 내에 오존의 예.경보제를 도입 운영하는 것이 김해시민의 건강과 복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일 첫 번째인 5월 1일은 일 최고 기온은 그리 높은 상태는 아니었지만 광범위한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대기가 정체하고 바람이 약한 시점에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였고 해안가의 높은 농도의 오존이 수송되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으며, 사례 2의 경우 대륙에서 이동해 오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는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여 기온이 급상승하였으며,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 생성이 용이하였다. 사례 3의 경우는 남북으로 놓여 있는 대규모 기압계 사이에 안상부 형태의 대상고기압이 놓여 대기는 매우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며 때때로 기압계에 의한 바람이 불 경우 다소 강한 바람이 불어 일사량이 많은 기압계에서 광화학반응과 수소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여 고농도 오존을 발생하였다.

  • PDF

Photochemical Modeling for the Ozone Episode in Metropolitan Area (광화학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고농도 및 저농도 오존 사례 모사)

  • 이종범;장명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9-300
    • /
    • 2003
  • 지난해 수도권에서 월드컵경기가 진행되었던 2002년 6월 6일에 구리 수택동 지점에서 203ppb에 이르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다. 이때의 기상상태는 바람이 약하고 일사량이 강하고 운량이 적는 둥 고농도 오존의 좋은 조건이었다. 반면 2002년 7월 27일은 6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상조건은 고농도 오존생성의 호조건이었으나 수도권 67개 지점의 오존 평균 농도가 30ppb이하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학모델인 Models-3/CMAQ을 이용하여 이러한 2가지 오존 사례를 모사하고 특징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중략)

  • PDF

Prediction Model Design by Concentration Type for Improving PM10 Prediction Performance (PM10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농도별 예측 모델 설계)

  • Kyoung-Woo Cho;Yong-jin Jung;Chang-Heon Oh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5 no.6
    • /
    • pp.576-581
    • /
    • 2021
  • Compared to a low concentration, a high concentration clearly entails limitations in terms of predictive performance owing to differences in its frequency and environment of occurrence. To re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algorithm was used to classify low and high concentrations; furthermore, two prediction models train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concentration types were used for prediction. To this end, we constructed training datasets using weather and air pollutant data collected over a decade in the Cheonan region. We designed a DNN-based classification model to classify low and high concentrations; further, we designed low- and high-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s to reflect characteristics by concentration type based on the low and high concentrations classifi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prediction model by concentration type, the low- and high-concentration prediction accuracies were 90.38% and 96.37%, respectively.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over South Korea and Their Future Projection (한반도 미세먼지 발생과 연관된 대기패턴 그리고 미래 전망)

  • Lee, Hyun-Ju;Jeong, YeoMin;Kim, Seon-Tae;Lee, Woo-Seop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9 no.4
    • /
    • pp.423-433
    • /
    • 2018
  •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is a serious problem affecting human health and visibility. The variations in $PM_{10}$ concentrations are influenced by not only local emission sources, but also atmospheric circulation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temporal features of $PM_{10}$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during winter (December-January-February) 2001-2016. Based on those analyses, a Korea Particulate matter Index (KPI) is developed to represent the large-scale atmospheric pattern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The atmospheric patterns are characterized by persistent high-pressure anomalies, weakened lower-level north-westerly anomalies, and northward shift of the upper-level meridional wind anomalies near the Korean Peninsula. To evaluate the change in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under a possible future warmer climate, we apply KPI analysis to CMIP5 climate simulations. Here, historical and tw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scenarios (RCP 4.5 and RCP 8.5) are used. It i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atmospheric conditions favorable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tends to increase over South Korea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uggests that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changes under future warmer climate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outh Korea.

Quality Control on the BOD, COD, TN, TP of Water Quality Pollutant (수질오염물질 BOD, COD, TN, TP의 정도관리(I))

  • Park, Sun-Ku;Kim, Tae-Seung;Ryu, Jae-Ky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4
    • /
    • pp.312-317
    • /
    • 1999
  • Quality control was carried out the three analytes, BOD, COD, TN, TP of high and low concentration for thirteen laboratories. Evaluation values of Quality control was determined from average value which were made by six times test, repeatedly and periodically. This value had not only error ratio of within 5% from prepared sample value but also high precision of standard deviation, 0.44 (BOD, low concentration), 2.15 (BOD, high concentration), 0.12 (COD, low concentration), 1.63 (COD, high concentration), 0.35 (TN, low concentration), 1.99 (TN, high concentration), 0.05 (TP, low concentration), 0.14 (TP, high concentration). Upper (Lower) Warning Limit (ULWL) and Upper (Lower) Acceptance Limit (ULAL) values made from quality control chart. Three (5.30, 9.70, 5.30 mg/L) and five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n low and high BOD concentration, respectively. Two (41.00, 30.60 mg/L) and four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n low and high COD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le, other eleven laboratories appeared reliable data. One laboratory (0.70 mg/L) was over ULAL at low TN concentration, while other eleven laboratories had reliable values. In case of high TN concentration, eleven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t should be focuced for improvement of reliability abou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N. Four (1.14, 0.45, 0.64, 1.49mg/L) and seven laboratories were over ULAL in low and high TP concentration, respectively.

