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관절 탈구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소아 고관절 질환(I):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진단 및 초기 치료 (Pediatric Hip Disease (I):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 김휘택;박용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59-365
    • /
    • 2020
  • 소아 고관절 이형성증은 비구 또는 근위 대퇴골, 혹은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고관절의 부적절한 발달을 지칭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초음파적 검사로 영아기의 고관절 탈구 진단이 간과되거나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감소하고 있으나 모든 고관절 이형성증을 찾아내지는 못하고 있다. 아탈구가 없는 고관절 이형성증은 우연히 진단되며, 40대 이후 여자에서 퇴행성 관절염과 강한 연관성을 가진다. 아탈구를 동반한 고관절 이형성증은 아탈구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한 시기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여성에서 임신 중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에 대한 정확한 이학적 검사와 조기 치료는 이 질환의 양호한 결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진단의 간과를 막고 조기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저자는 고관절 이형성증이 의심스러운 2세 이하 영아 모두에게 고관절 검사를 추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관절 이형성증의 진단 및 초기 치료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Rottweiler에서 발생한 고관절 탈구의 개방적 정복 (Open Reduction of Coxofemoral Luxation with a Toggle Pin & Synthetic Capsule Technique in a Rottweiler)

  • 장광호;채형규;권영삼;임재현;김영홍;장인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4-137
    • /
    • 2000
  • 체중 43kg의 10개월령 암컷 로토와일러가 약 2개월전부터 점진적으로 진행된 좌측후지의 심한 파행 병력으로내원하였다. 신체검사와 고관절 탈구를 진단하였으며 골반의 외측 및 복배측 방사선 사진 촬영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전배측 접근 후 골수내정으로 제작한 한 개의 toggle pin 및 두 개의 bone screw를 병용 적용하여 대퇴골두를 고정하였다. 일차교정은 술후 7일의 재탈구로 실패하였으며 동일 방법으로 이차 시술한 후 Ehner sling을 적용하고 운동을 제한하였다. 술후 20일에 환축은 거의 정상보행을 회복하였다.

  • PDF

보행기의 발달성 고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in Walking Age)

  • 김세동;장재혁;이동철;신덕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11-224
    • /
    • 1996
  • 1989년 1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서 발달성 고관절 탈구로 진단된 9개월-3세 환자중 치료후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6명(17례)을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단시의 연령은 16.4개월 (9-31개월)이었으며, 8례에서 보존적 치료, 4례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5례에서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2차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2. Severin의 radiologic grade에 의한 결과는 보존적 치료에서 우수 4례, 양호 3례, 불량 1례, 수술적 치료에서는 양호 2례, 불량 2례이었으며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2차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는 우수 2례, 양호 2례, 불량 1례이었다. 3 합병증으로 무혈성 괴사 3례가 관찰되었다. 4.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우수(good)인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불량(poor)인 경우는 도수정복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보행기 연령군의 치료방법의 선택에는 정복시 안정성의 유무, 탈구의 정도,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도수정복은 안정대가 넓고, 정복시 안정성이 있는 경우, 탈구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우수인 경우에 시행한다면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안정대가 좁고, 도수정복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탈구의 정도가 심하고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불량인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발육성 고관절 탈구에서의 관절 조영술 -고관절 조영술과 수술소견과의 비교- (Arthrographic Evaluation in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 Comparison Between Hip Arthrogram and Operative Findings -)

  • 김세동;이윤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63-274
    • /
    • 1998
  •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관절 조영술은 수술전에 미리 유용한 정보를 줌으로써 수술전 계획을 세우고 수술을 체계적으로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고관절 조영술은 도수정복 혹은 수술적 정복전에 필수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고관절 조영술은 비구 관절순, 원형인대의 평가에 매우 유용하였으며, 횡비구인대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었다. 3. 고관절 조영술은 단순 방사선 촬영에 비하여 중앙연각의 평가에 훨씬 유용하고 실제 병리적 소견에 합당한 정보를 주었다.

  • PDF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3C형 무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한 고관절 반치환술의 중기 결과 (Midterm Result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Using a Type 3C Cementless Stem)

  • 정우철;조홍만;김선도;박지연;권기현;이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03-510
    • /
    • 2020
  • 목적: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이외의 다른 대안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의료 시스템과 기술의 발달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후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중장기 이상의 기간을 고려한 대퇴 스템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이중으로 가늘어 지는 직각 단면의 대퇴 스템(C2 stem)을 이용하여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5년 이상 추시한 환자에 대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C2 스템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43 고관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8.6세(70-84세), 평균 추시 기간은 85.4개월(60-96개월)이었다. 추시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는 통증, 보행 능력, 고관절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방사선적으로는 피질골의 골다공증과 골 흡수 등 근위 대퇴골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탈구와 인공 관절 주변 골절 등 추시 기간 중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통증은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수술 후 4년부터 증가하였고 수술 후 60개월에 보행 능력 평가에서 9예의 환자가 두 단계 보행 능력이 감소하였으며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후 2년부터 3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방사선적으로 피질골 골다공증은 14예 발생하였는데, 이 중 5예의 환자가 피질골 흡수 현상으로 진행하였다. 피질골 흡수 현상을 보인 5예 중 4예는 전자부 골절편이 불유합 된 경우였고, 3예는 역사상 골절인 경우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3C 형태의 무시멘트 스템을 이용하여 고관절 반치환술을 일차로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위 대퇴골 전이성 종양의 수술적 치료로서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복합 고관절 성형술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 in Proximal Femur with Recycling Autograft Prosthetic Composite after Wide Excision)

  • 김재도;박필재;권영호;장재호;이영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81
    • /
    • 2005
  • 목적: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에서 소파술 후 금속 내고정술 또는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했던 환자에게서 종양의 국소 재발로 인한 금속 부전을 경험한 저자들은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하고, 술 후 국소 재발의 유무와 하지의 기능, 합병증의 발생을 통해 전이성 골종양에서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재건술의 타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 환자 중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6례,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0.8세, 남녀 비는 3:2였고 술 후 평균 생존 기간은 23.2개월(7~57개월) 이었다. 원발 병소로는 폐암이 2례였고, 위암, 신장암, 다발성 골수종이 각각 1례였다. 수술은 전례에서 광범위 절제술 후 고관절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재건술로는 체외 방사선 조사 후 자가골 이식술 및 고관절 반치환술을 4례, 저온 처리한 자가골 이식술 및 고관절 전치환술을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의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MSTS) 기능 평가 지수(1993년) 및 합병증, 생존 기간 동안의 국소 재발의 유무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술 후 6개월에 조사한 MSTS 기능 평가 지수는 63.3%였고, 술 후 합병증으로는 고관절 탈구가 1례에서 발견되었다. 생존 기간 동안 국소 재발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술 후 생존 기간이 6개월 이상으로 추정되는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에서 소파술 후 금속 내고정술이나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하는 것보다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고관절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국소 재발을 방지하여, 환자의 생존 기간동안 사지의 기능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직접전방 접근법을 통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학습곡선 (Learning Curve of the Direct Anterior Approach for Hip Arthroplasty)

  • 함동훈;정우철;최병열;최종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3-153
    • /
    • 2020
  • 목적: 58예의 직접전방 접근법을 통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임상결과와 학습곡선을 분석하여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전방 접근법을 사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초기 시행한 29명과 후기 시행한 29명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수술시간과 합병증(대전자 견열 골절, 외측 대퇴피신경 손상, 이소성 골화증, 감염, 탈구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방법은 양 군 간에 대응표본 T 검정, 카이제곱 검정과 누적합법(cumulative sum, CUSUM)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전치환술은 평균 132.1분, 반치환술은 평균 79.7분으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기간에 따른 CUSUM 분석을 시행하였고, 전치환술에서는 16번째 증례, 반치환술에서는 14번째 증례부터 수술시간이 각각 평균 수술시간보다 감소하였다. 합병증으로 전반기에 5예, 후반기에 0예로 총 5예의 대전자 견열골절이 있었으며, 외측대퇴피하신경 손상은 전반기 8예, 후반기 2예로 총 10예, 이소성 골화증은 전반기 3예, 후반기 2예로 총 5예, 탈구와 감염은 각각 전반기 1예씩, 기타 합병증 3예가 있었다. 전반기 1년간 수술 중 발생한 대전자 견열골절은 5예(17.2%), 후반기에는 0예(0%)가 있었으며 이를 CUSUM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였으나 증례가 많지 않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직접전방 접근법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해부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수술 시야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습득하는 데 최소 30예 이상의 학습곡선이 필요하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또는 탈구 환자의 수술후 물리치료 (A Case Study of Physical Therapy for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of the Hip After Operation)

  • 박소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6
    • /
    • 1999
  •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of the hip is the most pronounced form of a condition in which the femoral heads tends progressively to leave the acetabulum. In the young child the variability of findings and course suggest a spectrum of conditions in which there are a number of common features: restriction of movement, particularly of abduction in flexion; shortening; and abnormal radiology, including a sloping or dysplastic acetabulum and delay in the appearance of the upper femoral epiphysis. It is vital to make the diagnosis of a congenital dislocation as soon after birth as possibl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n abduction brace before the child run begins to walk is completely adequate, but after the age of 4 even surgical repositioning is difficult and after the age of 7 it is almost impossibl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value of physical therapy of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after operation.

  • PDF

고관절 탈구 정복 후 발견된 좌골 신경 마비의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치료방향 결정: 증례 보고 (Role of MRI in Deciding on a Treatment Plan for Sciatic Nerve Palsy after Reduction of a Hip Dislocation: Case Report)

  • 조준호;여운형;김지완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229-232
    • /
    • 2013
  • Traumatic fracture-dislocations of the hip frequently result from high-energy injury, and hip dislocation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severe concomitant injuries. Sciatic nerve injury often accompanies traumatic fracture-dislocation of the hip, but neurologic examination at the time of injury is difficult in severely traumatized patients with decreased consciousness. We present such a case of multiple traumas with traumatic hip dislocation and sciatic nerve injury after reduction, and we found that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a management plan.