  • PDF

Meteorological effects on high-ozone phenomena in June and modeling of ozone episode (서울지역 6월 고농도 오존 현상의 기상효과와 사레일 모델링)

  • 오인보;김유근;황미경;김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41-142
    • /
    • 2003
  • 서울지역의 고농도 오존 현상은 초여름인 6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오존 생성에 적절한 기상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강한 일사량과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빈도가 주된 원인임을 기존 여러 연구에서 밝히고 있다. 하지만 6월 고농도 현상의 보다 정확한 원인 해석을 위해서는 오존의 수송 및 도시 내 축적과정과 관련된 기상효과의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종관장 패턴과 국지기상의 상호 유기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가능하다. 또한 6월 고농도 현상은 봄철 성층권/상부대류권 오존의 연직수송과 관련한 특정 고농도 사례와는 달리 빈도 높은 서울의 전형적인 오존오염 형태로 볼 수 있으며, 6월 고농도 사례일의 오존 모델링을 통해 이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부산지역 흐린 날의 고농도 오존 발생의 사례 연구

  • 전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8-1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벽과 오전에 비교적 흐렸음에도 불구하고 오존 주의보가 발령된 1999년 7월 18일을 대상으로 하여 고농도 오존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부산 지역 3곳에서 동시에 1시간당 120ppb이상의 고농도는 11시 이후부터 15시에 걸쳐 구름이 엷어지면서 강하게 내리쬔 일사량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여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오전 9시나 10시경에 나타나는 혼합층 성장에 따른 상층의 고농도 오존의 연직혼합 현상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1999년 7월 18일의 고농도 오존은 공기가 정체한 상태에서 11시 이후의 강한 일사에 의한 광화학반응에 의해 1시간당 50ppb의 오존이 생성되는 고속생성에 의해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기상상태가 예상된다면 고농도 오존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는 것이 현명하다고 본다.

  • PDF

A Study on the Mixed-Tank and Injection Nozzle of an Automatic Spreading System of Flux using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이용한 플럭스 자동 도포 장치의 혼합 탱크 및 분사 노즐에 관한 연구)

  • Hwang, Soon-Ho;Lee, Young-L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978-980
    • /
    • 2010
  • Nocolok 브레이징을 이용할 경우 저농도 플럭스와는 달리 고농도 플러스를 이용해 필요한 부분만 도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농도 플럭스 도포의 경우 인력을 이용한 수작업을 실시하므로 작업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플럭스 분진 날림 몇 열 등으로 인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고농도 플럭스 자동 도포 장치의 개발을 통한 품질 향상 및 생산 단가 저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플럭스 자동 도포 시스템을 제작을 위해 수치해석을 이용한 고농도 플럭스 혼합 탱크의 혼합 효율성 및 정수압력을 이용한 유량 분배 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Agrobacterium sp. ATCC 31750의 고농도 세포배양

  • Jang, Jeong-Gyun;Cha, Wol-Seok;Gang, Si-Hyeong;Park, Jae-Eok;Lee, Jung-He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11a
    • /
    • pp.245-246
    • /
    • 2000
  • Agrobacterium sp. ATCC 31750( formerly Alcaligenes faecalis subsp myxogenes) was used to produce curdlan. Since the curdlan is secondary metabolite, it is important for curdlan production to increase cell concentration. The fedbatch operation was used to increase cell concentration with addition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hen the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 was 20g/L, it was consumed in 24 hrs and the cell concentration was 6g/L in a batch culture. The sucrose solution(200g/L) was fed to control the sucrose concentration above 10g/L.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on Ozone Formation (오존 생성시 변수의 민감도 분석)

  • 김영제;양소희;김순태;홍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2-433
    • /
    • 2000
  • 고농도의 오존은 인간이나 동물의 건강뿐이 아닌 식물 및 토양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날로 그 관심도가 증대되고 있다. 오존의 효율적 제어를 위해서는 오존 생성 메카니즘을 면밀히 분석하여 어떠한 물질 혹은 물질의 비율이 고농도 오존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학 반응모델에서 초기농도 등에 따른 민감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지표를 살펴보고, 오존농도의 효율적 제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